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식 레스토랑의 식기들. |
[clearfix]
1. 개요
식기( 食 器, tableware)는 좁게는 '식사[食]를 할 때 사용하는 그릇[器]'이나, 넓게는 수저 및 커틀러리 등 식사에 사용되는 도구를 총칭한다. 일상적으로는 넓은 의미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제작 재료에 따라 나무를 깎아 만든 목기, 흙을 빚어 구운 도기, 금속을 두드려 만든 금속기가 있다. 현대에는 플라스틱 같은 합성수지 제품도 널리 쓰이고 있다. 식기의 발명으로 인간은 죽, 국 등으로 대표하는 '물기가 많은'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게 되었다.
2. 형태에 따른 종류
2.1. 커틀러리(양식기)
자세한 내용은 커틀러리 문서 참고하십시오.2.2. 젓가락
자세한 내용은 젓가락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용기
3. 재질에 따른 종류
3.1. 목기
나무를 깎아서 만들어낸 식기. 가장 극초기의 식기로 추정되지만 유물은 거의 남아있기 어렵기에 정확히는 알 수 없다. 기본적으로 습기에 약하고 내구성이 안 좋다. 특성상 흠집이 생기기 쉬워 미생물 등이 번식하기 쉽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유기물질로 된 소재를 제대로 관리 못하기 때문에, 통념과는 달리 오히려 금속이나 합성수지 제품이 더 건강에 나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런 소재는 코팅이 벗겨지거나 변형이 오면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환경적으로 낭비를 초래할 수도 있다.이 때문에 이후 도기가 탄생하고, 연이어 금속기가 나오면서 서서히 식기의 주역에서 밀려났다. 하지만 원료수급에 시간이 걸리고 제조과정도 복잡한 타 식기에 비해 원료가 굴러다니고 제작난이도가 낮다는 이점이 있다. 낮은 제작비용과 난이도는 일용품으로선 훌륭한 미덕이었고, 그렇기에 '소모품'으로 쓸 것을 전제할 상황에선 현대에도 아직 쓰일 정도. 현대에는 플라스틱이라는 걸출한 소재가 경쟁자로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자신의 입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후배들에게 무조건적으로 밀리기만 한 건 아니라 꾸준히 발전해오기도 했다. 옻칠을 한 전통 목제식기는 현대에도 여전히 귀한 대접을 받고있다. 신소재의 위력 앞에 굴복한 분야가 많다는걸 감안했을 때, 밀리기는 했어도 아직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목기가 결코 수준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
3.2. 도기
흙을 빚어내 구워서 만들어낸 식기이다. 필요 기술이 낮은 토기, 옹기수준의 물건도 필수품으로서 생활 곳곳에서 쓰였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도자기들은 고위층이 사용하는 고급품으로서 단순한 그릇을 넘어 예술품으로까지 대우받았다. 이런 도기는 현대에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이들의 단점은 무게가 무겁고 깨지기 쉬워서 내구성이 좋지 않으며 휴대성도 나쁘다.3.3. 금속기
금속기는 금, 은, 구리, 철, 주석 등의 금속을 가공해서 만든 식기들을 가리킨다. 목기나 도기와 달리 내구성이 매우 좋고 미관도 좋을 뿐더러 관리도 편하다는 삼박자가 아우러져서 사랑받아왔다. 이들 중 금은 워낙에 귀했기에 그것만으로 만들기 보다는 최고급 식기에 장식으로 들어가는게 보통이었고[1] 은은 부식성이 높아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그 높은 부식성이 역으로 '독의 파악'에 매우 유용하였기에 동서를 불문하고 고위층에게 애용받았다.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다는 말이 '부잣집에서 태어났다'는 의미를 지녔을 정도. 다만 이 둘은 식기로 쓰기에는 가격이 미친듯이 높아서 고위층이 아니면 못 쓴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금속식기의 장점이 장점이다 보니 인간 기술자들은 자신들의 기술력을 마음껏 발휘했고, 결국 구리합금( 유기), 주석합금(퓨터), 철 합금등을 이용해 가격은 싸면서도, 저들과 비교해서 꿀리지 않은 금속식기를 만들어냈다.퓨터의 경우, 로마시대에 이미 존재했을 정도로 오래 됐는데[2], '빈자의 은'이라 불렸을 정도로 은식기의 대용으로 쓰였다는듯 하다. 철 합금은 일단 철 자체로도 쓰였던 듯 하지만, 현대인에게는 스테인레스 재질 식기가 익숙하다. 싸고 튼튼한데다, 심지어 '관리 안하면 녹슨다'는 금속식기 최대의 단점을 극복한 스테인레스 식기는 바쁜 현대인에게 급속도로 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