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사명이 삼영교통이었던 서울시의 시내버스 업체에 대한 내용은 도선여객 문서
, 경기도의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삼영운수
문서
참고하십시오.제주특별자치도 버스 회사 | ||
공영버스 ( 제주· 서귀포) |
관광지순환버스 | 극동여객 |
금남여객 | 동복리사무소 | 동진여객 |
라이드플럭스 | 삼영교통 | 삼화여객 |
서귀포운수 |
우도사랑 협동조합 |
제주여객 |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 추자교통 |
365번 | 600번 |
삼영교통 三榮交通 Sam Young Transportation Co., Ltd |
|
<colbgcolor=#555555><colcolor=#FFF> 설립일 | 1983년 11월 1일 |
업종명 | 시내버스·공항버스 운송업 |
대표자 | 강지윤 |
사원수 | 299명 |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 |
보유 대수 | 148대 |
주소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항로1길 14(용담이동) |
[clearfix]
1. 개요
1983년 11월 1일에 설립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가장 큰 버스 회사로 본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문로 40(용담이동)에 위치해 있었는데, 도로 건설로 인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항로1길 14(용담이동)으로 이전했다. 간선버스 14개[1], 공항 리무진 2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사실 과거에는 이렇게 큰 업체는 아니었다. 공항버스만 전담하여 노선도 4개밖에 없던데다[2] 당시에는 제주시내에는 대화여객, 한일여객, 서귀포시내에는 영신여객 등 커다란 시내버스 업체가 많았다. 그러다가 90년대 제주시내 최대 시내버스 업체였던 대화여객이 심각한 노사분규로 운행을 못하면서 아예 면허취소됐던 사태를 비롯해 시내버스 업체들이 차례차례로 무너지자, 전국적으로 보더라도 유별나게 노사관계가 좋았던 데다가[3] 워낙 인기노선이었던 500번을 갖고 있던 이 회사가 그 노선들을 맡아 운행하면서 지금의 규모가 됐다.
1987년 전국적인 파업 대란 때 제주도내 버스 업체 중 유일하게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30년 동안 이 회사는 파업에 동참한 버스 회사들에게 좋지 않은 취급을 받은 적도 있었다.
과거에는 시외버스 회사[4]에게도 취급이 좋지 않았다. 이 때는 제주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노선들을 이 회사가 독점하고 있었는데, 1990년에 600번을 신설한다고 하니 금남여객을 포함한 7개의 시외버스 회사가 반발했고, 1992년에 600번의 경유지 4개를 추가한다고 하니 파업까지 강행했다. # 그래서 오래 일한 시외버스 기사들이 삼영교통 기사들과 싸우고 혐오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한다. 훗날 2017년 대중교통 개편 과정에서 365번 계열을 제외한 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은 전부 타 회사로 인계됐고 모든 버스 노선에 준공영제까지 적용되어 예전 이야기가 됐다.
600번에 사용되는 자체 도색은 (새)서울고속과 한국도심공항 구도색과 비슷하다.
개편전 시내버스에는 흰색 바탕에 주황색과 하늘색 라인이 그려진 도색을 사용했다. 이는 설립 당시부터 사용한 도색으로 2017년 제주 시내버스 체계 개편 전까지 한번도 바뀌지 않았다.[5]
버스 외벽에 붙이는 사명 글꼴이 굉장히 유니크하다. 금남여객( 錦 南 旅 客), 삼화여객( 三 和 旅 客)과 함께 전면부 사명을 한자로 붙였는데, 한자 글꼴은 예서의 일종인 듯한 서체로 굉장히 쭈글쭈글하다. 한글 글꼴도 부드러우면서도 우직한 느낌을 주며, 한글·한자 사명 모두 네 글자 사이를 띄어둔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에서 제주여객, 서귀포운수와 함께 전면부에 사명을 흰색이 아닌 검은색으로 붙이는 회사이다.
2. 보유 차고지
- 본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항로1길 14 (용담이동 1564) - 삼화여객, 서귀포운수와 더불어 단일 차고지만 보유하는 업체이다. 동시에 서귀포에 차고지를 두지 않는 업체이다.
3. 운행 노선
3.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300[공동배차] | 신사동 | 함덕해수욕장 - 조천리사무소 - 신촌초등학교 - 삼양초등학교 - 오현고 - 천수동 - 동광양 - 제주시청 -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 보건소 - 신제주로터리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이호2동 - 외도초등학교 - 하귀하나로마트 - 하귀초등학교 | 번대동 | 25~70 |
301[공동배차] | 함덕해수욕장 - 조천리사무소 - 신촌초등학교 - 삼양초등학교 - 오현고 - 천수동 - 동광양 - 제주버스터미널 - 신제주로터리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이호2동 - 외도초등학교 - 하귀하나로마트 - 하귀초등학교 | 34~95 | ||
302 | 제주국제공항 | 용문사거리 - 서문시장 - 중앙로사거리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제주대학교 - 제주첨단과학기술산업단지 | 제주국제대학교 | 10~16 |
320 | 삼화지구 | 화북공업단지 - 거로마을 - 한일베라체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 한라도서관입구 - 제주제일고 - 제주한라대학교 - 광평마을 - 외도부영아파트 - 하귀휴먼시아 - 하귀초등학교 | 수산회차지 | 10~57 |
335 |
봉개동 (동회천) |
도련1동 - 삼양초등학교 - 오현중.고등학교 - 천수동 - 동광양 - 제주터미널 - 제주도청 - 도호동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백록초등학교 - 월산마을 - 무수천 | 제주관광대학교 | 25~30 |
336 | 도련1동 - 삼양초등학교 - 오현중.고등학교 - 천수동 - 동광양 - 제주터미널 - 제주도청 - 도호동 - 연동대림아파트 - 제주고등학교 - 제주한라대학교 - 월산마을 - 무수천 | 25~30 | ||
341 | 신사동 | 함덕교차로 - 함덕해수욕장 - 조천리사무소 - 삼양초등학교 - 오현중.고등학교 - 천수동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제주대학교 | 14~97 |
342 | 함덕교차로 - 함덕해수욕장 - 조천리사무소 - 삼화지구 - 오현중.고등학교 - 천수동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20~64 | ||
351 |
봉개동 (동회천) |
도련1동 - 삼양초등학교 - 오현중.고등학교 - 천수동 - 인화동입구 - 동문시장 - 중앙로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15~45 | |
355 | 수산회차지 | 하귀초등학교 - 하귀휴먼시아 - 외도부영아파트 - 내도동 - 제주민속오일장 - 한라병원 - 제주도청 - 제주터미널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16~35 | |
356 | 하귀초등학교 - 하귀휴먼시아 - 외도부영아파트 - 내도동 - 제주민속오일장 - 한라병원 - 제주도청 - 세기아파트 - 제주시보건소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18~50 | ||
360 | 제주대학교 | 제주대병원 - 제주여중고 - 제주시청 - 제주터미널 - 제주도청 - 도호동 - 한라병원 - 원노형마을 (→ 제주제일고 → 탐라도서관 →)/(← 연동대림아파트 ←) | 부영아파트 | 12~15 |
365 | 제주한라대학교 | (→ 정존마을 →)/(← 제주고등학교 ← 제주제일고 ← ) - 노형오거리 - 한라병원 - 도호동 - 제주도청 - 제주국제공항 - 용문사거리 - 관덕정 - 중앙로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제주대학교 | 10~16 |
366 | 제주고등학교 → 연동대림아파트 → 노형오거리 → 한라병원 → 도호동 → 한라도서관입구 → 제주여중고 → 제주대병원 → 제주대학교 | 영주고등학교 |
학기중 1회 |
|
367 | 제주고등학교 → 연동대림아파트 → 노형오거리 → 한라병원 → 도호동 → 한라도서관입구 → 제주여중고 → 제주교통방송 → 신성여중고 → 제주중앙고 | 월평마을 |
학기중 1회 |
|
368 | 백록초등학교 → 노형오거리 → 한라병원 → 도호동 → 한라도서관입구 → 제주여중고 → 제주교통방송 → 신성여중고 → 제주중앙고 |
학기중 1회 |
||
370 | 수산회차지 | 하귀초등학교 - 하귀하나로마트 - 외도부영아파트 - 내도동 - 제주민속오일장 - 삼무공원 - 제주도청 - 제주국제공항 - 용문사거리 - 관덕정 - 중앙로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아라주공아파트 | 제주대학교병원 | 1일 15회 |
380 | 신사동 | 함덕교차로 - 함덕해수욕장 - 조천리사무소 - 삼양초등학교 - 오현중.고등학교 - 사라봉 - 동문시장 - 중앙로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아라주공아파트 | 1일 17회 |
3.2. 공항리무진 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600 | 제주국제공항 | 제주썬호텔 - 한라병원 - 정존마을 - 평화로 - 동광환승정류장 - 창천리 - 중문관광단지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월평마을 - 강정농협 - 제주월드컵경기장 - 샛기정공원 - 서귀포항 | 서귀포KAL호텔 | 50~60 |
601 | 제주썬호텔 - 한라병원 - 정존마을 - 평화로 - 동광환승정류장 - 창천리 - 중문관광단지입구 - 그랜드조선 제주 - 파르나스호텔 - 신라호텔 - 롯데호텔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45~53 |
4. 특징
회사 창립 이후 2009년 600번 노선에 유니버스, 시내버스 노선에 NSAC을 뽑기 전까지 자일대우버스만 출고했으나 자일대우버스의 잔고장 문제, 요소수 문제로 유니버스 도입 이후 현대로 전향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현대차가 힘이 부족하고 기름을 많이 먹는다는 이유로 2012년 NEW BS106 출고 이후로는 다시 자일대우버스를 뽑기 시작했고 이후 자일대우버스로 출고했다. 자일대우버스에서 현대버스로 전향 중인 다른 업체들과는 대조되는 점이다. 2017년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유로6 디젤 엔진을 출시한 이후 BS에는 HD현대인프라코어, FX에는 커민스 엔진을 달고 출고한다.[8]공항버스로 시작한 회사여서 모든 차량의 후면에 공항버스 표기를 했으나, 이후 여러 시내버스 노선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공항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도 그런 표기를 사용해서 혼동이 야기되어 현재는 전부 삼영교통 사명 표기로 교체됐다.
이 회사의 버스에서는 일출랜드를 홍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9][10] 삼영교통의 사장이 일출랜드를 같이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작 삼영교통은 일출랜드로 가는 버스를 운행하지 않고 있다.[11]
2019년, 제주여객과 함께 에디슨 NEW e-화이버드 전기버스를 출고했다. 2011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7대가 대차돼 370번과 380번에 투입됐다.
2020년 11월, 제주여객과 함께 NEW e-화이버드 전기버스를 추가로 출고하여 341, 342번에 도입했다. 이번에도 역시 11년식 대차분이다.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으로 인한 울산공장 조업 중단 문제, 에디슨 스마트 12 개발 상황에 따라 공항리무진 버스로 유니버스를 다시 출고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지만 2021년 8월 경 전국 노선버스 최초 BX212M 로얄플러스를 출고하여 자일대우버스를 선호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12]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업체 성진버스의 BS090에 이어 울산공장 가동 재개 후 2번째로 신차를 출고했으며, 천마관광이라는 전세버스 업체의 취소분으로 가동 중단 전부터 공장에 묵혀있던 차량으로, 비상문 장착이 의무화되기 전에 생산됐던 차량이어서 비상문이 달려 있지 않다. 울산공장 가동 재개 후 뉴 슈퍼 11년식 대차분으로 355, 356번에 투입할 BS106 2대도 최초로 출고했다.[13]
2021년 9월에는 11년식 1대와 12년식의 대차분으로 전국 최초 베트남 생산분 BS106을 자체 출고해 각각 355, 356번과 351번에 도입했다.[14]
2021년 10월에는 12년식 1대와 18년식 1대[15] 대차분인 에디슨 스마트 110을 2대 출고해 341, 342번에 도입했다.
2022년 1월에는 대량대차를 시작했는지, 2012년식 NEW BS106과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대차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BS106과 스마트 110[16]을 대량 출고했다. 특히 BS106은 2022년형으로 외부에 비상레버가 추가된 형식이다.[17]
2022년 10월에는 2013년식 NEW BS106 대차분으로 스마트 110 3대를 출고하여 전부 320번에 투입했다. [18]
하지만 2022년 11월, 에디슨모터스의 공장 가동 문제, 자일대우버스의 베트남산 수입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9년만에 현대버스를 재출고했으며,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단종으로 그린시티를 처음 출고했다. 그린시티 대부분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13년식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됐으며[19], 알룩스 훨이 달려 있다.
에어컨은 두원공조의 제품을 사용한다.
특이하게도 2017년 이후 출고하는 BS106의 경우 입석형 창문에 좌석형 시트를 장착해서 출고한다. 삼영교통만 이 옵션을 적용하는 것으로 보아 특별주문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20]
보유댓수가 많은 편임에도 차량관리를 상당히 잘하는 편이며, 차량을 법적 내구연한인 9년만 굴리고 신차로 칼대차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해풍 때문에 녹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17년식 이전 대우차량들은 외부천장에 부식이 있는 경우가 종종 보이나 개편 당시 도입한 17년식 이후 차량들은 상태가 나쁘지 않으며 기어, 엔진, 브레이크 등은 상당히 신경을 잘 쓰는 편이다.[21] 특히 올해로 9년째 운행하고 있는 2014년식 NEW BS106 차량들에서도 지형이 험하고 주행 거리가 빡빡한 제주도 버스 특성상 고RPM 운전이 일상인데 DL08K 엔진 특유의 고음 엔진음이 매우 잘 나며, 심지어 예비차량으로 운행하는 차량들에서도 이 엔진음이 잘 들린다.
2024년 3월에는 일렉시티 EV를 처음으로 출고하여 320번에 투입하였고 4월부터는 355번, 6월부터는 302번에도 분산투입하고 있다. 자일대우버스나 그린시티 등 디젤 차량의 출고가 더 이상 불가능하다는 점도 있고, 22년 말부터 현대차 위주로 출고중이라 일렉시티로 출고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사실상 현대로 재전향한 셈이다.
2024년 말에는 전국 최초로 아폴로 1100 양문형 전기버스를 출고했다.
서귀포시에 서귀포운수가 있다면 제주시에서는 삼영교통이 3분요리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3분요리 희생양은 350번대 차량이다. 주로 360번, 365번에서 목격된다. 저상버스만 투입되는 380번에서도 목격되었다. 또한 302번, 355번, 356번, 360번, 365번 차량으로도 3분요리를 하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
5. 면허 체계
6. 현재 보유 차종
6.1. 자일대우버스
- 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디젤
- 대우 NEW BC211 뉴 로얄 하이시티 디젤
- 대우 FX II 120S 크루징스타 디젤
- 대우 FX120 에이스 디젤
- 대우 BX212M 로얄 플러스 디젤
6.2. 현대자동차
6.3. KGM커머셜
6.4. 우진산전
7. 과거 보유 차종
7.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R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LPG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대우 BS120CN 디젤
- 대우 BV113 디젤
- 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7.2. 현대자동차
[1]
전부 제주시 간선버스이다.
[2]
100번(현재 332번),
500번(현재 365번),
200번(현재 466번),
300번(2012년 폐선)을 운행했다. 이 중 300번은 2006년에 공영버스로 이관했었다.
[3]
물론 안 좋았던 때도 있었다. 2007년 2월부터 임금협상, 복지 문제로 노사 갈등이 생겨서 7개월 동안 반(半)파업 상태로 시위를 했다.
[4]
당시
금남여객,
제주여객,
동진여객,
극동여객,
삼화여객. 현재는 폐업한 남일여객, 영주운수도 있었다.
[5]
영주운수도 서귀포 좌석버스 도색으로 같은 색상에 라인이 일자로 단순화된 도색을 사용했다.
[공동배차]
극동여객과 공동 배차.
[공동배차]
[8]
단, 17년 버스 대개편 이후, 07~08년식 BS106, BS106 F/L 대차분으로
커민스를 대량으로 출고했다.
[9]
성산읍에 위치한 '미천굴' 이라는 용암동굴을 활용하여 관광지로 만든 곳.
[10]
그나마 현재는 시트 커버와 차량 후면에 작게 광고를 삽입하는 정도지만, 과거에는 차량 측면과 후면에 광고가 크게 부착돼 있었다.
[11]
일출랜드로 가는
295번은
금남여객이,
722번은
서귀포시 공영버스에서 운행한다.
[12]
BX212는
경북고속 계열사조차 1대도 출고하지 않은 차종이다.
[13]
2019년 이후 BS106에 항상 넣는 AEBS가 없고, 유리창 하단에서 분사되는 구식 워셔액 분사장치나 10홀 휠이 장착되는 등
KD 운송그룹에서 주로 적용하는 옵션이 적용됐고, 경기도 시내버스의 도색으로 출고됐다가 제주도내 공업사에서 재도색 작업을 했던 것을 보아 KD 계열사 취소분으로 보인다.
[14]
351번, 352번에 투입되는 차량은 베트남산 시제차 출신이라 AEBS와 비상레버가 달려있지 않고, 휠도 10스터드 휠로 장착되어 있다.
[15]
21년 4월에 트럭과의 추돌 사고로 수리 불가 판정을 받은 차량 말이다.
[16]
이번에도 전기버스는
341, 342번에만 투입됐다. 아무래도 이 4개 노선부터 전 차량을 전기버스 차량으로 전환하려는 듯하다. 허나 특이하게도 BS106 2022년형 중 1대를 대차분으로 같이 투입해서 전차량 전기차량은 아니게 됐다.
[17]
울산공장 및 베트남산 시제차 취소분은 외부 비상레버가 없다.
[18]
320번 노선의 첫 저상버스이다.
[19]
13년식 NEW BS106 대차분도 일부 있다.
[20]
과거 공영버스도 현대 그린시티에 입석형 창문, 좌석형 시트 옵션을 넣은 선례가 있으며, 동진여객도 해당옵션을 넣은 그린시티 개선형을 1대만 출고한 적이 있다.
[21]
대우 차량은 브레이크 소음이 심하기로 유명한데 이 업체 차량들은 소음이 적게 나거나 거의 없는 편이다. 다만 베트남산 대우 차량들은 드럼 브레이크 배선 문제 때문인지 칼을 가는 소리처럼 굉장히 시끄럽다.
[22]
71##호대 면허는 원래 서귀포 남국교통 면허였다. 2005년 남국교통 폐업 후 2011년 삼영교통이 차량 댓수를 100대를 넘기면서 새로 발급 받았다.
[23]
공항리무진 면허
[24]
2007년 BS120CN 이후 12년만에 출고한
저상버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