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01 20:36:25

수코사우루스

수코사우루스
Suchosaurus
파일:A-Tooth-of-possible-Baryonychinae-indet-NHM-R36536-holotype-of-the-nomen-dubium.png
학명 Suchosaurus
Owen, 1841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ae
아과 바리오닉스아과Baryonychinae
수코사우루스속Suchosaurus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수코사우루스 쿨트리덴스 (S. cultridens) 모식종
    Owen, 1841
  • †수코사우루스 기라르디 (S. girardi)
    Sauvage, 1897
파일:Suchosaurusl.jpg
모식종의 복원도

1. 개요2. 화석 발굴3. 연구사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전기에 유럽에 서식한 스피노사우루스과 수각류의 일종으로 추정되는 공룡으로, 속명은 ' 악어 도마뱀'이라는 뜻이다.

2. 화석 발굴

영국 이스트서식스 주의 워드허스트 점토층(Wadhurst Clay Formation)에서 모식종의 이빨 화석이 최초로 발견된 시점은 무려 1820년까지 거슬러올라가지만, 처음부터 이 녀석이 공룡의 일종으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해당 표본을 처음 습득한 기디언 맨텔(Gideon Mantell)은 이를 악어의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특히 가비알이나 멸종한 고대 악어의 일종인 텔레오사우루스(Teleosaurus)의 것과 유사한 형태임을 지적하였다. 이후 1841년 리처드 오언에 의해 지금의 속명과 종명에 해당하는 이름을 부여받고 크로커다일의 아속으로 분류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지금처럼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하지만 비록 별도의 속으로 독립은 했지만 화석 자료가 미비하다는 약점은 개선되지 않아서, 1897년에 포르투갈에서 발견되어 두번째 종인 기라르디종(S. girardi)의 것으로 비정된 아랫턱뼈 조각 두어 점과 이빨 화석을 제외하면 사실상 모식종의 이빨 몇 개가 현재까지 알려진 화석 표본의 전부일 정도다.[1] 이처럼 추가적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축적된 화석 자료가 불충분한 탓에, 한동안 이 녀석은 크로커다일과 또는 악어상목에 속하는 멸종한 고대 파충류의 일종인 폴리도사우루스과(Pholidosauridae)의 일종이 아닐까 하는 정도로만 추정되었다.

3. 연구사

지금처럼 스피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바리오닉스를 최초로 학계에 소개한 연구자 중 한 명인 안젤라 밀너(Angela Milner)가 이 이빨 화석이 바리오닉스의 것과 매우 흡사하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부터다. 실제로 수코사우루스속에 속하는 두 종의 이빨 화석을 바리오닉스의 것과 비교한 몇몇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빨의 치관 부분에서 나타나는 홈의 뚜렷함 여부 정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동종의 것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대동소이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수코사우루스와 바리오닉스가 같은 공룡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

4. 관련 문서



[1] 19세기 전반기와 후반기에 각각 한 차례씩 이 녀석의 척추로 추정되는 화석 일부가 발견된 바 있긴 한데, 분석 결과 해당 화석들이 모두 조각류 공룡의 것으로 판명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2] 다만 어느 쪽이 학명의 우선권을 갖느냐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의견이 갈리는 편으로, 수코사우루스 쪽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해당 속명이 훨씬 앞선 시점에 명명되었으므로 뒷시기에 명명된 바리오닉스가 당연히 흡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반대 측에서는 비교적 골격 보존률이 높은 편에 속하는 바리오닉스에 비해 수코사우루스는 기존에 알려진 화석 자료가 독자적인 속으로 자리매김할만한 유의미한 특징을 도출해내기 어려울 정도로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리오닉스라는 속명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주장하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