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자위대 육상막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경찰예비대 중앙본부장 겸 총감 하야시 게이조 |
보안대 제1막료장 하야시 게이조 |
초대 쓰쓰이 다케오 |
제2대 스기야마 시게루 |
제3대 스기타 이치지 |
제4대 오모리 간 |
제5대 아마노 요시후사 |
제6대 요시에 세이이치 |
제7대 야마다 마사오 |
제8대 기누가사 하야오 |
|
제9대 나카무라 류헤이 |
제10대 마가리 도시로 |
제11대 미요시 히데오 |
제12대 구리스 히로오미 |
제13대 다카시나 다케히코 |
|
제14대 나가노 시게토 |
제15대 스즈키 도시미치 |
제16대 무라이 스미오 |
제17대 와타나베 게이타로 |
제18대 나카무라 모리오 |
|
제19대 이시이 마사오 |
제20대 데라시마 다이조 |
제21대 시마 아쓰시 |
제22대 니시모토 데쓰야 |
제23대 도미자와 히카루 |
|
제24대 와타나베 노부토시 |
제25대 후지나와 유지 |
제26대 이소지마 쓰네오 |
제27대 나카타니 마사히로 |
제28대 맛사키 하지메 |
|
제29대 모리 쓰토무 |
제30대 오리키 료이치 |
제31대 히바코 요시후미 |
제32대 기미쓰카 에이지 |
제33대 이와타 기요후미 |
|
제34대 오카베 도시야 |
제35대 야마자키 코우지 |
제36대 유아사 고로 |
제37대 요시다 요시히데 |
제38대 모리시타 야스노리 |
}}}}}}}}} |
일본국 제3대 육상막료장 [ruby(杉田, ruby=すぎた)][ruby(一次, ruby=いちじ)] 스기타 이치지 | Ichiji Sugita |
|
|
|
<colbgcolor=#c0a73f><colcolor=#FFF> 출생 | 1904년 3월 31일 |
일본 제국 나라현 | |
사망 | 1993년 4월 12일 (향년 89세) |
재임기간 | 제3대 육상막료장 |
1960년 3월 11일 ~ 1962년 3월 11일 | |
군사 경력 | |
임관 | 일본육군사관학교 37기 |
복무 | 일본 제국 육군 |
1925년 ~ 1945년 | |
육상자위대 | |
1954년 ~ 1962년 | |
최종 계급 |
대좌 (일본 제국 육군) 육상막료장 (육상자위대) |
최종 보직 | 육상막료장 |
주요 보직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군인 겸 육상 자위관. 제3대 육상막료장을 지냈다.2. 생애
1904년에 나라현에서 태어나 1921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1925년에 37기로 졸업했다. 주미 일본대사관의 주재무관으로 재직한 경력 때문에 미국과의 전쟁을 반대했다. 개전 후에 제25군 참모로 참전, 야마시타 도모유키의 통역장교로 근무했다. 영국군에게 항복하라는 문서를 만들기도 했다. 종전 직전에 귀국 명령을 받아 대본영에서 근무하던 중에 패전을 맞았다. 대본영에서 근무하던 시절에 대본영이 정보를 무시한다고 생각해 직접 전략과 업무에 관여했다가 직책을 강등당했다. 최종계급은 일본육군 대좌였다.항복문서 조인식에 참여했다. 뒷줄 오른쪽의
1962년 퇴임하며 후임 육막장으로 일본군 육군 출신을 앉히려고 했지만 실패해 오모리 간이 보임된다. 당시만 해도 내무군벌의 수장인 하야시 게이조가 아직 통합막료회의의장으로 재직하던 시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