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2:19:20

손치호


孫治浩[1]
1908년 8월 8일 ~ 2001년 9월 14일 (향년 93세)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종교인, 정치인이다.

2. 생애

1908년 8월 8일 황해도 장연군 백령면(現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서 태어났다. 장로교회신학교 본과, 신흥대학교 정경대학(現 경희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장로교회신학교 졸업 후 장로회 목사로 활동했고, 6.25 전쟁 당시 육군 군종 목사로서 참전하면서 군 참모교육을 받기도 했다. 재단법인 순천성심원 이사장, 여수염광중학교 이사장 등도 지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유영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7월 29일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이던 무소속 유영준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고, 그해 10월 18일 민주당 입당했다. 제5대 국회에서 국방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그러나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차점자였던 장익현이 선거 당일 송림면(現 연평면) 제1투표구 중 소연평도의 유권자 106명이 풍랑 때문에 투표소가 설치된 대연평도에 가지 못하고 투표에 참여치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옹진군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이들에 대한 추가 투표없이 당선인을 결정한 것은 국회의원선거법 제131조[2] 위반이라며 옹진군 선거관리위원회를 피고 대법원에 선거소송을 걸었고, 그해 12월 13일 대법원 특별부에서 경기도 옹진군 선거구 중 송림면 제1투표구에 대한 일부 선거무효 판결을 내렸다. 이에 손치호는 이날 부로 국회의원 자격을 상실했다.

이후 12월 23일 민주당의 공천 받았고, 위와 같은 이유로 같은 해 12월 30일 치러진 1960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8표차로 무소속 장익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1963년 민주공화당에 입당했고, 1981년 6월 세계 복음선교협의회가 창립되자 부총재에 선출되었다.

2001년 9월 14일 오후 6시 45분에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옹진군)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63표 (16.95%) 낙선 (2위)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옹진군) 1,058표 (17.25%) 당선 (1위) 초선[3]
1960년 재보궐선거 (경기 옹진군)

1,439표 (49.35%) 낙선 (2위)

4. 둘러보기

파일:구 경기도 휘장(백색).png 경기도 제5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인천 갑 인천 을 인천 병 수원 고양
김재곤 곽상훈 김훈 홍길선 유광렬
광주 양주 갑 양주 을 연천 포천
신하균 조윤형 강승구 허혁 김영구
가평 양평 여주 이천 용인
홍익표 천세기 박주운 백두진 김윤식
안성 평택 화성 갑 화성 을 시흥
김갑수 이병헌 박상묵 서태원 이재형
부천 김포 강화 파주 옹진
박제환 허길 윤재근 황인원 장익현
* 양주 갑 강영훈 사망 (1960.8.15.)
* 김포 정준 사퇴 (1960.12.5.)
* 옹진 손치호 자격 상실 (1960.12.13.)
* 이천 최하영 자격 상실 (1961.2.21.)
}}}
}}}}}}

[1] 본래는 孫浩였는데, 2001년 9월 16일 경향신문 부음기사를 비롯해 한국경제, 조선일보 등의 부음기사에서 모두 孫浩로 표기하고 있다. 이후 어느 시기에 이름의 한자를 바꾼 듯하다. [2] 제131조 (선거의 연기) 천재·지변 기타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선거를 행할 수 없거나 행하지 못한 지역구에 대하여는 대통령은 그 선거를 연기하거나 다시 선거일을 정하여야 한다. [3] 1960. 12. 13. 대법원 특별부의 일부 선거무효 판결로 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