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6 23:58:53

아돌프(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장.svg
룩셈부르크 대공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라녀나사우 왕조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기욤 1세 기욤 2세 기욤 3세 아돌프
<rowcolor=#fff>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기욤 4세 마리아델라이드 샤를로트
<rowcolor=#fff> 나사우바일부르크 왕조
앙리 }}}
백작 · 공작 · 대공
}}}}}}

<colbgcolor=#afeeee,#114f4f><colcolor=#000,#e5e5e5> 룩셈부르크 나사우 왕조 초대 대공
아돌프
Adolphe, Groussherzog vu Lëtzebuerg
파일:9_1_0.jpg
출생 1817년 7월 24일
나사우 공국 비브리히 성
사망 1905년 11월 17일 (향년 88세)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호헨부르크 성
재위기간 나사우 공작
1839년 8월 20일 ~ 1866년 9월 20일
룩셈부르크 대공
1890년 11월 23일 ~ 1905년 11월 17일
서명 파일:아돌프(룩셈부르크)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feeee,#114f4f><colcolor=#000,#e5e5e5> 가문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이름 아돌프 빌헬름 카를 아우구스트 프리드리히
(Adolph Wilhelm Carl August Friedrich)
아버지 나사우 공작 빌헬름
어머니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루이제
형제자매 테레제, 마리
배우자 러시아의 옐리자베타 미하일로브나 여대공
(1844년 결혼 / 1845년 사망)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이트 마리 (1851년 결혼)
자녀 기욤 4세, 힐다 }}}}}}}}}

1. 개요2. 생애
2.1. 나사우 공작 시절2.2. 룩셈부르크 대공 즉위 이후
3. 자녀4. 기타

[clearfix]

1. 개요

나사우 공작이자 룩셈부르크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초대 대공.

2. 생애

2.1. 나사우 공작 시절

나사우의 공작 빌헬름(Wilhelm I. von Nassau 1792~1839)과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루이제(Luise von Sachsen-Hildburghausen 1794~1825)[1]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합스부르크 가문 알브레히트 1세와 맞섰던 독일왕 아돌프의 직계 후손이다. 아버지를 이어 22살에 나사우 공작이 되어, 비스바덴을 공국의 수도로 삼고 통치했다. 1844년 니콜라이 1세의 조카딸 옐리자베타 미하일로브나[2]와 결혼했으나 첫딸을 사산한 채 사망, 1851년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이트 마리 공녀[3]와 재혼해 3남 2녀를 두지만 무사히 성인이 된 건 장남 기욤 4세와 막내딸 힐다 뿐이었다.

1848년 혁명이 터지자 '나사우인의 9개조 요구'를 받아들였다. 몇 년 지나지 않아 자유주의적 관점을 취소하고 강경 보수 성향으로 돌아섰지만, 그럼에도 인기 있는 통치자였다. 그렇게 27년간 재위하다가 1866년에 벌어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지원했다가 프로이센 왕국의 눈 밖에 나, 오스트리아가 패하면서 바로 멸망당해 프로이센에 합병되어, 그 해 9월 20일 49세의 나이로 폐위당했다. 아돌프는 그 대가로 1867년 9월 28일에 1,500만 굴덴과 4개의 성채 소유권을 보장받았다. 그 후 주로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바이에른 왕국 등에서 머무르며 여행과 사냥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2.2. 룩셈부르크 대공 즉위 이후

나폴레옹 전쟁 전후 처리였던 빈 회의에서 네덜란드 왕국 룩셈부르크 대공국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네덜란드 국왕이었던 빌럼 3세가 아들을 두지 못하고 1890년 사망, 외동딸 빌헬미나 여왕이 즉위하는데... 네덜란드는 여왕 즉위가 가능해도 룩셈부르크는 살리카법인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빌럼 3세의 머나먼 친척인 아돌프가 대공위를 잇게 됐는데 아돌프는 남계로 빌럼 3세의 37촌 조카였다.[4] 이때 그는 이미 73세의 노인이었고, 평생 독일에서 생활해 룩셈부르크 정치는 전혀 몰라 그날그날의 정무에서는 손을 뗐고, 사실상 당시 총리대신 폴 아이셴[5]이 정무를 대행하게 된 것이 이후 관례로 내려오게 됐다.[6] 1902년 아들 기욤을 섭정으로 세웠으며 1905년 바이에른의 여름 별장에서 별세했다.

3.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자녀
1남 기욤 4세
(William IV, Grand Duke of Luxembourg)
1852년 4월 22일 1912년 2월 25일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7]
슬하 6녀[8]
1녀 바덴의 대공비 힐다
(Hilda, Grand Duchess of Baden)
1864년 11월 5일 1952년 2월 8일 프리드리히 2세

4. 기타


[1] 바이에른 왕국의 국왕 루트비히 1세의 왕비인 테레제의 여동생이다. 따라서 아돌프는 루트비히 1세의 아들인 막시밀리안 2세, 오톤, 루이트폴트 등과 이종사촌간이며, 루트비히 2세는 아돌프 대공의 오촌 조카가 된다. [2] 미하일 파블로비치 대공( 파벨 1세의 막내아들)과 뷔르템베르크의 샤를로테의 차녀. [3] 덴마크의 샤를로테 공주의 외손녀(차녀 마리 루이제 샤를로테의 첫째딸)로 프레데리크 8세, 영국의 왕비 알렉산드라, 요르요스 1세, 러시아의 황후 마리야 표도로브나, 하노버의 왕세자비 티라, 발데마르 왕자의 이종사촌이다. [4] 이 분야 세계기록이다. 빌럼 3세와의 공통 조상이 나사우 백작 하인리히 2세로, 당시 기준 700년 전 사람이다. 아돌프의 조상(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이 장자 계열이고, 빌럼 3세의 조상( 오라녜나사우 가문)이 차자 계열이다. [5] Paul Eyschen, 1888년부터 1915년 사망시까지 27년간 재임하면서 기욤 3세부터 마리아델라이드까지 4명의 대공을 모셨다. [6] 여담으로 영국 입헌군주국이 된 것도 비슷한 이유이다. 하노버 왕조의 개창자인 조지 1세는 본래 신성 로마 제국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하노버 선제후로 군림하고 있다가 50세에 영국 국왕으로 추대되어 즉위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영국에 대해 아는 것이 단 하나도 없었다. 때문에 일 잘하는 신하들에게 정무를 대행하도록 했고 이 것이 관례가 되어 오늘 날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7] 미겔 1세의 5녀. [8] 룩셈부르크 여대공 마리아델라이드, 룩셈부르크 여대공 샤를로트 [9] 아돌프의 증조할머니는 빌럼 1세의 아버지 오라녀 공 빌럼 5세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8촌이다. 그렇기에 불과 5개월 차이가 나는 것. [10] 과거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형제 승계라면 그렇게 고령에 즉위하는 사례가 흔하지만 유럽 기준으로는 매우 늦었다. 똑같이 73세에 즉위한 찰스 3세의 사례를 괜히 특이하게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