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21:47:54

안드리 멜니크

<colcolor=#ffd500><colbgcolor=#6699FF> 제2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의장
안드리 아타나소비치 멜니크
Андрі́й Атанасович Ме́льник
파일:Andrii_Melnyk.jpg
출생 1890년 12월 12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드로호비치군 볼랴야쿠보바
사망 1964년 11월 1일 (향년 73세)
독일 쾰른
학력
직업 군인, 정치인
최종 계급 대령
경력 우크라이나 군사조직 제1지역사령부 사령관
1922년 ~ 1924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의장
1939년 5월 23일 ~ 1964년 11월 1일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반헤트만 봉기
소비에트-우크라이나 전쟁
1. 개요2. 생애
2.1.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전간기2.2. 제2차 세계 대전

[clearfix]

1. 개요

2. 생애

1890년 갈리치아 지역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 대전에 시치 소총병으로 참전했다. 평소 폐 건강이 좋지 않아 의료 위원회에서 전역을 권고했음에도 전선에 남아 전투를 치렀으며 황태자 카를로부터 용기를 위해 메달을 수여받았다.

2.1.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전간기

1916년 러시아 제국군에 생포되어 약 1년간 여러 수용소에 수용되었다가 1917년 11월 동료들과 함께 눈보라를 뚫고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이 건국된 키이우로 탈출했다. 우크라이나 인민군의 시치 소총병대를 지휘하던 도중 독일 제국이 지원하는 파울로 스코로파즈키 중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우크라이나국을 수립하고 헤트만으로 등극해 시치 소총병대를 해산하자, 반헤트만 봉기에 참전해 결정적이었던 모토빌롭카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반헤트만 봉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후 복고된 인민공화국의 총재정부에 의해 오타만으로 추대되었고 우크라이나 인민군 현역군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 주재 우크라이나 군사임무사령관으로 임명되나, 1921년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이 멸망해 귀국하지 않고 에 체류하게 되었다. 이후 다른 동료들과 우크라이나 군사조직을 창설해 해외에서 우크라이나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2.2.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예우헨 코노발레츠가 사망한 이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의장으로 선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