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7:19:38

신삥/프랙처드 벗 홀에서의 클래스와 스킬


1. 개요2. 방귀 스킬
2.1. 방귀스킬 목록
3. 클래스 목록
3.1. 튜토리얼 한정
3.1.1. 좆만이 왕(가칭)
3.2. 본편 1차 클래스
3.2.1. 스피드스터 (Speedster)3.2.2. 브루탈리스트 (Brutalist)3.2.3. 블래스터 (Blaster)
3.3. 본편 2차 클래스
3.3.1. 엘레멘탈리스트 (Elementalist)3.3.2. 사이보그 (Cyborg)3.3.3. 사이킥 (Psychic)3.3.4. 어쌔신 (Assassin)3.3.5. 가젯티어 (Gadgeteer)
3.4. 본편 3차 클래스
3.4.1. 플랜트맨서 (Plantmancer)3.4.2. 마셜 아티스트 (Martial Artist)
3.5. DLC 추가 클래스
3.5.1. 네더본 (Netherborn)3.5.2. 파이널 걸 (Final Girl)

1. 개요

사우스 파크: 프랙처드 벗 홀에서의 신삥의 클래스와 스킬 일람

2. 방귀 스킬

진리의 막대 시절과 마찬가지로 모든 클래스가 공통으로 쓸수있다

스토리 진행 과정에서 주인공의 방귀 멘토로 등장하는 모건 프리먼이 등장해서 하나하나씩 알려준다. 전투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스토리 진행 혹은 숨겨진 요소를 찾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시 T 키를누른 후,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스킬을 WASD와 방향키의 조합(PC 기준)을 이용해서 사용한다.
모든 방귀 스킬은 적 턴에 시전 가능하며 행동을 하려는 적의 턴을 씹어먹기 때문에, 강적의 공격을 막을 수 있어 좋다. 최초의 방귀 스킬인 Glitch의 경우 이 기능밖에 없으므로, 일단 다른 방귀 스킬을 습득하게 되면 Glitch는 쓸 일이 없다.

2.1. 방귀스킬 목록

3. 클래스 목록

튜토리얼 이후 본격적인 클래스는 블래스터, 브루탈리스트, 스피드스터 중 하나를 고르게 된다. 이후 두 개의 클래스를 추가로 고를 수 있으며, 자유의 친구들 진영에 합류한 후엔 본격적으로 모든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파워 어플로 들어가서 가지고 있는 모든 직업의 기술을 세팅하는게 가능하다. 최대 4개의 클래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니 여러가지를 섞어보자. 클래스의 어빌리티마다 속성이 존재하고, 주인공의 스탯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된다. 아티팩트와 DNA, 특히 DNA에 신경을 쏟도록 한다. DNA와 궁합이 맞지 않을 경우 오히려 위력이 하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각 어빌리티의 속성은 Brawn (힘), Brains (지능), 그리고 Spunk (용기) 이렇게 세 개 중 하나이다.

레이신스(Raisins)에 있는 손님 NPC에게 쿤스타그램 팔로잉을 받기 위해서는 각 손님이 요구하는 특정 클래스의 기술을 세팅하고 있어야 한다.[1]

3.1. 튜토리얼 한정

말그대로 튜토리얼에서만 써볼 수 있다

3.1.1. 좆만이 왕(가칭)

튜토리얼에서만 써볼 수 있으며 각 스킬들의 힘, 용기, 지능의 대응 여부는 불명.

3.2. 본편 1차 클래스

튜토리얼 이후 처음으로 고르게되는 클래스

3.2.1. 스피드스터 (Speedster)

파일:사우스파크 스피드스터.jpg
패스트패스(지미)와 동일한 클래스이지만 스킬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치고 빠지는 전술, 그리고 넉백을 이용한 추가 데미지를 입히는 전술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단, 패스트패스가 초반부터 합류하기 때문에 겹치는 기술이 많고 궁극기의 경우 돌진이 아닌 직접 공격이며, 지미처럼 회복 스킬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아니라서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포지션이 애매모호하다. 2차 클래스를 선택한 이후 2번 스킬을 다른 스킬과 조합해서 쓰는 것도 하나의 활용법.

3.2.2. 브루탈리스트 (Brutalist)

파일:사우스파크 브루탈리스트.jpg
선택시 나오는 캐릭터는 판타스틱 포 더 씽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철저히 강력한 근접 공격에만 특화된 캐릭터로서 원거리 공격 스킬이 하나도 없다. 슈퍼 크레이그, 캡틴 당뇨병과 기술이 많이 겹치는데 이쪽도 같은 클래스이기 때문. 클래스 자체의 성능은 대미지와 넉백에 맞춰져 있다. 나쁜 건 아닌데 과도하게 정직하며 탱킹과 유틸리티는 따로 없어서 비슷한 방면으로 성능이 좋은 크레이그나 스콧이 대체제 역할을 맡다보니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3.2.3. 블래스터 (Blaster)

파일:사우스파크 블래스터.jpg
초반에 선택 가능한 다른 클래스에 비해 사거리가 길지만 모든 클래스를 통틀어서 화력이 가장 떨어지는 편에 속한다. 기술에 붙어있는 화상이 어느정도 보정은 해준다지만, 아티팩트로 세 자리 수 대미지가 들어가도록 강화해 주지 않는 이상 그걸 감안해도 너무 약한 것 아니냐는 평이 많다.

3.3. 본편 2차 클래스

3.3.1. 엘레멘탈리스트 (Elementalist)

파일:사우스파크 엘리멘탈리스트.jpg
2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화력이 높지는 않지만[6] 회복 및 디버프에 특화되어있다. 원더 트윅과 휴먼 카이트가 이 클래스.[7]

전반적으로 딜링 능력은 나쁘지 않은 수준인거지 압도적이진 않으며, 보유하고 있는 감전과 빙결 디버프, 그리고 회복기술은 트윅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쓸모가 없어보일 수 있겠지만 빙결 디버프는 반드시 쿨이 붙어있는 기술인 만큼 상대방이 빙결에 저항만 없다면 많다고 해서 손해 볼 일이 전혀 없다.

회복 기술의 경우에도 회복 능력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널려있는 만큼 엘리멘탈리스트의 회복은 큰 의미가 없어보일 수 있겠지만 무려 노쿨 정화에 공벞이라는 점으로 생각해본다면 헨리에타의 2번 기술과 비슷하기 때문에 생각 이상으로 유용한 유틸기라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특히 아군이 유혹이나 빙결, 혼란등의 치명적인 디버프에 걸린 경우, 혹은 출혈이나 역겨움이 걸려있는데 남은 체력이 많지 않은 경우 스토리모드에서 자레드 전투를 클리어하고 획득할 수 있는 '폭발하는 젊음의 텀블러'를 장착하지 않았다면 아이템보다 회복기가 더 유용할 수 있다.

궁극기의 경우 안정적인 턴넘기기가 가능한 유용한 궁극기.

전반적으로 빙결 저항이 없는 적을 상대한다면 게임 내내 빙결 기술 하나 정도는 채용했을 때 굉장히 편하게 전투를 풀어나갈 수 있다.

3.3.2. 사이보그 (Cyborg)

파일:사우스파크 사이보그.jpg
2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근거리 공격과 원거리 공격이 유틸리티로 적절히 배합된 클래스로서 성능도 괜찮은 편이다. 그러나 확실한 딜링이 어렵다는게 아쉬운 점.

3.3.3. 사이킥 (Psychic)

파일:사우스파크 사이킥.jpg
2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플레이어블은 아니지만 티미 버치가 이 클래스다.

3.3.4. 어쌔신 (Assassin)

파일:사우스파크 어쌔신.jpg
2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근거리 공격 위주지만 데미지가 괜찮은 편이고 출혈 디버프까지 부여하며, 자신을 투명 상태로 만들어서 적군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출혈 디버프가 동반되는 물리 공격이 있다는 점에서 쿤과 유사하고, 자신을 투명 상태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패스트패스와 유사하다. 장점을 적절히 배합한 클래스.

3.3.5. 가젯티어 (Gadgeteer)

파일:사우스파크 가젯티어.jpg
2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모든 스킬이 지능(Brain) 속성으로서, 강력한 일격을 가하기 보다는 적군을 저지하기 위한 스킬들을 보유하고 있다. 설치하는 장비들이 하나같이 공격 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반면, 적군이 공격 범위 내에 들어갈 확률도 낮은 편이라 사용하기에 정말 애매하다. 하지만 궁극기의 성능은 굉장히 좋은 편이므로 조합해서 사용하면 괜찮은 편.

3.4. 본편 3차 클래스

3.4.1. 플랜트맨서 (Plantmancer)

파일:사우스파크 플랜트맨서.jpg
3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포이즌 아이비 포지션에 해당하는 캐릭터다. 식물을 조종해서 적군을 공격할 수 있고, 적군을 매혹시켜서 트롤링을 유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아군에게 힐링 및 버프까지 줄 수 있다. 마셜 아티스트와 마찬가지로 3개의 기술 중 2개의 기술의 쿨타임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모든 기술의 성능이 우수해서 그러한 단점을 상쇄하고도 남는다. 궁극기의 경우 보스전에서 굉장히 유용하다.

3.4.2. 마셜 아티스트 (Martial Artist)[9]

파일:사우스파크 마셜 아티스트.jpg
3차 클래스 선택 시 해금. 아이언 피스트와 비슷한 포지션의 캐릭터. 얼핏보면 강력할 것같지만 막상 쓰기엔 애매하다. 일단 1번과 3번 기술의 경우 기술 자체만 놓고 보면 강력하지만 2턴의 쿨타임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쿨타임없이 항상 사용 가능한 기술은 2번 기술 뿐. 궁극기도 적군의 어그로를 끌고 자신을 보호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다.

3.5. DLC 추가 클래스

특청 DLC를 구매한 후에만 갈수있는 지역을 어느정도 진행해야 해금되는 클래스

3.5.1. 네더본 (Netherborn)

파일:사우스파크 네더본.jpg
2차 DLC "From Dusk Till Casa Bonita" 에서 새로 추가된 클래스로서, 미스테리온과 동일한 클래스이다. 다만, 사망 후 유령으로 활동하는 것은 불가능, 그래도 딜링은 물론이고 버프, 디버프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위협이 되는 적군들을 얼려서 무력화시키는 플레이까지 가능한 만능 캐릭터.

3.5.2. 파이널 걸 (Final Girl)[10]

파일:사우스파크 파이널 걸.png
3차 DLC "Bring The Crunch" 에서 새로 추가된 클래스로서, 공포 영화의 클리셰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여주인공이 모티브다. 출혈 및 새로 등장한 상태이상인 '과다출혈(HEMORRHAGING)'을 주력 딜로 사용하며, 적을 다양한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기에,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전투를 하기에 좋고, 상대를 공격을 못하는 방향으로 밀어버리는 전략적인 운용도 가능한 클래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최후반부에 티미가 모든 클래스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2] 정확히는 이 스킬은 사용한 턴+연속 두 턴이다. 그래서 총 3번 이동하며, 3턴 어치 궁극기 게이지가 쌓인다. [3] 순수 대미지의 화력 격차로 역겨움 디버프 대미지 격차를 충분히 매꾸고도 여유가 많이 남는다. [4] 이쪽은 아티팩트로 최대 체력이 증가하는 보정도 받기 때문에 공격 후 반격을 당하더라도 최소 두어 턴 정도는 그냥 버틴다. [5] 애초에 스피드스터의 기본 공격도 중거리 기술이며 아군을 앞에 끼워서 안전하게 지르는 것이 가능하다. 휴먼 카이트의 경우에도 원래 탱커를 최전방에 내세우고 그 뒤에서 이들에게 실드를 걸거나 원거리 공격을 하는 서포터이기 때문에 이상적으로 생각하면 적이 전체 광역기나 돌진기를 쓰지 않는 이상 휴먼 카이트가 공격당할 일은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6] 그래도 블래스터보다는 높다. [7] 휴먼 카이트의 경우 엘레멘탈리스트-블래스터 클래스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휴먼 카이트는 총 2개의 클래스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것 같다. 다시 말하자면, 휴먼 카이트는 엘레멘탈리스트 클래스에 속하기도 하고, 블래스터에 속하기도 한 하이브리드 히어로인 셈이다. [8] 다만 플랜트맨서보다 살아있는 아군 케어에 더 적합한 기술인지라 아얘 하위호환은 아니다.무엇보다 그 눈갱을 버틸수가 없을 걸? [9] 한글패치 명칭은 무술가 [10] 한글 패치판 명칭은 최후의 소녀 [11] 오른쪽 밑 턴 순서를 나타내는 타임라인에서 캐릭터 이미지에 붉은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 [12] 즉사이기 때문에 의미 없기는 하지만 비슷하게 스탯의 영향을 안 받는 기술인 스피트스터의 더블 앳지도 능력치가 표시된 것을 생각하면 확실히 특이한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