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09:28:56

쉬치량

쉬치량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000,#e5e5e5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37년-1949년)
주더
(제6ᆞ7기)
저우언라이
(제6ᆞ7기)
왕자샹
(제6ᆞ7기)
류사오치
(제6ᆞ7기)
펑더화이
(제7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54년-)
린뱌오
(제8ᆞ9기)
허룽
(제8기)
녜룽전
(제8ᆞ9ᆞ10ᆞ11ᆞ12기)
천이
(제8ᆞ9기)
류보청
(제8ᆞ9ᆞ10ᆞ11기)
쉬샹첸
(제8ᆞ9ᆞ10ᆞ11ᆞ12기)
예젠잉
(제8ᆞ9ᆞ10ᆞ11ᆞ12기)
덩샤오핑
(제10ᆞ11기)
양상쿤
(제12ᆞ13기)
자오쯔양
(제13기)
류화칭
(제13ᆞ14기)
장첸
(제14기)
츠하오톈
(제14ᆞ15기)
장완녠
(제4ᆞ15기)
후진타오
(제15ᆞ16기)
궈보슝
(제16ᆞ17기)
차오강촨
(제13기)
쉬차이허우
(제16ᆞ17기)
시진핑
(제17기)
판창룽
(제18기)
쉬치량
(제18ᆞ19기)
장유샤
(제19ᆞ20기)
허웨이둥
(제20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49년-1954년)
주더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청첸 린뱌오
가오강 류보청 허룽
천이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1954년-1975년)
주더
(제1기)
펑더화이
(제1ᆞ2기)
린뱌오
(제1ᆞ2ᆞ3기)
류보청
(제1ᆞ2ᆞ3기)
허룽
(제1ᆞ2ᆞ3기)
천이
(제1ᆞ2ᆞ3기)
덩샤오핑
(제1ᆞ2ᆞ3기)
뤄룽환
(제1ᆞ2기)
쉬샹첸
(제1ᆞ2ᆞ3기)
녜룽전
(제1ᆞ2ᆞ3기)
예젠잉
(제1ᆞ2ᆞ3기)
청첸
(제1ᆞ2ᆞ3기)
장즈중
(제1ᆞ2ᆞ3기)
푸쭤이
(제1ᆞ2ᆞ3기)
룽윈
(제1기)
웨이리황
(제2기)
차이팅카이
(제2ᆞ3기)
뤄루이칭
(제3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83년-)
쉬샹첸
(제6기)
예젠잉
(제6기)
양상쿤
(제6ᆞ7기)
자오쯔양
(제7기)
류화칭
(제8기)
츠하오톈
(제8ᆞ9기)
장완녠
(제8ᆞ9기)
후진타오
(제9ᆞ10기)
궈보슝
(제10ᆞ11기)
차오강촨
(제10기)
쉬차이허우
(제10ᆞ11기)
시진핑
(제11기)
판창룽
(제12기)
쉬치량
(제12ᆞ13기)
장유샤
(제13ᆞ14기)
허웨이둥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역대 공군사령원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기.svg
1대 2대 3대 4대 5대
류야러우 우파셴 마닝 장팅파 왕하이
6대 7대 8대 9대 10대
차오솽밍 위전우 류순야오 차오칭천 쉬치량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마샤오톈 딩라이항 창딩추 . .

파일:external/www.people.com.cn/3764881700457011621.jpg
1. 개요2. 생애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의 장성급 장교.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지냈다.

2. 생애

1950년 3월 산둥성 린추현에서 태어났다. 민족은 한족이다. 1966년 7월에 공군제2항공예비학교의 학원(후보생)으로 입대했다. 1967년 7월에는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66년부터 67년까지 공군 제38군 112항공사단[1] 335단에서 근무했고 제8항공학교, 제5항공학교를 거쳐 조종사가 되었다. 1969년 조종사가 되어 제26항공사단 77단, 독립대대 비행원으로 근무했다. 1973년에는 승진하여 제26항공사단 독립대대 부대대장이 되었고 1976년부터 80년까지 해당 부대 대대장을 지냈다.

1980년에는 제26항공사단 부사단장[2]이 되었고 1983년부터 1984년까지 해당 부대의 사단장을 지냈다. 1984년에 공군 제4군 부군장이 되었고 1985년부터 86년까지 공군남해지휘소 참모장을 지냈다. 86년부터 88년까지 국방대학에 가 교육을 받았다. 교육 후에 1988년 공군 제8군 대리 부군장을 지냈고 제8군 참모장, 제8군 군장을 연거푸 지냈다. 1993년에는 공군 부참모장에 올랐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는 공군참모장을 지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심양군구 부사령원이자 심양군구공군사령원[3]을 지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한국의 합동참모차장에 상당하는 부총참모장[4]을 지냈다. 2007년에는 공군사령원에 올랐고 공산당 중군위 위원을 겸했다. 2008년에는 중국정부측의 중군위에도 올랐다. 2012년에 마샤오톈에게 공군사령원을 이임하고 중군위 부주석에 올랐다.

2017년부터 2022년 10월까지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실권자로 알려져있었다. 통수권을 가진 중군위 주석 시진핑은 국가주석이자 당 총서기이므로 군의 세세한 일상업무에까지 개입하기는 어렵고, 국방장관인 웨이펑허는 중군위에서 위원급이므로 부주석인 쉬치량보다 서열이 낮다. 따라서 타국에서는 통수기관인 중군위의 부주석이자 공산당 내 최고위급 기관인 정치국위원[5]인 쉬치량을 실제 인민해방군 총책임자로 여기고 있다.[6] # 다른 부주석인 동갑내기 장유샤가 있지만 장유샤는 이번 13기에 처음 임명되었고 쉬치량은 12기부터 연임중이기 때문에 군내 서열이나 발언권은 더 앞설 수밖에 없다.

2022년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20차 중앙군사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음으로써 전역이 확정되었다. 실 퇴임은 내년 3월.

[1] 중국에서는 그냥 약칭으로 '사'라고 한다. [2] 중국에선 항공사단을 사, 부사단장은 부사장이라고 약칭한다. [3] 군구사령원의 경우엔 육군이 지낸다. [4] 한국과는 달리 1인이 아니라 5명 정도를 둔다. [5] 공산당 내에서 25명만 들어갈 수 있는 최고위 의사결정 기구이다. 이보다 높은 기관은 정치국에서도 7명만이 뽑히고 각각이 소황제라고 불리는 정치국 상무위원회뿐이다. [6] 물론 군의 정치적 위상이 매우 높은 중국 특성상 국방장관의 서열이 타국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정치국에 들어가지는 못하지만 부총리급인 국무위원을 겸임중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