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7408b> 잠수함 | <colbgcolor=#27408b> SS |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 ||
SSG | 그레이백급R | ||||
SSN |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 SSN(X)} | ||||
SSGN | 오하이오급*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 컬럼비아급} | ||||
고속정(PC)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 ||||
호위함(FF) |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컨스텔레이션급} | ||||
구축함 | 구축함(DD) |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
방공구축함(DDG)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 DDG(X)} | ||||
순양함 | 순양함(CL, CA) |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 |||
방공순양함(CG) |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
||||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전함 (BB)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
LPH | 이오지마급R | ||||
LHD | 와스프급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 ||||
LSD |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 ||||
LST | 뉴포트급R | ||||
LSV |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 ||||
EPF | 스피어헤드급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군수지원함 |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 ||||
지휘함 |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 ||||
원정이동기지선 (ESB) |
루이스 B. 풀러급 | ||||
항공모함 | 재래식(CV) |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
|||
핵추진(CVN)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잠수함모함 (AS)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
구축함모함 (AD) |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 ||||
무인함 | USV | 시 헌터, { LUSV} | |||
UUV | 오르카 XLUUV, { 후긴 AUV} | ||||
대형호위함(범선) | 컨스티튜션*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개요
스피어 헤드급 원정 고속 수송함 (Spearhead-class Expeditionary Fast Transport, EPF)은 미 해병대와 미 육군의 원정 운용을 염두에 두고서 미 해군 주도로 개발된 함선이다. 현재 해상수송사령부에서 운용중이라 함명에 USS가 아닌 USNS 접두어를 가진다. 함번의 EPF 앞에 붙은 T- 접두사는 민간 계약 승무원이 운용하는 경우.SWATH(Small Waterplane Area Twin Hull) 선형과 35~45노트에 달하는 고속이 특징. 원래 Joint High Speed Vessel (JHSV)로 불렸으나, 2015년 현재의 EPF로 재지정된다.
2. 제원
스피어헤드급 원정고속수송함 {{{#ffffff Spearhead-class expeditionary fast transport}}} |
||||
건조 업체 | Austal USA[1] | |||
취역 역사 | 2010년 ~ 현재 | |||
취역/건조 완료/건조 중/건조 예정 | 10척/0척/2척/14척 | |||
전장 | 103 m | |||
전폭 | 28.5 m | |||
흘수선 | 3.83 m | |||
배수량 | 2,500 t | |||
재화중량톤수 | 700 t | |||
동력 | 기관 |
MTU 20V8000 M71L 디젤엔진 x4기 ZF 60000NR2H 감속기어 x4기 총 12,200 SHP |
||
추진 | Wärtsilä WLD 1400 SR 워터제트 | |||
최대속력 | 43노트 | |||
항속거리 | 35노트 순항 시 2,200 km | |||
승조원 | 22명~41명 | |||
탑승인원 | 312명 | |||
탑재화물 |
상륙작전시 갑판에 ACV 20~30대 탑재가능 |
|||
레이더 | ||||
무장 | 근접방어무기 | M2 12.7mm 기관총 x4문 (함수와 함미에 각각 2문) | ||
탑재선박 | RHIB 소형보트 | |||
탑재항공기 |
MH-60R 시호크 x1기 착륙 갑판에 CH-53E/K 나 V-22 착륙가능 |
3. 개발
미 육군과 해병대의 씨어터(Theater) 간 긴급 파견용으로 채용한 함선으로, 차량 포함하면 중대급, 보병만이라면 일개 대대급을 수송할 수 있다. 흘수선이 얕고(15피트), 100톤까지 버티는 선체 후방의 접히는 램프도어가 간이 잔교 역할을 해서 차량이 빠르게 출입할 수 있다.원래 이 디자인은 Hawaii Superferry 사를 위해 오스탈 USA가 건조하고 2007년에 민간 취역했던, 민수용 고속 SWATH 쌍동선 페리가 원형이다. 완전한 군용으로 생산한 스피어헤드급과는 70% 부품을 공유한다고 한다. 하와이 슈퍼페리 사가 도산하자 슈퍼페리에서 만들어놓은 두 척의 민수 페리도 미 해군에서 가져가서 2009년부터 고속 수송용으로 쓰고 있다.
미 해병대에서는 어떻게든 상륙강습함으로 써먹을 구석을 노리고 있다. 매우 쓸만한 배이지만 웰덱이 없는 것이 단점이라 꼽으며, ACV(Amphibious Combat Vehicles) 발진용으로 쓸 수 있게 항구 승하차용 램프도어를 물에 넣는 스플래시 기능을 달 수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 또한 미 해병대에서는 MV-22 오스프리 플랫폼으로도 검토했으나, 기존 설계에서는 너무 무겁고 오스프리의 엔진 발열로 플라이트덱에 피해가 올 수 있어서 거절된 바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용도로 써먹을 구석을 연구해봤지만, 구조적 단점 탓에 별로 성공적이지 않다. 차량 탑재용 램프도어 구조가 안정적인 항구에서 쓰기 위한 것이다보니 Mobile Landing Platform (MLP)을 통해 해상에서 차량을 옮겨싣기에는 불안하고, 네이비 실 SEAL Delivery Vehicle (SDV)를 발진할 때도 파고가 심하면 실 대원들이 SDV에 옮겨타기 힘들어진다. 해적 단속 작전에서도 동원을 고려해봤는데, EPF는 무장이 전혀 없다는 문제가 있는데 해적 수준은 탑승한 승무원들이 개인화기나 기관총 레벨로 해결할 수 있을 거라 봤다.
하지만 기본 목적인 고속수송함으로서는 확실하게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SWATH 선형이라 파도가 심한 원양에서 고속으로 수송할 수 있다.
EPF-14부터 EPF Flight II로 지정되며, 원래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한채로 의료 기능을 강화하고, V-22 오스프리 지원 능력, 11미터급 RIB보트 발착 능력을 강화하게 된다.
머시급 병원선 대체 대상안 중 하나로 스피어헤드급 기반 병원선이 제안되었으며, 2023년 3대 분량의 Expeditionary Medical Ships (EMS)에 대해 군 예산이 배정되었다. 느려터지고 비무장인 구형 병원선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거라 한다. 수술실 4개, 침상 124개, ICU 등을 갖춘다. 첫 함선인 USNS Bethesda (T-EMS-1)가 2026년 인도 예정.
4. 동형함 목록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기타 | |
Flight I | |||||||
1 | T-EPF-1 | 스피어 헤드 (Spearhead)[2] | 2010년 7월 22일 | 2011년 9월12일 | 2012년 12월 5일 | - | 현역 |
2 | T-EPF-2 | 촉토 카운티 (Choctaw County)[3] | 2011년 11월 8일 | 2012년 10월 1일 | 2013년 6월 6일 | - | 현역 |
3 | T-EPF-3 | 밀리노켓 (Millinocket)[4] | 2012년 5월 3일 | 2013년 6월 5일 | 2014년 3월 21일 | - | 현역 |
4 | T-EPF-4 | 폴리버 (Fall River)[5] | 2013년 5월 20일 | 2014년 1월 16일 | 2014년 9월 15일 | - | 현역 |
5 | T-EPF-5 | 트렌튼 (Trenton)[6] | 2014년 3월 10일 | 2014년 9월 30일 | 2015년 4월 13일 | - | 현역 |
6 | T-EPF-6 | 브런즈윅 (Brunswick) | 2014년 12월 2일 | 2015년 5월 19일 | 2016년 1월 14일 | - | 현역 |
7 | T-EPF-7 | 카슨시티 (Carson City)[7] | 2015년 7월 31일 | 2016년 1월 20일 | 2016년 6월 24일 | - | 현역 |
8 | T-EPF-8 | 유마 (Yuma)[8] | 2016년 3월 29일 | 2016년 9월 17일 | 2017년 4월 21일 | - | 현역 |
9 | T-EPF-9 | 시티 오브 비스마르크 (City of Bismarck)[9] | 2017년 1월 18일 | 2017년 6월 7일 | 2017년 12월 19일 | - | 현역 |
10 | T-EPF-10 | 벌링튼 (Burlington)[10] | 2017년 10월 26일 | 2018년 3월 1일 | 2018년 11월 15일 | - | 현역 |
11 | T-EPF-11 | 푸에르토리코 (Puerto Rico) | 2018년 8월 9일 | 2018년 11월 13일 | 2019년 12월 10일 | - | 현역 |
12 | T-EPF-12 | 뉴포트 (Newport)[11] | 2019년 1월 29일 | 2020년 2월 20일 | 2020년 9월 3일 | - | 현역 |
13 | T-EPF-13 | 애팔래치콜라(Apalachicola)[12] | 2021년 1월 21일 | 2021년 11월 13일 | - | - | 테스트중 |
Flight II | |||||||
14 | T-EPF-14 | 미정 | - | - | - | - | 건조예정 |
[1]
호주방산업체 Austal을 모기업으로 둔 미국현지업체. 삼동선인
LCS 인디펜던스급도 건조한 경험이 있고, 이 분야에 특장점이 있는듯. 실제로 LCS 프리덤급은 빠르게 도태되었지만 인디펜던스는 비교적 천천히 퇴역 중이기도 하고, 이들이 만든 쌍동선 페리는 운영사가 망하자 미 해양청을 거쳐 2012년 미 해군에서 낼름 수송선으로 채갈 정도니, 여기 쌍동선 함선 자체는 만족스러운 모양.
[2]
창끝, 선봉, 선두에 서다란 의미다.
[3]
미국 오클라호마주에 있는 카운티
[4]
미국 메인주 페놉스콧 카운티에 있는 타운
[5]
미국 매사추세츠주 남동부에 있는 도시
[6]
미국 뉴저지주의 주도
[7]
미국 네바다주의 주도
[8]
미국 애리조나주 남서부에 있는 도시
[9]
미국 노스다코타주의 주도
[10]
미국 버몬트주에 있는 도시
[11]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남동부에 있는 도시
[12]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