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eef>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aeef> 공덕동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tablewidth=50%><tablebgcolor=#fff,#1c1d1f> | }}} 공덕동 | 신공덕동 | ||||
염리동 | }}} | ||||||||
아현동 | |||||||||
염리동 | |||||||||
도화동 | 마포동 | 도화동 | |||||||
용강동 | |||||||||
대흥동 | 용강동 | 토정동 | 염리동 | ||||||
대흥동 | 노고산동 | 신수동 | |||||||
신수동 | 현석동 | 구수동 | |||||||
신정동 | |||||||||
서강동 | |||||||||
창전동 | 상수동 | 하중동 | 당인동 | ||||||
서교동 | {{{#!wiki style="margin: -17px -10px" | 노고산동 | 서교동 | 동교동 | }}} | ||||
합정동 | 합정동 | ||||||||
망원1, 2동 | 망원동 | ||||||||
연남동 | 연남동 | ||||||||
성산1동 |
[[마포구청| 구청 ]]
성산동
|
||||||||
성산2동 | |||||||||
중동 | |||||||||
상암동 | 상암동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2872b3> 3도심 | 서울 도심 | 영등포/ 여의도 | 강남 | |||
7광역중심 | 상암/ 수색 | 용산 | 청량리/ 왕십리 | 창동/ 상계 | |||
마곡 | 가산/ 대림 | 잠실 | |||||
12지역중심 | 연신내/ 불광 | 미아 | 동대문 | 망우 | |||
신촌/ 홍대 | 마포/ 공덕 | 성수/ 건대 | 천호/ 길동 | ||||
목동 | 봉천 | 사당/ 이수 | 수서/ 문정 | }}}}}}}}} |
마포구의
행정동 상암동 上岩洞 | Sangam-dong |
|||
<colbgcolor=#00aeef><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마포구 | ||
행정표준코드 | 3130062 | ||
관할 행정동 | 상암동 | ||
하위 행정구역 | 28통 216반 | ||
면적 | 8.40㎢ | ||
인구 | 30,009명[1] | ||
인구밀도 | 3,572.50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마포구 을 | |
|
정청래 (4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 |||
|
김기덕 (4선) | ||
마포구의원 | 아 선거구 | |||
|
백남환 (3선) | ||
|
신종갑 (3선) | ||
|
최은하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매봉산로2길 16 (상암동 1616) | ||
상암동 주민센터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쪽 끝에 있는 동.2. 상세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북서쪽으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덕동과, 북동쪽으로는 은평구 수색동, 서대문구 북가좌동과 인접한다.서울시 2030 플랜 3도심 7광역 중심에서 7광역 중심 중 하나인 업무지구이지만 교통이 매우 좋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지하철역에서부터 업무지구까지의 거리가 1km 정도가 된다.[2]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상암동에서 유동인구가 제일 많은 상암 MBC까지 일반적인 도보로 대략 10분 정도 걸린다.[3]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중 6호선과 경의중앙선은 은평구 증산동 영역이고 공항철도만 상암동 영역이다. 그리고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를 환승하려면 그냥 복층 역인 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낫다.
현재 서울시가 상암동에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미디어시티 사업에 대해서는 디지털미디어시티, 디지털미디어시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모노레일에 대해서는 상암 DMC 모노레일, 서울시가 상암동에 지으려던 133층의 고층 빌딩에 대해서는 상암 DMC 랜드마크 빌딩 문서 참조.
1990년대 후반부터 아파트 공사가 시작되어 2003~2010년에 대규모 월드컵파크 주공아파트 1~12단지 입주가 이루어졌다. 다만,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나 월드컵경기장역까지 도보로 이동하기에는 상당히 먼 편이며, 특히 9, 12단지는 아예 고양시 덕양구 대덕동과 인접해 있다.[4] 단지에서 가장 가까운 금융기관이 신도농협 대덕지점일 정도. 제2자유로에서 차량으로 5분만 이동하면 행신동이 나온다. 서정마을이나 행신SK뷰를 제외하고는 월드컵파크보다 오래되긴 했지만.
월드컵대교 완공 전까지 성산대교와 가양대교가 한강 이남과의 교통을 책임지고 있었는데, DMC 사업으로 교통수요는 점점 늘어가는데 반해 성산대교 서쪽의 월드컵대교 건설은 티스푼공사로 지지부진하면서 심한 경우 퇴근시간대에 가양대교를 이용해서 상암 → 화곡이 1시간을 찍는 경우도 있었다.[5] 월드컵대교는 2022년 완공되어 성산대교 교통정체는 많이 해소되었다. 월드컵대교와 서부간선도 지하차선과 이어져 아주 빠르게 서부간선도로를 지나갈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대교에서 월드컵터널과 연결되는 지하차도 공사가 진행중이다. 그리고 강서구 쪽에서 상암동으로 가양대교를 건너오는 버스편이 6715번 하나밖에 없다시피했기 때문에 대장홍대선을 건설하는 이유 중 하나로도 지목되고 있다. 그나마 673번[6][7] 버스도 추가되어 조금은 사정이 나아졌지만 2020년 2월부터 670번이 가양대교를 건너오지 않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으며, 660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대신 707번이 700번 및 여러 좌석버스들과 중복되는 노선 정리 및 DMC와 영등포를 잇는 노선 확충 차원으로 상암DMC를 거쳐 영등포까지 가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으며[8], 760번으로 번호가 변경되면서 영등포구와의 접근성도 이전보다 더욱 편리해졌다.[9]
예전에는 여의도가 방송의 메카였다면 이제는 상암동이 방송의 메카이다. KBS, SBS, MBC, JTBC, CJ E&M( tvN, Mnet, OCN, 캐치온, 투니버스, TVING), YTN, 채널A, TV조선, TBS, SPOTV 등 각 방송사의 본사 및 계열사가 밀집해 있다. 여의도에 있는 KBS 본사, 목동에 있는 SBS 본사와 CBS, 그리고 일산에 있는 MBC 드림센터와 SBS 제작센터, EBS 본사를 제외하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방송사(지방 계열사 제외)의 대부분이 상암동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0]
카페, 맛집 등 주요 상권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및 주민센터 근처에 밀집해 있다.
서울특별시에 소속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서울보단 고양시 생활권에 더 밀접한 동네이다.
3. 역사
이곳은 마포구의 다른 지역과 다르게 조선 시대 성저십리가 아니었으며, 역사적으로는 고양군 관할이었다.[11] 그러나 이는 상암동 중 난지도였던 지역( 월드컵로 기준으로 한강 방향 지역)에만 해당되고, 상암동 중 난지도가 아닌 지역은 성저십리였다. 과거에는 더러운 난지도였지만 지금은 환골탈태했다. 공원 북쪽에는 디지털미디어시티가 조성되어 있다.4. 주요 시설
4.1. 기관
- 한국영상자료원 본사
4.2. 기업
- DMC 타워
- 한국지역난방공사 중앙지사
- 한샘 본사 (前 팬택 본사)
- 중앙일보 본사
- LG U+ 상암사옥
- LG CNS 상암사옥
- LG헬로비전 본사
- 누리꿈 스퀘어[12]
- SBA 서울산업진흥원 본사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 WIPS
- 메가몬스터[13]
- 우리은행 상암dmc금융센터
- 삼성SDS 상암IT센터
4.3. 방송센터
- MBC 글로벌미디어센터[본사]
- SBS 프리즘타워
- YTN 본사
- JTBC 본사
- 채널A 상암사옥
- TV조선 디지털큐브
- CJ ENM 센터[본사]
- KBS 미디어 센터
- TBS 본사[본사]
- 불교방송 글로벌미디어센터[건립예정]
4.4. 교육
4.4.1. 초등학교
4.4.2. 중학교
4.4.3. 고등학교
4.4.4. 특수학교
- 서울일본인학교[18]
- 서울 드와이트 외국인학교
4.5. 문화재
- 일본군관사
4.6. 아파트
- DMC상암 센트럴파크1,2단지 - (시공사 양우건설)
- 상암 카이저팰리스클래식아파트 - (시공사 우림건설)
- 상암월드컵파크 1단지 - (시공사 삼호건설)
- 상암월드컵파크 2단지
- 상암월드컵파크 3단지 - (시공사 두산건설)
- 상암월드컵파크 4단지[19] - 2006년 10월 입주 (시공사 태영건설)
- 상암월드컵파크 5단지[20]
- 상암월드컵파크 6단지
- 상암월드컵파크 7단지 - (시공사 진흥기업)
- 상암월드컵파크 8단지
- 상암월드컵파크 9단지
- 상암월드컵파크 10단지
- 상암월드컵파크 11단지
- 상암월드컵파크 12단지
4.7. 기타
5. 교통
5.1. 버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width=25%><bgcolor=#3d5bab> 간선 || ||
지선, 맞춤 | |
경기일반시내 | |
광역 | |
직행좌석 | |
마을 | |
심야 | |
공항 |
5.2. 지하철
6. 논란
2022년 8월 31일, 서울특별시에서 광역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을 지역난방공사 중앙지사 옆에 짓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되고있다. 이에, 마포구, 마포구의회, 상암동 주민들은 전면 백지화를 촉구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갑작스런 발표와 안그래도 상암 랜드마크 개발도 더딘데 쓰레기 소각장을 랜드마크화 하겠다는 서울시의 입장에 황당하다는 반응이다.7. 출신 인물
8. 기타
- 흔히 상암구장, 상암벌로 불리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상암동이 아니라 성산동에 있다.
상암동의 아파트 근처를 지나가는 수리온 |
- 수리온 헬리콥터들이 상암동 근처를 자주 지나가는 듯[22] 하다. 또한 2022년에는 모종의 이유로 헌병이 월드컵파크 5,7단지 인근에 배치되었다. 2023년에도 약 1~2개분대가 시내에서 이동하였다.
- 2019년 서울 모빌리티 엑스포가 DMC에서 개최되었다. 2021년은 바로 옆동네 성산동에 소재된 문화비축기지에서 개최되었다.
-
런닝맨 614화가 상암동에서 촬영되었으며 서울 에너지 드림센터와DMC에서도 촬영되었다.
- 서울월드컵경기장 문서에 있듯이 주민들은 성산동과의 경계선을 불광천이라 생각한다.[23][24]
9. 관련 문서
[1]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
[2]
이렇게 기형적인 역 위치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 초기 상암동을 순환하는
상암 DMC 모노레일이 추진되었으나 취소되었다.
[3]
공항철도를 월드컵북로 쪽으로 빼고 인천 급행과 디지털미디어시티용 완행으로 구분해서 개통했으면 디지털미디어시티 한가운데를 통과해서 지하철을 이용하기 좋았을 텐데, 공사비 절감 이유인지 경의선에 붙이는 바람에 지하철 이용이 불편하다. 다만, 이럴 경우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의 환승이 문제가 된다.
[4]
그래서 아파트 단지 앞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지하철역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 서울 시내쪽으로 간다면
마포구청역, 교외쪽으로 간다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간다. 다행히 대장홍대선이 건설된다는 소식이 나오며 만약 건설될 경우 지하철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5]
가양대교의 기점인 구룡사거리부터
화곡역까지의 거리는 약 5.5km이다.
[6]
특히 673번은 화곡동, 부천시내에서 상암동을 오가는 최초이자 유일한 노선이다. 그만큼 수요가 많은데, 2023년 기준 대당 승객 수가 무려 469명으로
502번,
507번보다 대당 승객 수가 10~12명 더 많은 정도다.
[7]
다만, 차량대수가 16대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많은 수요에 비해 배차간격이 긴 게 단점.
[8]
구 670번은 성산대교로 바로 건너지 않고
염창동,
가양동까지 다 돌고 상암동으로 진입한 것과 달리 현 760번은 월드컵대교를 건너서 바로 상암동으로 진입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9]
이러한 이유로 상암동에서 9호선을 타러 갈 때
가양역까지 돌아서 가는 방법밖에 없었지만
당산역으로 바로 가는 또다른 방법이 생겨서 편리해졌다.
[10]
고양시
일산서구에도 JTBC, MBC, SBS, EBS 등의 본사 및 계열사가 입주해 있어 상암동과 함께 방송 도시의 역할을 하고 있다.
[11]
오히려 바로 북쪽의
수색동은 성저십리였는데, 본래 수색과 상암은 한강의 지류에 의해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2]
2019년에 개봉한 영화
엑시트에서 가스 테러가 시작된 지점으로 등장한다.
[13]
카카오M 산하 방송 프로그램 제작사
[본사]
[본사]
[본사]
[건립예정]
[18]
하늘초등학교 등의 인근학교와 교류도 자주한다.
[19]
이수근이
1박 2일 출연 당시 이곳에 거주했다. 현재도 2단지와 더불어 CJ E&M 스태프와 직원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20]
송민호가 거주하고 있다.
[21]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은 은평구
증산동 소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은 은평구
수색동 소재이다.
[22]
옆동네 고양시에 군 항공기지가 있으며 육군3사관학교가 위치해있고 예전에 국방대또한 고양시에 위치해있었다.
[23]
실제로는 상암사거리, 매봉산, 난지천공원, 평화의공원이다.
[24]
성산동을 제외한 인접한 다른 동과는 철도, 향동천으로 확실히 분리가 되어있기에 행정상으로도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