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4 14:44:17

삼성 엑시노스/8 시리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삼성 엑시노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파일:삼성 엑시노스 로고 블랙.svg 파일:삼성 엑시노스 로고.svg 모바일
프로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행 시리즈
1000 2000
구형 시리즈
2019 ~ 2020
800 900
2017 ~ 2019
5 7 9
2011 ~ 2017
3 4 5 7 8 }}}}}}}}}
웨어러블 · 오토모티브 · 모뎀 · RF · UWB
엑시노스 이전 SoC · IoT


1. 개요2. 특징3. 제품 목록
3.1. 8 옥타 8890
4. 이후5. 같이 보기

1. 개요

삼성전자가 2015년 하반기부터 운영한 삼성 엑시노스의 8 시리즈 제품군이다.

2. 특징

2015년 11월 12일에 공개된 엑시노스 7 시리즈의 후속 시리즈다.

빅 클러스터의 CPU 코어가 ARMv8-A 명령어 세트 기반의 자체 CPU 코어로 변경되었으며 리틀 클러스터는 여전히 ARM Cortex-A53을 사용하며, 또한 ARM big.LITTLE 솔루션 적용하였다.

3. 제품 목록

3.1. 8 옥타 8890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height=56><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 파일:삼성 엑시노스 로고 블랙.svg 파일:삼성 엑시노스 로고.svg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f; padding:12px; margin-top:5px; margin-left:5px; margin-right:2px; margin-bottom:2px; text-align: center; letter-spacing: -.5px; margin-bottom:12px;background-color:#fff;border-radius:24px;text-align:cenetr;"
파일:Exynos_15.png

엑시노스 8 옥타 8890

카테고리
[[삼성 엑시노스/라인업(2017년 이전)|
모바일
]]
모델
Exynos 8 Octa 8890

멀티코어
옥타
파트 넘버
S5E8890

제조 공정
14nm

CPU (Main)
[[Samsung Exynos M1|
Quad-core (Exynos M1)
]]
{{{#!folding [ 자세히 보기 ]
}}} ||
한국 삼성전자 엑시노스 8 옥타 8890 공식 사이트


2016년 타겟 플래그십 모바일 AP로, 엑시노스 7 Octa (7420)의 후속작이다. 개발 코드네임은 Jungfrau[1].

CPU 삼성전자가 최초로 자체 개발한 커스텀 CPU 아키텍처인 ARMv8-A 기반 Exynos M1[2]을 쿼드코어 구성으로 빅 클러스터를 이루고, ARM Cortex-A53을 쿼드코어 구성으로 리틀 클러스터로 이뤄서 ARM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를 탑재했다. 전작인 엑시노스 7 Octa (7420)과 비교할 때 약 30%의 성능 향상이 있다고 하며 약 10%의 전력 효율이 개선[3]되었다고 한다.

GPU ARM Mali-T880을 도데카코어 구성으로 탑재했다.

메모리 컨트롤러도 탑재해서 LPDDR4 SDRAM, UFS 2.0, eMMC 5.1, SD 3.0을 지원한다. 또한, 삼성 엑시노스 모뎀 335를 통신 모뎀 솔루션으로 내장했으며 이는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모바일 AP로는 최초이다. 다운로드 최대 속도 규격으로 4G LTE Cat.12을 만족해 최대 600 Mbps의 속도를 보장한다. 여기에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는 ISP를 탑재했다.

여기에 최대 4K@60 fps H.265( HEVC), H.264(AVC), VP9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MFC를 탑재했다.

생산 공정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14LPP 공정이다. 이후,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에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가 분리되면서 설계주체는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로 동일하지만 생산주체가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에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로 이관되었다.

벤치마크 결과의 경우, 해당 모바일 AP를 기반으로 한 개발 보드는 존재하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 탑재된 기기인 갤럭시 S7을 기준으로 할 때 CPU 성능은 Primate Labs Geekbench 4 기준, 싱글코어 점수가 약 1,800 점으로 측정되었고 멀티코어 점수가 약 5,700 점으로 측정되었다.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과 비교할 때 싱글코어 성능은 10%정도 높고 멀티코어 성능은 40%정도 높다는 결과가 나온다.

기본적으로 CPU 클럭은 2.29 GHz이지만,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의 Turbo Mode가 도입되어 빅 클러스터가 전부 작동할 때의 CPU 클럭은 2.29 GHz이며 듀얼코어 구성 내지 싱글코어 구성으로 작동할 때의 CPU 클럭은 2.60 GHz이다.
파일:720px-Gsmarena_001.jpg 파일:720px-Gsmarena_002.jpg
파일:720px-Samsung-benchmark.010-1.jpg 파일:720px-Samsung-benchmark.011-1.jpg
전력효율 면에서는 일단, CPU 아키텍처인 Samsung Exynos M1이 카운터파트인 Qualcomm Kryo보다 전력 효율 면에서 떨어진다. M1 프로세서가 풀로드시 2.5~2.6W를 소모하는데에 비해 MSM8996의 Kryo는 풀로드시 1.8~2.1W 안밖을 소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M1이 2.60 GHz로 풀로드가 되어있는 상황에서는 정수 연산 시나리오에서 2028J을 소모하며 2052J을 소모한 Kryo 대비 전력효율면에서 동급, 부동소숫점 연산 시나리오에서는 933J을 소모하며 700J을 소모한 Kryo 대비 상대적인 열세를 보인다. 그러나 윗 이미지들과 링크에서 볼수 있듯이 실제 탑재 기기의 전력 소모 테스트 상에서는 오히려 E8890이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하여 세가지 근거가 존재한다.
GPU의 경우, OpenGL ES 3.0 API로 측정되는 멘하탄 오프스크린 기준으로 38 fps로 측정되고 있어 퀄컴 Adreno 530이나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GT7600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었다.

2016년 3월 12일, 실제 탑재 기기인 갤럭시 S7 GFX벤치 결과가 공시되었다. OpenGL ES 3.0 API로 측정되는 멘하탄 오프스크린 기준 41.1 fps, OpenGL ES 2.0 API로 측정되는 T-Rex 오프스크린 기준 88.9 fps로 측정되어 일단 Apple A9 APL0898 & APL1022의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GT7600는 따라잡았고 카운터파트인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 퀄컴 Adreno 530보다 약 5%에서 20% 가량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후 GPU 드라이버가 r12p1로 업데이트 된 이후에는 OpenGL ES 3.0 API로 측정되는 멘하탄 오프스크린 기준 45 fp까지 상승해서 카운터파트인 퀄컴 스냅드래곤 820의 퀄컴 Adreno 530와 오차범위 내 동급을 내주게 되었다.

4. 이후

8 옥타 8890 한 제품만 출시하고, 2017년 개편과 함께 라인업이 정리되었다.

5. 같이 보기



[1] 융프라우. 스위스의 관광 명소로 알려진 그곳이 맞다. [2] 개발 코드네임은 ' Mongoose'로, 유래는 개발 코드네임이 독사로 유명한 Taipan으로 명명된 Qualcomm Kryo를 저격하고 독사를 잡아먹는 동물로 유명한 몽구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일단, 개발 소스에 의하면 CPU 자체 아키텍처의 명칭은 Exynos M1으로 확인되었으나 실제 사용 기기인 갤럭시 S7의 커널 소스에는 개발 코드네임이 그대로 CPU 아키텍처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정식으로 공개되면서 Exynos M1이 확정되었다. [3] 이는 삼성전자의 14nm 공정인 14LPE 공정과 14LPP 공정의 차이점을 그대로 옮겨적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엑시노스 7 Octa (7420) 공개 당시 엑시노스 7 Octa (5433)의 20nm HKMG 공정과 비교했을 때의 상황과 동일하다. 당시, 소비전력이 약 35% 감소라 밝혔으나, 실제로는 약 45%나 감소되었기 때문에 해당 수치가 더 높게 나올 개연성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 [4] The Exynos’ 8890 2-core boost feature was in my opinion senseless as the performance benefit of the additional 300MHz was not worth the efficiency penalty (The above results were run at the full 2.6GHz, 2.3GHz is only 10% slower but 25% more efficient) [5] 퀄컴 스냅드래곤 820 Qualcomm Kryo를 듀얼코어 씩 두 개의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CPU 클럭에 차등을 두었다. [6] 다만, 삼성전자 갤럭시 S7 & 갤럭시 S7 엣지에서 의도적으로 성능을 조절했다는 추측도 존재한다. 단순한 속도 테스트에서 퀄컴 스냅드래곤 820 MSM8996를 탑재한 갤럭시 S7 & 갤럭시 S7 엣지가 동일한 모바일 AP를 탑재했던 G5보다 느리게 나왔다는 결과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다른 기기간의 비교이고 같은 갤럭시 S7 내에서 엑시노스 8890이 들어간 기기가 SD835 대비 성능, 효율면에서 우위를 가진다는건 명확한 사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9
, 2.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