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2:25:10

수중전용 총기

1. 개요2. 수중 사격의 문제점 3. 원리4. 기타 특징5. 목록6. 유사 병기7. 기타

1. 개요

Underwater firearm

수중 환경에서의 교전을 위해 만든 총기. 대부분의 총기들은 인류의 생활 영역인 육상에서의 교전을 상정하고 만들어졌기에 육상과 환경이 완전히 다른 다른 수중 환경에서는 육상에서 쓰이는 총기들이 큰 효력을 내기 어렵다. 따라서 수중전 목적에서는 육상과는 다른 설계의 총기가 필요하다.

2. 수중 사격의 문제점

통상적인 인식과는 달리 총기는 물 속에서도 격발이 가능하다. 탄피는 물이 들어오지 못하게끔 밀봉되어 있으며, 화약 자체가 폭발을 위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기에[1] 물 속에서도 충분히 폭발을 일으켜 격발이 가능하다.

문제는 총기 자체의 격발은 될지언정 살상력이 없다는 것이다. 짧고 둥글둥글한데다 질량이 작은 총알은 멀리 나아가지 못한다. 육상에서 발사하면 유효 살상 사거리가 몇백m, 총알이 닿기만 하는 거리라면 수km에 달하는 총기들도, 수중에서 발사한다면 공기의 밀도의 800배나 되는 물의 저항력 때문에 수심이 1m도 안되는 얕은 물에서도 웬만한 탄종들은 몇 m를 겨우 나아가는게 고작이다. 심지어 이조차도 살상 가능한 유효 사거리를 뜻하는 것이 전혀 아니며, 말 그대로 총알이 닿기만 하는 최대 사거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소총은 물론 중기관총조차 수심 1m면 살상력을 잃는다. 맞고 죽기는 커녕 총알이 살짝 닿고 끝날 정도라는 것. 총이란 건 살상을 하기 위한 도구인데 살상력이 없어서야 쏘는 의미가 없다.

흔히 영상 매체에서 수영장 등지에 잠수한 사람을 물 밖에서 쏴죽이는 장면 등이 묘사되지만, 총탄이 수면에 닿으면서 운동 에너지 대부분을 잃기에 물 밖에서 발사한 총은 물 속에 있는 사람에게 절대로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없다. 오히려 물 밖에서 쏠 때 각도가 좋지 않으면 물수제비처럼 튕겨나가거나 탄자가 깨지기도 한다.

이 때문에 UDT처럼 수중에서 침투하여 수중교전이 일어날 만한 특수부대에게는 큰 골칫거리가 되었다. 그래서 수중에서 쓸 수 있는 스피어건(작살 총)을 개량해서 살상용으로 쓰는 사례도 있으나 기존의 총기의 위력과 비교하면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존재했다. 작살은 기본적으로 단발형이고 재장전도 쉽지 않으며 총탄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예비용 작살을 추가로 휴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3. 원리

파일:external/www.tacticalfanboy.com/original.jpg
수중전 권총 SPP-1과 전용 탄환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총탄 자체를 물의 저항을 덜 받는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 통상적인 권총탄은 앞이 둥근 형태로 되어있고, 그나마 뾰족한 소총탄 역시 길이가 짧기 때문에 물을 뚫고 나아가기 매우 부적합한 형태인데, 수중전용 총기는 탄이 물의 저항을 뚫고 나아가기 쉽도록 플레셰트나 송곳 형태의 길고 뾰족하고 질량이 큰 탄체를 사용한다. 당연히 이러한 탄종들은 평범한 총기와 호환이 거의 불가능하기에, 수중전용 총기들은 이러한 탄종만이 호환되는 사실상의 전용 총기를 사용한다. 호환되게 만든 총기도 없진 않으나, 탄창 부분을 조절해줘야 하는 등 평범한 총기에 비하면 크게 불편하게 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전용탄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수중전용 총기의 유효 살상 사거리는 육상 총기에 비해 매우 심각하게 짧은 편이다. 수심에 따라 수압이 다르기에 수심에 따라 사거리가 요동치며, 깊은 수심일수록 사거리가 곤두박질친다. 얕은 수심에서는 그나마 100m 내외의 유효 사거리를 확보하기도 하나, 대부분의 경우는 수십m 내외의 사거리가 고작이다.

다만 이정도로 실전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 전문 다이버들 말로는 투명한 열대바다에서도 고글 쓰고 시야거리가 60m 나오면 잘나오는 거고, 보통 시야거리는 30m 이하라고 하니 수백m의 수중 사거리를 지닌 총을 만들어봐야 쓸 일이 거의 없다. 물론 최대 사거리가 길다는 말은 그 사거리 이내에서의 탄도가 좀 더 안정적이라는 말이 되므로 사거리가 좋아서 나쁠 것은 없다. 최대 사거리가 60m인 총으로 60m 거리에 있는 타겟을 맞추는 것과, 최대 사거리가 600m인 총으로 60m 거리에 있는 타겟을 맞추는 것에는 위력과 명중률 면에서 큰 차이가 존재한다. 수중전용 총기의 사거리가 고작해야 백미터도 채 안되는 것은 그정도로도 실전 교전거리에 충분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저 수중 환경상 그 이상의 사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가능한 선에서 최선을 다해서 사거리를 늘린 것이다.

4. 기타 특징

수중전용 총기는 육상용 총기와 다르게 대부분 강선이 없다. 수중에서는 긴 탄자에 힘입어 유체역학적 효과 때문에 강선 없이도 탄도가 잘 유지되는데다 어차피 탄도가 맛이 가기 전에 탄자가 위력을 잃기 때문.

수중전용 총기 역시 육상에서 격발이 가능하지만, 육상에서 비효율적으로 긴 탄두와 강선이 없는 특성상 물 밖에서의 유효 사거리는 굉장히 짧은 편이다. 물론 수중에서보단 길다.

5. 목록

6. 유사 병기

비슷하게 수중에서 쓰이는 원거리 무기로는 작살총(스피어 건)이 있다. 손으로 찌르는것보다 조금 빠르고 긴 정도이고 대체로 잠수 낚시를 할 때 쓴다. 일반적인 촉 대신 뱅스틱 헤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7. 기타


2017년에 노르웨이 DSG라는 회사에서 기존 총기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수륙양용 탄약, 수중전용 초공동탄을 개발했다. # 수중 유효 사거리는 5.56×45mm NATO 사양에서 약 10~11m(아음속탄은 12~14m)가 나오고, 7.62×51mm NATO 사양은 20~22m(아음속탄은 12~14m), .50 BMG는 약 60m다.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에서도 수중 전용 탄약을 도입할 계획이다. #


[1] 때문에 우주에서도 정상적으로 발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