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5:26:47

실버 더 헤지혹

실밥이에서 넘어옴
파일:soniclogo_white.png 소닉 시리즈의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oniclogo_white.png
팀 소닉
파일:소닉 로고.png
소닉
파일:테일즈로고.png
테일즈
파일:너클즈로고.png
너클즈
파일:Sonichannel_chao.png
팀 로즈
파일:에이미 로고.png
에이미
파일:Cream(Modern).png
크림
파일:TSR_Big.png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578px-Gun_logo.png
팀 다크
파일:샤도우로고.png
섀도우
파일:TSR_Rouge.png
루즈
파일:TSR_Omega.png
오메가
카오틱스 탐정단 파일:Vector_Team_Sonic_Racing.png
벡터
파일:에스피오.png
에스피오
파일:CharmyBee.png
차미
파일:eggmanlogo_white.png
에그맨 제국
파일:ddfjfj.png
닥터 에그맨
파일:메탈소닉이미지.jpg
메탈소닉
파일:세이지이미지.jpg
세이지
솔 디멘션 파일:1200px-Silver_Rio2016.png
실버
파일:TSR_Blaze.png
블레이즈
파일:eggman negga.jpg
에그맨 네가
기타 에그맨 일당 메카 소닉 · E-102 감마 · 섀도우 안드로이드 · 오봇&큐봇
1세대 · 빈 더 다이너마이트 · 바크 더 폴라베어 · 마이티 디 아르마딜로 · 레이 더 플라잉 스쿼럴 · 허니 더 캣 · 위치카트
2세대 바닐라 더 래빗 · 챠오 · 카오스 · 티칼 · 파차카마 · 제럴드 로보트닉 · 마리아 로보트닉 · 블랙 둠 · 에멜 · 지멜 · 젯 더 호크 · 웨이브 더 스왈로 · 스톰 디 앨버트로스 · 엘리스 · 이블리스 · 솔라리스 · 소닉 맨 · 마린 더 라쿤 · 셰이드 디 에키드나 · 이프리트 · · 다크 가이아 · 피클 교수 · 위스프 · 타임 이터 · 육귀중 · 스틱스 더 배저 · 아바타 · 인피니트
3세대 코코 · 거신 · 디 엔드 · 아리엠 · 트립 더 선게이저 · 블랙 드래곤
}}}}}}}}}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고슴도치 종족
소닉 더 헤지혹 에이미 로즈 섀도우 더 헤지혹 실버 더 헤지혹 아바타(소닉 포시즈)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등장인물
실버 더 헤지혹
Silver the Hedgehog
파일:silver.hedgehog.png
이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실버 더 헤지혹[1]
파일:일본 국기.svg シルバー・ザ・ヘッジホッグ
파일:미국 국기.svg Silver the Hedgehog
종족 고슴도치
성별 남성
신장 100cm
체중 35kg
나이 14세
특기 초능력
좋아하는 것 평화로운 세상
싫어하는 것 이블리스
데뷔 소닉 더 헤지혹(2006)
테마곡 Dreams of an Absolution
1. 개요2. 특징
2.1. 외모2.2. 성격
3. 성우
3.1. 일본3.2. 북미
4. 작중 행적5. 기술6. 역대 이미지7. 기타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math(N)]주년 기념작 신규 주역
10주년
소닉 어드벤처 2
15주년
소닉 더 헤지혹(2006)
20주년
소닉 제너레이션즈
25주년
소닉 포시즈
30주년
소닉 프론티어
섀도우 더 헤지혹 실버 더 헤지혹 클래식 소닉 아바타 세이지
파일:AypDG9P.gif
실버는 황폐해진 미래 세계를 바꾸기 위해 미래에서 온 고슴도치. 초능력을 발휘해서, 각종 사물들을 사이코키네시스로 움직일 수 있다.

조금 독단적인 면도 있지만, 미래의 황폐한 환경에서 자랐으면서도 적극적이고 정의감이 강한 성격을 가질 수 있었다. 평화로운 세계를 되찾기 위해 그는 계속 싸워 나간다.
실버 더 헤지혹이라는 본명을 가진 은빛 고슴도치.
황폐해진 미래를 바꾸고자, “이블리스 트리거”를 쓰러뜨리려는 목적으로 미래에서 찾아왔다.
물체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초능력, 사이코 키네시스를 사용할 수 있다.
물체를 묶어 두는 기술이나 적을 마비시키는 기술을 사용해서 평화를 되찾기 위해 싸운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피규어 설명
세계를 구하기 위해 사람을 죽이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소닉 더 헤지혹(2006), 블레이즈와의 대화 中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등장인물. 세가의 소닉 15주년 기념작이자 야심작(…)이었던 소닉 더 헤지혹(2006)에서 주연으로 등장했다. 이름의 유래는 ' 은색'을 뜻하는 영어 silver. 어째서인지 중화권에선 夏鲁巴, 席瓦尔, 小银, 阿举(각각 Xià lǔ bā, xí wǎ'ěr, xiǎo yín, ā jǔ. 한국어 표기로는 샤루바, 시왈, 샤오인, 아주)[2]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2. 특징

스피디한 플레이를 중시하는 소닉이나 카오스 에너지를 활용한 전투에 특화된 섀도우와 달리, 실버는 초능력인 사이코키네시스를 무기로 사용한다. 염동력으로 주변의 사물이나 적들을 조종하여 공격하는 것이 특기로, 레비테이트를 이용하면 자신의 몸을 띄워서 날아다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레비테이트나 연속적인 텔레포트를 이용하면 소닉과 섀도우만큼은 아니지만 제법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카오스 에메랄드가 있으면 소닉이나 섀도우처럼 카오스 컨트롤 슈퍼화 등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슈퍼 실버 문서 참고.

2.1. 외모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250px-Silver02.png

실버가 첫 작품인 소닉 더 헤지혹(2006)에서 주목받은 이유 중 하나는, 그의 독특한 외모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째, 기존의 남성 고슴도치 캐릭터들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머리 모양을 자랑한다. 머리 뒤로 6개의 가시가 난 소닉이나 섀도우와 달리, 머리 뒤로는 길고 굵직한 가시가 2개만 나 있다. 대신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불가사리를 비틀어서 얹어놓은 듯한 가시 5개가 이마에 붙어있다.

둘째, 섀도우보다 훨씬 풍성한 가슴털 때문에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았다. 초기 설정부터 구상된 것으로, 그대로 반영되어 등의 가시 사이까지 내려와 목 아래를 앞뒤로 덮어버린다.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178px-Silver-concept-design1.jpg
콘셉트 디자인에서는 '베니스 더 밍크'라는 이름[3]을 가졌었으며, 에메랄드 색의 눈에 등까지 내려오는 노란색 가슴털을 가지고 있었다. 슈퍼화 캐릭터의 몸을 덮은 털보다도 노란 이 가슴털은 나중에 슈퍼 실버가 이어받는데, 실제로 온몸을 뒤덮은 나머지 털보다 가슴털이 훨씬 더 노랗다.

2.2. 성격

기본적으로 정의감이 강하고 순수한 낙천형 캐릭터이며, 블레이즈 더 캣의 대사에 의하면 혼자서 폭주할 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판단력이 뛰어난 캐릭터라고 해석되는 경우도 있지만, 공식 설정상으로도 실버는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캐릭터가 아니다. 공식 포털 사이트에 수록된 실버의 프로필을 읽어보면 '突っ走りやすい'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신중한 고려 없이 멋대로 행동하기 쉽다'는 뜻이다.

또한 만화책 등에 따르면, 다른 헤지혹 히어로 둘과는 다르게 상당히 순진하고 상냥한 성격을 지녔으며, 블레이즈에 의하면 조금 어린아이같이 흥분하거나 신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실제 만화책에서 꽤 막내와도 같은 낙천적이고 밝은 모습을 보였으며, 테일즈처럼 조금은 어린이와 같은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어찌보면 헤지혹 히어로 3인방 중 가장 막내다운 성격. 섀도우는 냉철하고 강인한 어른이고 소닉이 히어로다움 + 청년스러운 느낌이 강하다면 실버는 소닉보다 한살 연하지만 성격이 매우 순진하고 상냥한 막내로 그려진다.

실제로 깊은 생각보다는 행동이 앞서는 면이 있어서, 소닉 더 헤지혹(2006)에서 '소닉이 이블리스 트리거'라는 메필레스의 말을 처음에는 철석같이 믿었다. 에이미가 소닉을 감싸는 것을 보고 나서야 뒤늦게 의심하기 시작했고, 심지어 메필레스가 자신을 재촉하자 고민하다 말고 또 소닉을 습격했다가 섀도우에게 제지당했다. 다시 말해 에이미와 섀도우에게 제지당할 때를 빼면 하는 짓이 소닉 3 시리즈 너클즈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심지어 자신을 속인 흑막의 정체를 알고 나서 소닉의 아군으로 돌아선 것도 너클즈와 같다. 그리고 둘이 싸우는 동안 엘리스가 에그맨에게 다시 납치당하는 것도 무시하고 소닉을 공격해서, 기껏 구한 엘리스를 얘 때문에 또 빼앗기는 소닉과 플레이어의 고생만 늘어난다.

그런데 위와 같이 매우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한편 남에게 쉽게 휘둘리는 면도 있다. 당장 메필레스에게 낚이고 얼마 안 되어 에이미에게 또 이리저리 끌려다녔으며, 이러한 모습에서 실버의 성격을 '순진하고 우유부단하다'고 해석하는 팬들도 자주 보인다. 실제로 한동안 같이 활동했던 블레이즈도 실버를 '순진하다'고 평가하며, 일본판에서는 '덜 익었다' 혹은 '미숙하다'는 뜻에서 새파랗다(青い)는 말을 반복한다. 이는 본 문서 상단에 있는 실버의 질문에 대한 대답이기도 하다.

더불어 가면 갈수록 상당히 공손하게 변했지만, 처음에는 그리 공손한 캐릭터는 아니었다. 소닉 라이벌즈 시리즈에서 초반에 남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다소 성급하고 무례하게 군다. 처음 보는 너클즈에게 다짜고짜 너 같은 놈이라는 소리를 했다가 건방지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으며, 한술 더 떠서 소닉과의 첫대면에서는 꺼지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닉 컬러즈와 제너레이션즈를 거치면서 소닉의 실력을 알자 소닉을 의심하지 않게 되며, 제너레이션즈 막판에 소닉이라면(I know you can do this Sonic!) 타임 이터를 쓰러뜨릴 수 있을 거라며 응원해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포시즈에서는 소닉 일행과 함께 싸워주는 전우가 되며, 소닉이 오기 전에 혼자서 인피니트와 1대 1로 육탄전까지 떴을 정도.[4]

종합해서, 여러 속성이 복합적으로 엮인 캐릭터이다 보니 소닉 제너레이션즈가 발매된 이후까지도 성격에 대해 확실한 해석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가면 갈수록 앞서 설명한 낙천성과 아이같이 순수한 매력이 조금 극대화되는 추세다.

3. 성우

3.1. 일본

3.2. 북미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실버 더 헤지혹/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술

참고로 실버 본인의 언급에 의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은 염동력으로 공격할 수 없다. 또한 레이저 계열의 공격은 사이코키네시스로 붙잡지 못한다.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sychokinesis_hotspot.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s18.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ilver_using_Levitate.jp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ilverkdv.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sycosmash.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ingle-Layered.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ilver_Shock.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sychic_controlv2.pn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2012-09-03_00034.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325080_10150343410432418_23050342417_7982931_1244659639_o.jpg 소닉 제너레이션즈 콘솔판의 라이벌 배틀에서 선보인 필살기. 사이코키네시스로 다수의 물체를 붙잡고, 하나의 거대한 철구를 형성하여 그대로 전방을 향해 던진다. 철구를 길을 따라 굴리는 식으로 상대를 압박하거나 직접 깔아뭉갤 수 있지만, 실버 본인이 공격을 받는 순간 철구를 이루던 물체들이 결합력을 잃고 산산이 무너져내리는 위험한 기술이다.[7]

6. 역대 이미지

파일:실버 06 버전.png 파일:실버 제너레이션 버전.png
소닉 더 헤지혹(2006) 소닉 제너레이션즈
소닉 휴대용 콘솔 외전 시리즈
파일:Silver_2.webp 파일:Sonic_Rivals_2_-_Silver.webp
소닉 라이벌즈 소닉 라이벌즈 2
소닉 스토리북 시리즈
파일:Sir_Galahad_3D_Artwork.webp
소닉과 암흑의 기사 (갤러해드 경)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레이싱 게임
파일:SilverZGartwork.webp 파일:Sonic-Free-Riders-Silver-artwork.webp 파일:silver.hedgehog.png
소닉 라이더즈 슈팅 스타 스토리 소닉 프리 라이더즈 팀 소닉 레이싱
소닉 모바일 게임
파일:Silverthehedgehog2.webp 파일:CUtsFy-XIAEcwTy.png-large.webp 파일:SFSB_Silver.webp 파일:SFSB_LanternSilver.webp
소닉 러너즈 소닉 러너즈 (ESP 실버) 소닉 포시즈(모바일) 랜턴 실버
파일:SonicDashNutcrackerSilver.webp
넛크래커 실버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
파일:Mario_&_Sonic_2010_Silver.webp 파일:Silver_upside_down.webp 파일:WaLuigiVSsilverTails.webp 파일:Silver_Tokyo.webp
마리오와 소닉 밴쿠버 동계 올림픽 마리오와 소닉 런던 올림픽 마리오와 소닉 소치 동계 올림픽[8] 마리오와 소닉 AT 2020 도쿄 올림픽

7. 기타

8. 관련 문서



[1] 외래어 표기법상 올바른 표기는 '실버 더 헤지호그'. [2] 바이두 백과 'silver the hedgehog' 문서 참조. [3] 소닉 더 헤지혹(2006)의 배경이 되는 도시 솔레아나는 베니스를 모티브로 하고 있는 도시이다. [4] 다만 이 육탄전은 실버의 캐붕이라고 평가받는다. 포시즈 이전까지 실버는 사물을 조종해서 공격하거나 에너지를 모아 전방으로 검기를 발사하는 등 초능력을 이용한 원거리 공격을 주로 사용했는데 갑자기 육탄전으로 싸우는 데다가 육탄전 때 썼던 기술은 공격용 기술도 아닌 이동용 기술인 레비테이트이다. 당연히 플레이어들은 캐붕이라 지적했다. [5] 이 기술로 물체를 변형하는 힘은 철골도 구부릴 수 있는 수준이다. [6]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시리즈의 한글판에서는 공중으로 떠오르기(...)라는 이름으로 번역했다. [7] 이와중에 위 사진을 잘 보면 챠오 인 스페이스의 낡아빠진 광고판이 보인다. ppl [8] 실버 이외의 캐릭터는 왼쪽부터 와루이지, 루이지,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9] 출처 http://sonic.sega.jp/SonicChannelOld/creators/010/index.html [10] 그것의 희생자가 바로.. [11] 일본판 대사는 무다다!"소용없다!". 참고로 이후 붙잡은 플레이어 캐릭터를 던져버릴 때 영판은 "Take this!"라고 외친다. 일본판에서는 "받아라!". 이때 플레이어 캐릭터에게 링이 없을 경우에는 영판은 "This will end it!", 일본판에서는 "이걸로 끝이다!"라고 외친다. [12] 이 노인은 몸과 일체화한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으로 까마득히 오래 전부터 살아왔으며 한때 온 우주를 휘어잡을 정도로 막강한 힘을 휘둘렀던 세계관 최강자 빌런이었던 맘모스 모굴이다. 실버가 온 망가진 시간대에서의 그는 세상이 파멸하기 전 어느 순간부터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이 쇠락하기 시작한 것을 느꼈고, 세상이 거의 망가져버릴 쯤에 한때 거느렸던 힘과 권력이 덧없음을 깨닫고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으로 겨우 연명하며 누추한 모습으로 지내고 있다. 한때 힘을 남용한 자로써 절대 권력(힘)은 궁극적으로 타락한다(Ultimate power ultimately corrups)는 그의 경고는 후에 실버가 에너작을 쓰러뜨리는 데 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