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0:22:55

서향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main-title-img-e8f4a08e.png 한국 양궁 60주년
공로패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000,#fff
<colbgcolor=#fff,#1f2023> 유홍종 이중우 엄병윤 엄성호 이명용
박영일 김광아 김일치 김기찬 정미자
정갑표 석봉근 차경현 황도하 김형탁
박경래 이기식 서거원 서오석 이왕우
조춘봉 문형철 오선택 백웅기 석동은
박영숙 김삼회 신현종 김진호 서향순
김수녕 양창훈 박성현 윤미진 오진혁
기보배 김우진 안산 김종호 최보민
}}}}}}}}}}}}}}} ||
서향순의 수상 이력
<colcolor=#000,#dddddd>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양궁
여자 챔피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00080><colcolor=#fff> 1972 뮌헨 파일:미국 국기.svg 도린 윌버 <colbgcolor=#800080><colcolor=#fff> 1976 몬트리올 파일:미국 국기.svg 루앤 라이언
1980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케테반 로사베리제
1984 로스앤젤레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향순
1988 서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녕 1992 바르셀로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윤정
1996 애틀란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2000 시드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미진
2004 아테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2008 베이징
2012 런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보배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
2020 도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산 2024 파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시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아시아 양궁 연맹 로고_상하.svg
아시아 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52b848><colcolor=#ffffff> 1회 1980 콜카타 <colbgcolor=#52b848><colcolor=#ffffff> 2회 1981 싱가포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숙
3회 1983 홍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호 4회 1985 자카르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향순
5회 1988 홍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수녕 6회 1989 베이징
7회 1991 마닐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미 8회 1993 자카르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욱
9회 1996 촌부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례 10회 1997 랑카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혜영
11회 1999 베이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현지 12회 2001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 장쥐안쥐안
13회 2003 양곤 파일:중국 국기.svg 린상 14회 2005 뉴델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
15회 2007 시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성진 16회 2009 덴파사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정
17회 2011 테헤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양니엔슈 18회 2013 타이페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레이첸잉
19회 2015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혜진 20회 2017 다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은경
21회 2019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채영 22회 2021 다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해진
23회 2023 방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미선 24회
}}}}}}}}} ||
<colbgcolor=#840b8e><colcolor=#fff> 서향순
徐香順 | Seo Hyangsoon
파일:375043561.jpg
출생 1967년 7월 8일 ([age(1967-07-08)]세)
전라남도 광주시 (現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동)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동명여자중학교[1] (졸업)
광주여자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 / 학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학 / 석사)[2]
종목 양궁
소속 <colbgcolor=#840b8e><colcolor=#fff> 감독 HSS Sports Academy
해설 SBS (2002~2004)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수상 기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양궁 선수. 대한민국 역사상 첫 올림픽 여자 금메달리스트인 동시에 양궁 첫 금메달리스트다.

2. 선수 경력

동명여자중학교 1학년 때 체격이 크다는 이유로 활을 잡게 된 서향순은 중학교 2학년 때 실력 부족을 이유로 양궁부에서 나왔지만, 당시 자신을 지도하던 교생 선생님의 적극적인 권유로 다시 양궁부에 들어가 대회를 석권하기 시작했다. 광주여자고등학교에서도 실력을 인정받아 고 1때 처음 대표로 뽑혔지만, 처음 대표 생활에서 그야말로 엉망인 실력을 보여주면서 선수촌을 떠나게 되었다.

사실 실력의 기복이 있었던 것에는 이유가 있었다. 서향순은 비록 양궁부에 들어갔지만, 정식으로 양궁에 입문하지 않았다. 정식 코치에게서 지도를 받은 것은 지방 순회 코치에게 4개월, 대표로 뽑혀서 4개월 교육받은 것이 전부였다. 그래서 막상 최고 선수들만 모아 놓은 자리에서는 한계를 보였던 것. 좌절하고 거의 양궁을 포기하기 직전까지 갔던 서향순은 광주시의 추천으로 고3 때 다시 대표 선발전에 지원했다. 원래는 대회 출전 경력이 없어서 참가가 안 되는 것인데, 시의 추천이 있어 참가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여기서 2등을 차지하면서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서향순 본인의 회고로는 만일 자신이 3등이었다면, 1년 넘게 별다른 대회에 나가지 않은 자신은 뽑아주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2등이었기 때문에 배제할 수 없었다고 한다.[3]
LA 올림픽 당시 서향순의 모습을 담은 영상

당연히 올림픽이 생애 첫 국제대회였는데, 여기서 대성공을 거둔다. 생애 첫 출전한 국제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것이다! 이 당시 경기 방식은 30M, 50M, 60M, 70M에서 활을 2번씩, 총 288개를 쏴서 점수를 합산해 순위를 가리는 것이었는데, 첫 라운드에서는 3위를 기록했지만, 2번째 라운드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면서 역전, 최종 합계에서도 올림픽 신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해 버렸다.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김진호를 동메달로 밀어낸 결과였다. 이 당시 서향순의 나이는 불과 만 17세 1개월 4일에 불과했는데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반효진이 만 16세 10개월 18일이 된 시점에 금메달을 따내기 전까지 대한민국 역대 최연소 올림픽 개인전 금메달 획득 기록 보유자였다.[4]

당연히 우승 직후 동네 잔치가 거하게 벌어졌고 서향순의 부모는 꽃목걸이를 목에 걸고 잔치에 임했다. 우승하면서 부모님과 한 통화에서 " 단팥죽이 먹고 싶다"고 말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정확히는 오빠가 "한국에 돌아오면 광주시내 나가서 단팥죽을 사주겠다"고 했고 서향순은 "단팥죽? 좋지!"라고 답했다. 그러나 당시 언론에서는 "전세계가 쳐다보는 가족과의 전화 통화에서 단팥죽을 운운한 건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지금 돌아보면 터무니없는 비난을 하기도 했다. 아울러 고등학교 3학년 때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대학 특례입학 자격까지 갖추게 돼 대학 자체도 원하는 곳을 골라 갈 수 있었다고 한다.

앞서 말했듯이 엘리트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한 타입이 아니라서, 활 쏘는 자세가 당시에도 특이했다고 한다. 당시 규정으로 2분 30초 동안에 3발을 쏴야 하는 것인데, 서향순은 1분 30초 동안 가만히 땅을 보다가 마지막 1분에 3발을 몰아서 쏘는 습관이 있었다. 대표 선수가 되면서 정식으로 양궁을 배워 많은 부분을 교정하고, 탄탄한 체격인 170cm에 70kg의 체중을 가지고 힘으로 승부하는 타입으로 성장했지만, 보는 사람을 피말리게 하는 이 버릇만은 선수 시절 내내 바뀌지 않았다.

기대 밖의 우승을 차지한 탓인지, 애당초 탄탄한 기초부터 양궁을 시작한 케이스가 아니어서인지는 몰라도 그 뒤의 경력은 아쉽다. 이화여자대학교에 진학해서 공부를 계속하지만, 그 뒤 양궁 국제대회에서 입상한 경력은 1986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단체전 금메달을 딴 것이 전부다. 서향순에게 밀려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금메달을 놓친 김진호는 이 대회에서 3관왕에 올랐다.[5]

결국 양궁에 대한 흥미를 잃은 서향순은 태릉선수촌에서 만난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유도 금메달리스트 박경호와 결혼한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참고로 김진호도 같은 해에 은퇴했다.

3. 은퇴 이후

한 때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햄버거 장사도 하는 등, 선수 은퇴 후에는 양궁과 거리가 먼 삶을 살았다가, 조선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남편과 함께 온 가족이 미국으로 건너가 현재 미국에서 양궁 클럽을 운영하고 있다. 딸인 박성민은 골프 유망주였다가 은퇴 후 평범한 직장인이 되었고, 아들은 야구 선수, 막내 딸은 골프 선수라고 한다.

예천 김진호 청주 김수녕처럼, 서향순도 광주에 자신을 기려 만든 서향순 양궁장이 주월동에 있다. 원래 서향순 양궁장은 풍암동 염주종합체육관 바로 옆에 있었으나 창단 후 전용 연습구장 없이 구단을 운영했던 광주 FC가 새 연습구장 부지로 양궁장을 낙점함에 따라 양궁장이 축구단의 전용 연습경기장으로 개조됐다. 기존의 양궁장을 축구장으로 개조하는 대신에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위해 짚봉산 인근에 만들어지는 광주국제양궁장의 별칭으로 자신의 이름이 달렸는데, 후배 기보배의 이름과 같이 쓰인 서향순· 기보배 양궁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에서 개최된 2번의 올림픽 개막식에 모두 참가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1988 서울 올림픽 때는 올림픽기, 30년 후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태극기를 들고 입장하는 기수단 6명에 포함되었는데, 한국의 간판 종목인 양궁에서 첫 올림픽 금메달을 수상한 선수라는 상징성을 반영한 덕분인 듯하다.

4. 수상 기록

올림픽
<colcolor=#373a3c> 금메달 1984 로스앤젤레스 개인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86 서울 단체전
아시아 선수권
금메달 1985 자카르타 단체전
금메달 1985 자카르타 개인전

5. 둘러보기

<rowcolor=#ffffff> 남자 여자
구자청 전인수 최원태 김진호 박영숙 서향순

파일:대한양궁협회 로고.svg 리커브 여자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colcolor=#004998> 1977 이영숙 · 황숙주
1978 김진호 · 오영숙 · 황숙주
1979 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0 김진호 · 박영숙 · 안재순 · 황숙주
1981 김미영 · 김진호 · 박영숙 · 백종미 · 양경순 · 전문규 · 황숙주
1982 김진호 · 박영숙 · 양경순 · 황숙주
1983 김미영 · 김옥경 · 김진호 · 박영숙 · 서향순 · 서현주 · 신정순 · 이순미 · 정재봉 · 황숙주
1984 김진호 · 김미영 · 박영숙 · 서향순 · 이순미 · 정재봉
1985 김미경 · 김미영 · 김진호 · 김차남 · 박민화 · 박정아 · 서은정 · 서향순 · 양경순 · 오영숙 · 이숙향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조윤정 · 조은신 · 허복자 · 황은희
1986 김미자 · 김진호 · 박정아 · 박종숙 · 서향순 · 송영미 · 이선희 · 임명란 · 전애자 · 정민자 · 정재봉 · 지인숙
1987 김경욱 · 김미자 · 김수녕 · 박미경 · 박영미 · 박정아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애리 · 이유미 · 이혜영 · 임명란 · 정재봉 · 황은희
1988 김경욱 · 김수녕 · 박정아 · 왕희경 · 윤영숙 · 이선희 · 임은숙
1989 김경욱 · 김수녕 · 박미경 · 박종숙 · 왕희경 · 이선희 · 이은경 · 정창숙
1990 김경욱 · 김미희 · 김수녕 · 문영희 · 박정아 · 왕희경 · 이문영 · 이은경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 한희정
1991 김수녕 · 김승실 · 문영희 · 이선희 · 이은경 · 조윤정 · 이장미 · 한희정
1992 김수녕 · 김승실 · 이은경 · 이선희 · 이장미 · 임정아 · 정창숙 · 조윤정
1993 김경욱 · 김효정 · 염연자 · 이명옥 · 이은경 · 이희정 · 임정아 · 조윤정
1994 강경옥 · 강현지 · 김경욱 · 양승숙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한희정
1995 김경욱 · 김정례 · 김조순 · 염연자 · 이은경 · 임정아 · 조미숙 · 황진해 · 박혜정[자격포기]
1996 강현지 · 김경욱 · 김남순 · 김은진 · 김조순 · 박명화 · 손민정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조미숙 · 최은주
1997 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정창숙 · 조윤정 · 최은주 · 황진해
1998 강현지 · 김남순 · 김조순 · 이미정 · 이은경 · 임정아 · 정창숙 · 조미숙
1999 강현지 · 김두리 · 김조순 · 윤혜영 · 이은경 · 이희정 · 정창숙 · 하나영
2000 강현지 · 김남순 · 김수녕 · 박회윤 · 윤미진 · 정창숙 · 최남옥 · 최은정
2001 강현지 · 김경욱 · 김문정 · 박성현 · 우송이 · 최남옥 · 최은정 · 최진
2002 김문정 · 박성현 · 박회윤 · 안세진 · 윤미진 · 임귀숙 · 최은영 · 최진
2003 박미경 · 박선준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이현정 · 최진
2004 김문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이성진 · 정승화 · 정창숙 · 조은지
2005 김유미 · 박성현 · 박회윤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이현정
2006 김유미 · 박성현 · 안세진 · 윤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7 김문정 · 김희정 · 박성현 · 안세진 · 윤옥희 · 이성진 · 이특영 · 최은영
2008 곽예지 · 김원정 · 박성현 · 윤옥희 · 이특영 · 이현주 · 주현정 · 최은영
2009 곽예지 · 김문정 · 김유미 · 박성현 · 윤옥희 · 이수지 · 주현정 · 한경희
2010 곽예지 · 기보배 · 김문정 · 박소희 · 오다미 · 윤옥희 · 장혜진 · 주현정
2011 기보배 · 김문정 · 윤옥희 · 장혜진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현주 · 한경희
2012 기보배 · 김민정 · 김유미 · 심예지 · 윤옥희 · 이성진 · 장혜진 · 전나영 · 정다소미 · 정지민 · 최현주 · 한경희
2013 기보배 · 윤옥희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2014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전훈영 · 정다소미 · 주현정 · 최미선 · 홍수남
2015 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 홍수남
2016 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이특영 · 장혜진 · 전성은 · 최미선
2017 강채영 · 기보배 · 박미경 · 이은경 · 장혜진 · 최미선 · 최민선 · 홍수남
2018 강채영 · 박미경 · 안산 · 이은경 · 장혜진 · 정다소미 · 최미선 · 최민선
2019 강채영 · 안산 · 장혜진 · 전인아 · 정다소미 · 조아름 · 최미선 · 최민선
2020 강채영 · 곽진영 · 안산 · 윤옥희 · 장민희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1 강채영 · 안산 · 오예진 · 유수정 · 임해진 · 장민희 · 정다소미 · 최민선
2022 강채영 · 김수린 · 안산 · 이가현 · 이은아 · 임시현 · 정다소미 · 최미선
2023 강채영 · 기보배 · 김소희 · 안산 · 임시현 · 전훈영 · 정다소미 · 최미선
2024 남수현 · 오예진 · 이가현 · 이은경 · 임시현 · 임해진 · 전훈영 · 최미선

[자격포기] 소속 학교 규정에 따른 입촌 포기
}}}}}}}}}


[1] 현재 광주동명중학교 [2] 석사 학위 논문: 청소년의 순환보조 운동이 체력발달 비율에 미치는 영향(1993) [3] 확실히 서향순은 여러 모로 시운이 좋았는데, 이때 당시까지는 그래도 추천 선수라는 이름으로 대회 출전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1980년대 후반 양궁협회가 개혁을 추진하면서 아예 추천으로 대회 출전하는 것을 원천 봉쇄했기 때문이다. [4] 단체전을 포함할 경우 1988 서울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에 출전했던 윤영숙이 만 17세 21일 만에 금메달을 따내 최연소 기록을 썼다. [5] 1986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의 양궁은 거리별로 메달을 다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