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9 17:24:10

시게무네 유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참의원 제2대 참의원 제3대 참의원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마쓰다이라 스네오 사토 나오타케 가와이 야하치
제4대 참의원 제5대 참의원 제6대 참의원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마쓰노 쓰루헤이 시게무네 유조
제7대 참의원 제8대 참의원 제9대 참의원 제10대 참의원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시게무네 유조 고노 겐조
제11대 참의원 제12대 참의원 제13대 참의원 제14대 참의원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야스이 겐 도쿠나가 마사토시 기무라 무쓰오 후지타 마사아키
제14대 참의원 제15대 참의원 제16대 참의원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쓰치야 요시히코 오사다 유지 하라 분베에
제17대 참의원 제18대 참의원 제19대 참의원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사이토 주로 이노우에 유타카
제19대 참의원 제20대 참의원 제21대 참의원 제22대 참의원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구라다 히로유키 오기 치카게 에다 사쓰키 니시오카 다케오
제22대 참의원 제23대 참의원 제24대 참의원 제25대 참의원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히라타 겐지 야마자키 마사아키 다테 추이치 산토 아키코
제26대 참의원
제33대
오쓰지 히데히사
← 귀족원 의장
}}}}}}}}}}}}}}} ||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운수대신 (1949~2001)
1-2대
고비야마 나오토
3대
다나카 다케오
4대
미츠치 추조
5·14대
무라카미 기이치
6대
히라쓰카 쓰네지로
7대
마스다 가네시치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8대
도마베치 기조
9대
기타무라 도쿠타로
10대
오카다 세이이치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11대
오자와 사에키
12대
오야 신조
13대
야마자키 다케시
5·14대
무라카미 기이치
15-16대
이시이 미쓰지로
17-18대
미키 다케오
19대
요시노 신지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20-21대
미야자와 다네오
22대
나카무라 산노조
23대
나가노 마모루
24대
시게무네 유조
25대
나리하시 와타루
26대
미나미 요시오
27대
고구레 부타유
28대
사이토 노보루
29-30대
아야베 겐타로
31-32대
마츠우라 슈타로
33대
나카무라 도라타
34대
아라후네 세이주로
35대
후지에다 센스케
36-37대
오오하시 타케오
38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39대
하라다 겐
40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41대
니와 교시로
42대
사사키 히데요
43대
신타니 도라사부로
44대
도쿠나가 마사토시
45대
에토 아키라
46대
기무라 무쓰오
47대
이시다 히로히데
48대
타무라 하지메
49대
후쿠나가 겐지
50대
모리야마 긴지
51대
지사키 우사부로
52대
시오카와 마사주로
53대
고사카 도쿠사부로
54대
하세가와 다카시
55대
호소다 기치조
56대
야마시타 도쿠오
57대
미쓰즈카 히로시
58대
하시모토 류타로
59대
이시하라 신타로
60대
사토 신지
61대
야마무라 신지로
62대
에토 다카미
63대
오노 아키라
64대
무라오카 가네조
65대
오쿠다 게이와
66대
오치 이헤이
67대
이토 시게루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68대
후타미 노부아키
69대
가메이 시즈카
70대
히라누마 다케오
71대
가메이 요시유키
72대
고가 마코토
73대
후지이 다카오
74대
가와사키 지로
75-76대
니카이 도시히로
국토교통대신으로 계승
75-76대
니카이 도시히로
77대
모리타 하지메
78대
오키 지카게
}}}}}}}}}}}}

제3대
미키 지로
제4대
시게무네 유조
제5대
테라오 지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마츠노 츠루헤이
2대
노무라 기치사부로
3대
요시노 신지
4대
시게무네 유조
5대
하야시야 카메지로
6대
아오키 가즈오
7대
히라이 타로
8대
코리 유이치
9대
야스이 켄
10대
도쿠나가 마사토시
11대
마치무라 킨코
12대
기무라 무츠오
13대
후지타 마사아키
14대
쓰치야 요시히코
15대
야마우치 이치로
16대
오사다 유지
17대
하라 분베에
18대
사이토 주로
19대
엔도 카나메
19대
엔도 카나메
20대
사카노 시게노부
21대
이노우에 키치오
22대
이노우에 유타카
23대
무라카미 마사쿠니
24대
타케야마 유타카
25대
아오키 미키오
26대
오쓰지 히데히사
26대
오쓰지 히데히사
27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28대
미조데 겐세이
29대
하시모토 세이코
30대
세키구치 마사카즈
30대
세키구치 마사카즈
}}}}}}}}}

}}} ||
일본국 제12-15대 운수대신
일본국 제8-10대 참의원 의장
시게무네 유조
重宗雄三 | Shigemune yujo
파일:시게무네 유조.jpg
출생 <colbgcolor=#ffffff,#191919> 1894년 2월 11일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
사망 1976년 3월 13일 (향년 82세)
도쿄도
학력 도쿄공업대학 부속 고등학교 (졸업)
직업 정치인
의원 선수 5 (참)
의원 대수 1, 2-3, 4-5, 6-7, 8-9
경력 메이덴 대표이사
일본 참의원 의장
일본 참의원 부의장
제24대 운수대신 (제1차 기시 노부스케 내각)
자민당 참의원 의원 회장
일본 제국 귀족원 위원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정치인. 같은 야마구치현 출신인 기시 노부스케, 사토 에이사쿠와 더불어 조슈 고산케(長州御三家)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2. 생애

1894년 2월에 야마구치현 이와쿠니시에서 태어났다. 1912년 3월 도쿄고등공업학교 부속 공업보습학교(현 도쿄공업대학 부속 과학기술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형 시게무네 요시미즈가 1896년에 창업한 회사 메이덴샤[1]에 입사했다. 1938년엔 대표이사가 되었고, 1946년 정계로 진출해 귀족원 의원에 칙선[2]되었다.

1947년 일본국 헌법 제정에 의해 귀족원이 폐지되자 새로 신설된 상원의원 개념인 참의원으로 자리를 옮겼고, 그해 3월 열린 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요시다 시게루의 일본자유당 후보로 전국구 선거구에 입후보해 당선되었다.[3]

1953년 5월 참의원 부의장이 되어 1956년 5월까지 재임했다. 1959년 4월에는 제2차 기시 내각에 운수상으로 입각했다. 이후 2개월 만에 물러나서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이 되었다. 1961년에 전기기계공업의 기술 향상과 품질 개선을 통한 국산화를 이루어 일본 제품의 수출 진흥에 공헌해 남수포상을 수훈했다.

1962년 참의원 의장에 취임했다. 이후 참의원의 제왕으로 군림하며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내각을 지탱해 참의원의 실력자로 불렸다.[4]이러한 시게무네의 정치적 영향력은 사토 내각 때 절정에 달해 기시, 사토와 함께 조슈 고산케로 불렸다.

심지어 총리대신으로 막강한 권력을 쥐고 있었던 사토 에이사쿠도 법률안의 원만한 처리를 위해 직접 의장실을 찾아가 시게무네에게 머리를 숙이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전임 의장인 마쓰노 쓰루헤이[5]가 일본자유당 당적을 유지한 채 참의원 의장으로 재직한 것을 본받아 시게무네도 참의원 의장이 된 뒤에도 자민당 당적을 유지했다.

그리고 대다수의 자민당 참의원들을 자신의 파벌인 청풍회에 가입시켜 세를 과시하였고, 각료 추천권을 가지고 있는 자민당 참의원 의원회장을 제치고 인사에 상당한 영향력도 미쳤다. 각료 자리에 오르길 희망하는 참의원 의원들이 거의 매일마다 시게무네의 의장실을 찾아갔기 때문에 당시의 참의원을 두고 "시게무네 왕국", "시게무네 천황"이라는 표현까지 나올 정도였다.

한편 시게무네는 이러한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통해 참의원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시키려 노력했고, 한일기본조약, 오키나와 반환 협정 등의 법안을 강행 처리하며 전후 일본의 역사에 한 획을 긋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게무네의 독재적이고 강압적인 스타일에 반감을 가지고 있던 의원들도 적지 않았고, 사토의 후임을 두고 벌어진 각복전쟁과 4선 총재인 사토 에이사쿠와의 관계 악화로 그는 1971년 참의원 의장 선거에 불출마했다. 사실 원래 그는 참의원 의장 재출마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시게무네와 줄곧 대립각을 세워왔던 고노 겐조가 참의원 의장 선거에 출마한다는 소식을 듣고 고노의 출마 단념을 목적으로 불출마를 단행했으나, 고노는 참의원 개혁을 명분으로 의장 선거에 출마했고 시게무네 반대파 의원들이 야당 의원들과 손을 잡고 시게무네가 지지하던 기우치 시로를 10표차로 꺾고 고노가 후임 의장직에 선출되게 된다.[6]

정치적 영향력이 줄어든 시게무네는 1974년 참원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은퇴했고, 그가 재직한 참의원 의장 재임일수 3,242일은 참의원 사상 최장 기록을 세웠다.

1976년 3월 13일 향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도쿄 미나토구의 아오야마 장의소에서 자민당장으로 치러졌으며, 사후 종2위가 수여되었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46 - 1948 창당


1948 - 1950 창당


1950 - 1955 창당


1955 - 1979 합당
사망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지역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6 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전국구

1,360,456 (6.40%) 당선 (61위) 초선
1950 제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8,131,756 (29.05%) 당선 (33위) 재선
1956 제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1,356,874 (39.69%) 당선 (9위) 3선
1962 제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6,581,637 (46.4%) 당선 (25위) 4선
1968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20,089 (46.7%) 당선 (5위) 5선

5. 여담


[1] 일본의 인버터 및 공업용 전자 장비 및 전기장치 제조회사, 1986년 한국에 진출하였고 2006년 10월 메이덴 코리아가 설립되었다. 홈페이지 [2] 공적 혹은 학식이 있는 인물 중에서 내각의 보필에 근거해 일본 천황이 직접 선출하는 방식이었다. [3] 시게무네가 참의원에 당선되며 정치 생활을 이어갈수 있었던 배경에는 동향 출신 사토 에이사쿠와 기시 노부스케의 권유가 크게 작용했다. [4] 시게무네는 참의원의 천황이라 불리울 정도로 참의원내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통해 자민당 총재 선거 때마다 80표 이상을 동원하며 이케다, 사토 정권을 지탱하였다. [5] 마쓰노 라이조의 부친, 마쓰노 요리히사의 조부. [6] 고노는 참의원 의장 선출 이후 자민당을 탈당하며 시게무네의 의장의 당적 보유 권한을 깨트렸다. [7] 이나 센베이 위에 이나 갖가지 재료들을 넣고 구워 삼각형 형태로 잘라 만든 전통과자이다. [8] 다라는 대구, 후쿠는 복어, 다라후쿠는 '배가 터지도록'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