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년도 미상
1. 개요
고구려 말의 대신.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만 등장하는 인물이다.2. 생애
642년 김춘추가 고구려에 사신으로 파견될 당시 보장왕이 총애하던 신하였다. 보장왕이 김춘추를 떠볼 생각으로 마목현과 죽령 땅을 요구하자 김춘추가 거절했다 볼모로 잡혔는데 신변의 위협을 느낀 김춘추가 선도해에게 비밀리 뇌물을 바쳐 탈출을 꾀했다. 선도해는 주안상을 차려 연금되어 있던 김춘추를 찾아가 구토지설 이야기를 해주었다. 이야기를 들은 김춘추는 보장왕에게 글을 보내 마목현(현 조령)과 죽령 땅이 고구려 땅임을 인정하고 신라로 돌아가면 왕을 설득해 이 땅을 돌려주겠다는 글을 보내고 무사히 신라로 돌아갈 수 있었다.[1][2]본시 보장왕과 연개소문은 정말로 신라가 마목현과 죽령 땅을 내놓을 생각이 없다는것 정도는 파악하고 있었고 김유신 열전에도 보장왕이 그냥 김춘추를 떠볼 생각에서 한 말이라고 표현해 놓았다. 때문에 결과적으로 김춘추는 선도해의 말에 속아 마목현과 죽령 땅을 내놓는다 해놓고 번복하는 명분상의 약점을 제공했으니 결과적으로 백제와 손잡고 신라를 칠 기회를 노렸던 보장왕의 의도에 놀아난 셈이 된다. 때문에 선도해가 김춘추의 구원 요청을 수락한 건 처음부터 보장왕이나 연개소문과 짜고 취한 행동이었다 추측할 수 있다.
기록이 많지도 않은 인물이지만 연개소문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보장왕의 총신'이었다는 점에서 연개소문의 반대파로 보는 견해도 있고, 오히려 김춘추를 책략으로 몰아넣은 연개소문의 측근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사실 이는 연개소문과 보장왕의 관계나 당시 고구려의 정치 형태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리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대중매체에서 간신 취급을 많이 받는 편인데 사실 이 행적 말고는 별 다른 기록이 없다보니 최근에는 그냥 연개소문이 직접 구토지설을 이야기해서 김춘추를 가지고 노는 것으로 묘사를 퉁치는 경향이 늘었다.
3. 대중매체에서
삼국기에서는 박영목이 연기하였다. 흑벌무와 더불어 연개소문의 충직한 의형제로 나오며 뛰어난 지략으로 연개소문을 보좌한다. 연개소문이 사망한 이후 연개소문의 아들들의 내분이 심화되자 고구려의 멸망을 직감하고 자결한다.연개소문에서는 삼국기와는 완전 정반대로 간신배로 묘사된다. 외교와 평화노선은 무조건 사대주의 매국노. 서토에 부르짖는 전쟁광만이 진리라고 외치는 본드라마답게 김춘추를 풀어주었단 것만으로 참으로 단순하게 인물이 해석된다. 연개소문의 정변에서 우는 소리를 내며 목숨을 구걸한 덕에 살아남았으나[3] 이후에 은근히 연개소문이 하는 일에 훼방을 놓는다. 결국 연개소문의 아들들의 내분을 뒤에서 조종하고 평양성이 당군에게 함락되는 와중에 연개소문이 보낸 술탈에 의해 뇌음신, 신성과 함께 처단되어 수급이 연개소문에게 보내진다.
대왕의 꿈에서는 등장하지 않아서, 연개소문이 직접 김춘추에게 구토지설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1]
물론 이때 김춘추는 입을 싹 닦았지만 오히려 이것이
고구려가
신라를 칠 명분으로 작용하여
고구려와
백제의 동맹군이 결성되어
신라를 맹공해 신라는 더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된다.
[2]
이때 김춘추는 고구려를 벗어나며 호송인에게 자신의 약속이 "강압과 위협에 의한" 것이었음과 자신에게 국토를 양여할 권한이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 "〔춘추가 고구려의〕 국경을 벗어나자, 호송하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나는 백제에 대한 원한을 갚기 위해 군사를 청하려 왔던 것인데, 대왕께서 허락하지 않고 도리어 토지를 요구하였으나, 이것은 신하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난번에 대왕께 글을 올린 것은 죽음을 면하기 위해 한 것일 뿐이다." 보내주는 고구려측에서도 이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다. 추후 고구려가 이를 트집잡아 신라를 공격했다는 문헌적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3]
이때 연개소문이 선도해를 살려준 이유가 가관이다. 신료는 욕살과는 달리 시류에 어쩔 수 없이 휩쓸릴 수 있다는 이유를 내세우는데 여기까지는 그러려니 쳐도 정작 연개소문은 살생부에 오른 관료들은 가장 취약계층이자 자기 의견 내세울 권력도 없는 하급관리들도 용서없이 다 죽이고 있었다. 때문에 선도해만 유독 용서를 해준 건 그저 앞으로 써먹을 악역으로 두기 위한 앞뒤가 안맞는 억지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