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6 01:25:24

상호존대

1. 개요2. 언어생활에서3. 상호비존대4. 관련 문서


파일:tPRs9XA.png

1. 개요

相互尊待. Mutual Honorific (Mutual Respect[1])

친소어문화로서, 서로 존댓말(존중어)을 쓰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2. 언어생활에서

소통 관계 존댓말 반말 소통 형태 총칭
친소(親疏)관계 존중어(상호존대) 평어(상호비존대) 대칭 친소(親疎[2])어 문화
상하(上下)관계 일방존대 일방하대 비대칭 존비(尊卑[3])어 문화

한국어 일본어같이 존댓말 반말이 수직적인 위계에 따라 높임말, 낮춤말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호존대(존중어)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사실 신분제도가 존재하던 시기에는 같은 신분끼리 상호존대하는 것이 기본이었지만,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신분제도가 완전히 사멸하면서 평범한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서양과 같은 수평적인 인간관계가 자주 나타나면서 자주 보지 않는 사람들(어른)이나 사무적인 관계에서는 전세계 공통의 응대법이라고 할 수 있는 상호존대가 많이 쓰인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는 상호존대를 위해 쓸 적절한 2인칭 대명사가 없기 때문에 상호존대하여 사람을 부르기 쉽지 않은 언어다. 상호존대할 때 당신이라는 표현을 쓸 수도 있을 듯하지만 실제로는 낮선 사람과 반말로 싸움을 걸 때 자주 사용하고 외국어 번역에서 상호존대 한정으로 번역어로 쓰이는 수준이다.[4] 그런 의미에서 한국에서의 상호존대는 오히려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모르는 사람과 대화할때 쓰는 말로 특히 기성세대가 인식하고 있으며, 세대갈등의 큰 원인중 하나로 꼽힌다. 집단 내 상호존대하는 사람이 있으면 단순히 둘이 안 친한가라고 간주하거나, 심하게는 집단의 위계질서를 깬다고 생각하여 억지로 교정하려는 사람이 현재도 매우 많기 때문이다.[5]

신분제도가 사라진 지 채 100년이 되지 않았고, 사회의 경직성이 여기저기서 보이지만[6] 그럼에도 한국어에서 상호존대가 자리잡혀간다는 방증은 장교와 부사관 관계에서도 볼 수 있다. 지금은 믿기 어렵겠지만 초기의 한국군에선 나이에 상관없이 장교가 부사관에게 반말(낮춤말)했다.[7]

역시 존비어 체계가 존재하는 일본어에서도 한국처럼 위계질서에 따라 존댓말 반말 구분을 한다. 다만 일본은 한국보다 서구 문물을 반세기 정도 일찍 받들였기에 그에 따라 서구의 친소어 체계의 영향이 한국보다 빨리 나타나게 되어 현재는 존비어와 친소어 체계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3. 상호비존대

相互非尊待. 서로 반말( 평어)을 쓰는 것을 말한다. 가족이나 친구 관계에서 많이 나타난다.

일본어의 경우 서로 상하관계에 있어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구의 문화를 50년 정도 먼저 받아들였기에 친밀할 경우 상호비존대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일본에 비해 서양 문화의 도입이 늦었기에 아직까지는 부모-자식 사이를 제외하고는 상하관계에 있는 경우 존대-하대 체계가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서 상호 평어를 하는 것은 위계질서에 위배되거나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서 해당 상황이 나타나는 장면이 한국에 들어오면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존댓말(높임말)을 하는 것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상호비존대를 강요하는 경우도 은근히 존재하는데 동갑이 그렇다. 한국이 세는나이를 고집하면서 생기는 특징중 하나인데, 집단 내에 동갑임에도 상호존대하는 사람이 있으면 당사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그걸 두고보지 않고 억지로 교정하여 반말하게 만드는 사람들(주로 상급자)이 꼭 존재한다.[8] 정작 나이가 같아도 기수가 다르면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점, 혹은 나이와 계급이 서로 역전되는 경우에서 세는 나이와 기수문화를 서열화나 통제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4. 관련 문서



[1] 상호존중으로도 번역할 수 있다. [2] 親 가깝다 친, 疎 멀다 소 [3] 尊 높이다 존, 卑 낮추다 비 [4]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문서 참고. [5] 즉, 정부 기관에서 상호존대를 권장하더라도, 사회가 이를 따라주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인 셈이다. [6] 똥군기, 빠른 생일 등등 구 일본군으로부터 물려받은 고질적 서열주의 및 상명하복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 [7] 이는 부사관의 옛 명칭인 하사관(下士官)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말 그대로 사관(장교)보다 낮은 위치란 뜻이다. 참고로 이 하사관이라는 단어는 Under Officer 혹은 Unteroffizier라는 계급을 한자로 직역한 단어이다. 독일에서는 하사관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영연방에서는 사관생도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8] 이는 나이가 다른 경우에도 발생하는데 같은 직장에서 나이가 몇 살 많은 사람이 어린 사람에게 상호존대를 하는 경우에도 왜 말 안 놓느냐고 하는 경우도 있다. [9] 군대는 애초에 남초 집단이다보니 남자들 투성이라 여자들이 별로 없다. 그래서 아줌마는 별로 잘 안 쓰이고 아저씨가 잘 쓰인다. 물론 부대가 다른(사단급 이상으로) 여군들끼리 서로 모여있을 때 '아줌마'라고 부르며 대화를 하기는 한다. 이마저도 나이 많고 계급 높은 여군들끼리나 하는 경우라 흔한 경우가 아니다. 그리고 아줌마도 기분 나쁘다는 뉘앙스가 많아 실제로 여군들끼리는 '아가씨'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아줌마= 상원사 인 셈.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