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02:46:20

신조협려(2006년 드라마)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0131><tablebgcolor=#010131><tablecolor=#ffc224> 김용 소설이 원작인 2차 창작물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원작 소설 저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김용(金庸)
작품 목록
드라마
<colbgcolor=#EEEEEE,#666666><colcolor=black,white> 1970년대 사조영웅전 (1976) · 신조협려 (1976) · 의천도룡기 (1978)
설산비호 (1978)
1980년대 사조영웅전 (1983) · 신조협려 (1983) · 신조협려 (1984) · 의천도룡기 (1984) · 의천도룡기 (1986) · 사조영웅전 (1988)
천룡팔부 (1982) · 소오강호 (1984)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소오강호 (1985) · 설산비호 (1985)
1990년대 의천도룡기 (1994) · 사조영웅전 (1994) · 신조협려 (1995) · 신조협려 (1998 - 싱가포르) · 신조협려 (1998 - 대만)
천룡팔부 (1990) · 설산비호 (1991) · 소오강호 (1996) · 천룡팔부 (1997) · 녹정기 (1998) · 설산비호 (1999)
2000년대 의천도룡기 (2001) · 사조영웅전 (2003) · 의천도룡기 (2003) · 신조협려 (2006) · 사조영웅전 (2008) · 의천도룡기 (2009)
소오강호 (2000) · 소보와 강희 (2001) · 소오강호 (2001) · 천룡팔부 (2003) · 설산비호 (2007) · 녹정기 (2008) · 서검은구록 (2009)
2010년대 신조협려 (2014) · 사조영웅전 (2017) · 의천도룡기 (2019)
천룡팔부 (2013) · 소오강호 (2013) · 녹정기 (2014) · 신소오강호 (2018)
2020년대 사조영웅전2024 (2024) · 김용무협세계: 신조협려 (2026)
녹정기 (2020) · 천룡팔부 (2021) · 비호외전 (2022)
영화
1950년대 사조영웅전 (1958)
1960년대 신조협려 (1960) · 의천도룡기 (1963) · 의천도룡기 (1965)
설산비호 (1964)
1970년대 사조영웅전 (1977) · 사조영웅전: 속집 (1978) · 의천도룡기: 대결국 (1978)
천룡팔부 (1977) · 소오강호 (1978) · 설산비호 (1978)
1980년대 사조영웅전: 제3집 (1981) · 의천도룡기 (1981) · 신조협려 (1982) · 양과와 소용녀 (1982) · 마전도룡 (1984)
비호외전 (1980) · 신천룡팔부 (1982) · 녹정기 (1983) · 신비호외전 (1984)
1990년대 의천도룡기: 마교교주 (1993)
소오강호 (1990) · 동방불패 (1992) · 녹정기 시리즈 (1992) · 동방불패2 (1993) · 정패위소보지봉지구녀 (1993) · 비호외전 (1993) · 동사서독 (1994) · 신천룡팔부: 천산동모 (1994)
2010년대 무림타이치- 장삼풍 (2018)
몽회녹정기 (2011)
2020년대 의천도룡기: 구양신공 (2022) · 의천도룡기: 성화웅풍 (2022) · 사조영웅전 : 협지대자 (2024)
설산비호: 8인의 악인 (2022) · 천룡팔부: 교봉전 (2023)
2차 창작 관련 문서
전체 사조영웅전 · 신조협려 · 의천도룡기 ( 드라마)
녹정기 · 설산비호외전 · 소오강호 ( 드라마 / 영화) · 천룡팔부
관련 둘러보기 틀
}}}}}}}}} ||
충칭TV 드라마
신조협려 (2006)
神雕侠侣
The Return of the Condor Heroes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공식 포스터2.jpg
<colbgcolor=#102321><colcolor=#E6E8E3> 별칭 신조협려 2006
神雕侠侣 2006
장르 시대극[1], 무협물, 가상역사물
방송 기간 2006년 3월 16일 ~ 2006년
방송 횟수 41부작[2]
제작 베이징자문영시제작유한공사
(北京慈文影视制作有限公司)
채널
[[중국|]][[틀:국기|]][[틀:국기|]] 충칭TV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아시아앤


<colbgcolor=#102321><colcolor=#E6E8E3> 제작 장지중(张纪中)
연출 위민(于敏 / 총감독), 자오젠(赵箭)
극본
류이(刘毅), 왕쉐징(王雪静), 탄란(谭岚), 랑쉐펑(郎雪枫)
원작 김용 저,
소설 《 신조협려(神鵰俠侶)
출연
황샤오밍(黃晓明), 류이페이(刘亦菲), 왕뤄용(王洛勇), 바인어르러(巴音额日乐), 콩린(孔琳), 멍광메이(孟广美), 천쯔한(陈紫函), 양미(杨幂), 종진도(鍾鎮濤), 가오후(高虎) 등
타이틀곡
오프닝
天下无双 - 장징잉(张靓颖 / Jane Zhang)
ㅤㅤ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엔딩
江湖笑 - 장지중(張紀中) 등 5명[3]
ㅤㅤ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스트리밍
[[왓챠|
WATCHA
]]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위험)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오프닝2.2. 포스터
3. 등장인물4. OST5. 평가

[clearfix]

1. 개요

2006년에 방송한 충칭TV의 드라마.

홍콩의 소설가 김용이 쓴 소설 《 신조협려》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주인공 양과가 자신의 사부이자 연인인 소용녀와 현실 속 고비와 그에 따른 이별 끝에 재회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함 주연(领衔主演)은 양과 역의 황샤오밍(黃晓明) 소용녀 역의 류이페이(刘亦菲)이고, 그 밖의 주연은 곽정 역의 왕뤄용(王洛勇), 금륜국사 역의 바인어르러(巴音额日乐), 황용 역의 콩린(孔琳), 이막수 역의 멍광메이(孟广美), 곽부 역의 천쯔한(陈紫函), 곽양 역의 양미(杨幂), 공손지 역의 종진도(鍾鎮濤), 곽도 역의 가오후(高虎)이다.

시간적 배경은 CE 1237년에서 1260년 사이의 송말원초 시기이며, 공간적 배경은 몽골 중원 남송 강남이다.

제작 기간은 2004년부터 2005년까지이다.

2. 공개 정보

2.1. 오프닝

<nopad>
공식 오프닝 영상

2.2. 포스터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공식 포스터3.jpg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공식 포스터4.jpg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공식 포스터5.jpg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공식 포스터(DVD).jpg
공식 포스터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양과|杨过
<nopad>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양과 공식 포스터.jpg
황샤오밍(黃晓明)
아역: 셰윤샨(谢昀杉)
이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 양강 목염자의 아들. 고묘파 장문인 소용녀의 제자.
소용녀|小龙女
<nopad> 파일:신조협려 드라마 2006 소용녀 공식 포스터.jpg
류이페이(刘亦菲)
이 드라마의 여자 주인공. 고묘파의 장문인. 양과의 사부. 양과가 '고모(姑姑)'라고 부르는 그 사람.

4. OST

<nopad>
Original Sound Track

5.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8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8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bgcolor=#275c9d><tablebordercolor=#275c9d> 파일:MyDramaList_logo.png ||
별점 8.0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60%


평가는 연출이나 대본의 완성도보다는 소용녀 류이페이의 비주얼 하나만 우직하게 믿고 가는 시리즈로 요약.[4] 양과 역의 황샤오밍도 나이가 좀 많다는 걸 빼면 양과 특유의 꾀 많고 익살스러운 면을 잘 살려 좋은 평가를 받는다. 다만 어린 시절 양과 역의 배우는 이미지가 성인판 배우와 억만광년 떨어져 있고 연기 자체도 주인공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개초딩스러운 모습 때문에 평가가 나쁘다. 이외에 설정 상으로는 아직 청년 정도일 곽정과 황용이 무슨 중년 아저씨, 아줌마처럼 나온 것도 미스캐스팅 평가를 받는 부분.

가장 큰 문제점은 이전 이후의 작품들에 비해 절정곡 사건 후 곽양이 등장하는 후반기 에피소드의 묘사가 상당 부분 짤려있다는 점이다. 그 이외에 CG가 많이 삽입됐지만 보기에는 그냥저냥 무난한 편이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중국의 CG기술이 대부분 이 수준이었기도 하고.

가장 주목받는 점을 들자면 소용녀 역의 류이페이, 곽양 역인 양미의 외모와 습기찬 동굴을 고묘라고 주장하는 세트, 그리고 베르세르크에서 나온 드래곤 슬레이어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온 현철중검 정도이다. 그 외에 〈신조협려 1998〉의 주제곡을 작곡한 샤오총(小蟲)의 '강호소(江湖笑)'도 상당한 명곡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평가'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평가'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중국식 표현으로는 '고장극(古装剧)'으로 불린다. [2] 회당 45분 분량 [3] 장지중(張紀中), 후쥔(胡軍), 저우화젠(周華健), 황샤오밍(黃曉明), 샤오총(小蟲) [4] 이 캐스팅 하나로 본작이 역대 신조협려 중 인기순위에서는 최고를 다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