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22 15:02:17

소비 부여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혁거세 후 남해 후 유리 후
알영부인 운제부인 이리생부인 사요왕의 딸 김씨
탈해 후 파사 비 지마 후 일성 후
아효부인 사성부인 애례부인 지소례왕의 딸 박씨
아달라 후 벌휴 후 내해 후 조분 후
내례부인 석골정의 모후 아루부인 아이혜부인
조분 후 미추 후 흘해 후 내물 후
운소부인 광명부인 석공한의 모후 보반부인
실성 후 눌지 후 자비 후 소지 후
아류부인 차로부인
1
복호의 딸 김씨
2
미사흔의 딸 김씨
1
습보의 딸 김씨
2
선혜부인
3
벽화부인
지증왕 후 법흥왕 후 진흥왕 후 진지왕 후
연제부인 보도부인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진평왕 후 무열왕 후 문무왕 후 신문왕 후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 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덕왕 후 효성왕 후 경덕왕 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사량부인
경수태후
혜공왕 후 선덕왕 후 원성왕 후 소성왕 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 숙정부인 계화부인
애장왕 후 헌덕왕 비 흥덕왕 후 희강왕 후
왕후 박씨 귀승부인 정목왕후 문목왕후
민애왕 후 신무왕 후 문성왕 후 헌안왕 후
윤용왕후 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문의왕후의 모후
경문왕 후 헌강왕 비 효공왕 후 신덕왕 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 왕비 박씨 의성왕후
경명왕 후 경애왕 후 경순왕 후
왕비 김씨 왕비 죽방부인
}}}}}}}}}


<colbgcolor=#25B4B4><colcolor=#fbe673>
신라 진흥왕의 제2비
소비 부여씨 | 小妃 扶餘氏
백제 성왕의 왕녀
출생 미상
백제
사망 미상
재위기간 신라 소비
553 10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5B4B4><colcolor=#fbe673> 성씨 부여
부모 성왕
부군 진흥왕
봉작 소비(小妃) }}}}}}}}}
1. 개요2. 행적3. 여담

[clearfix]

1. 개요

백제의 공주이자 신라의 왕비. 성왕의 딸, 진흥왕 소비(小妃, 작은 왕비).

2. 행적

백제가 신라에게 한강 하류를 빼앗긴 직후, 553년 10월, 백제 성왕은 딸(소비 부여씨)을 신라 진흥왕에게 시집보냈고 진흥왕은 그녀를 소비(小妃)로 삼았다.[1] 이는 성왕이 한강 하류 영유권 문제를 문제삼지 않고 앞으로도 친하게 지내자는 표현이었지만, 백제의 군사 동맹이자 지원군을 파병한 일본 측 기록인 일본서기에 의하면 성왕은 이미 553년부터 신라를 대대적으로 공격할 전쟁 준비를 하고 있었다. 결국 소비 부여씨는 전쟁을 준비할 약 1년간의 시간을 벌고 신라를 방심시키기 위한 희생양으로 비정하게 이용된 것이다.

결국 소비 부여씨가 신라로 시집간지 약 1년이 지난 554년, 관산성 전투가 벌어졌다. 그러나 아버지 성왕이 남편 진흥왕과의 전투 중 사망했고, 한때는 동맹이었던 두 나라의 관계는 이 때부터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소비 부여씨의 행적은 기록이 없다.

3. 여담



[1] 이미 진흥왕에게는 사도부인이 있었지만, 조선 태종 이전에는 왕비가 동시에 여러 명인 경우가 종종 있었다. 후궁이 아니다. [2] 왕건의 주장도 아주 허무맹랑한 건 아니었다. 왕건 정권이 후당에 찔러준 정보를 바탕으로 후당의 2대 황제인 이사원이 왕건을 고려왕으로 책봉했을 때, 왕건을 장회무족(長淮茂族)이라 하여 회이(淮夷)의 번성한 일족 출신이라고 추켜세워주었는데 이 회이라는 말은 지역적으로 고구려 유민 이정기 일가가 준독립세력인 평로치청번진을 세웠을 정도로 고구려 유민이 대단히 많았던 회하 유역에서 산둥성 동남부에 걸쳤던 지역을 말한다(주로 현 장쑤성 양저우시 일대). 또한 무려 최소한 한사군 낙랑군 시대부터 시작하여 고구려 시대를 거치며 융성했던 고구려 계열 성씨가 다름 아닌 '왕씨'였던 것도 강렬한 시사점이 있다. [3] 심지어는 신라와 대단히 관계가 돈독한 가야 금관국 왕족 출신의 신 김씨들도 문무왕의 시대가 되기 전까진 적어도 진골 상대 결혼 후보자로는 꺼려질 정도였다. [4] 견훤의 족보들 중 백숭 부인이 등장하지 않고 아예 부여융을 선조로 하여 세대수가 납득이 가게 작성된 족보가 있는데, 해당 족보는 그 시기의 정확성 탓에 오히려 진실성이 의심된다. 어느 누가 봐도 뭔가 어설픈 부분이 있고 세대수도 분명 좀 엉터리인 백숭부인판 족보가 적어도 진실성이나 신뢰도는 높은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