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1:22:13

안심차량기지사업소

대구권 광역전철 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호선 월배 안심[a]
2호선 문양[a]
3호선 칠곡 범물[b]
4호선 검단[a]
대경선 대구[a] 울산
대구산업선 -
[a] 경정비만 담당 [b] 주박 전용 기지 }}}}}}}}}
안심차량기지사업소
다국어 표기
영어 Ansim Train Depot
한자 安心車輛基地社業所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대림로 27
시설 관리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1998년 5월 2일
노선거리표
안 심
← ㎞
① 안심차량기지
인입선
시종착

파일:external/www.dtro.or.kr/8_2.jpg [출처]

1. 개요2. 상세3. 배속 차량4. 이전?
4.1. 월배차량기지와 통합이전(확정)

[clearfix]

1. 개요

대구교통공사 1호선 차량사업소 중 한 곳이다. 동구 대림로 27 (사복동)에 있다.

2. 상세

총 209,238㎡ 부지에 검사고, 세척고 등 7개동의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는 시설로, 계절의 변화를 느낄수 있는 화목류와 단풍이 좋은 수목 등을 심어 놓았다.

월배차량기지사업소와 달리 이 곳에서는 경정비만 가능하며,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 곳에 배속받는다. 중정비는 월배에서 받는다.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전소된 차량 2량(1130호, 1730호)이 사실상 방치되어 있다.

인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현장체험학습같은 이유로 아이들이 자주 방문하는 곳이다.

대구시와 달서구에서 월배차량기지사업소를 이곳으로 통합이전하는 방안을 구상중이고 타당성 있음 용역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동구 측에서는 반대의 입장이다. 대구대학교가 대학 내 자체 부지에 월배차량기지 이전 및 역 신설을 대구시에 요구했다. 부지의 크기는 안심차량기지보다 넓으며 무상장기임대방식으로 추진된다. 대구시는 타당성 검증을 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월배차량기지가 대구대학교부지로 이전되면 안심차량기지에 통합 이전되지는 않는다.

3. 배속 차량

4. 이전?

최근 만약 월배차량기지를 대구대학교로 이전한다면, 이전하는 김에 안심차량기지까지 통합이전하는 방안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최근 노선 기/종점 중 1곳에만 차량기지를 건설하는 곳이 많기에 대구대의 반발만 없다면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하다. 24일 대구대 학교법인 영광학원은 대구대 내에 월배·안심차량기지 이전으로 도시철도가 연장되면 대구대 소유 부지 130만㎡를 재활복합혁신클러스터 용도로 제공하겠다고 밝혔지만, 대구대 측에서 직접 제안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불확실하다.

4.1. 월배차량기지와 통합이전(확정)

대구시는 차량기지 주변 주거단지의 소음 문제로 예로부터 월배차량기지를 안심차량기지로 통합 이전을 검토해왔다. 월배차량기지 부지 개발금으로 이전비용을 충당하는 기부대양여로 이전을 검토하고있으며 후보지는 달성군 옥포읍 간경리, 경산시 하양읍, 안심차량기지 그리고 대구대 측에서 부지간이역 신설 조건으로 부지 무상제공하여 안심+월배 통합이전 의사를 밝혀 이 4곳의 이전 용역을 수행해 왔다. 별도 노선건설과 역 신설이 필요한 달성군 옥포읍, 대구대학교 이전의 경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2]되어야 하고 대구대의 경우 이전비용이 9천억원 가량 발생한다고 한다.

기지를 신규건설하면 돈도 많이 들고[3] 주변 소음피해 문제도 있어 비용과 주변 민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존 안심차량기지와의 통합이 용역결과 가장 좋은 대안으로 발표, 확정되었다. #

대구광역시는 계획 수립을 거쳐 2027년까지 기지이전을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반면 안심차량기지 이전으로 안심지구쪽의 반발이 심해 안심지구쪽 주민들의 반발을 최소화할 인센티브안을 속히 마련한다고 한다. 또한 안심차량기지 근처에는 대구한의대병원역 개통도 앞두고있다.

2024년 3월 달성군수가 달성군 옥포읍 이전 및 역 신설을 건의했다.


[출처] 대구도시철도공사 [2] 서울 창동기지 이전 및 주민 교통 편의로 건설되는 진접선의 예시 [3] 민원 최소화를 위해 간이역 신설 비용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