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0:37:50

삼국지 시리즈/장수(ㅌ)


[clearfix]

1. 개요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수들 중 (ㅌ)자로 시작하는 무장들을 정리한 문서.

2. 타사대왕

파일:삼국지3타사왕.png
삼국지 3
파일:King_Duosi_(1MROTK).png 파일:093-Dousi-Dawa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4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52.jpg
삼국지 12, 13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남만 제일의 지장으로 나온다. 그러나 그 지력도 별 볼 일 없고, 지력을 높여 준 만큼, 다른 남만 장수들보다 무력은 낮다. 지력이 낮은 만큼 타사대왕 본인이 군주에게 하는 조언들은 대부분 들어맞지 않아 조언 자체는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는 것이 낫다. 시스템적으로 군사의 유무가 난이도에 영향을 크게 끼치는 삼국지 9 삼국지 11과 같은 경우 그래도 없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3, 지력 66, 매력 36. 역시 잉여다. 이름은 번역자의 실수 탓인지 두사왕으로 나온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2, 수전지휘 31, 무력 68, 지력 51, 정치력 40, 매력 39.

무력이 68이라 아무리 노력해도 장군이 될 수가 없고 지력이 51이라 이것도 양민 수준. 그나마 정치가 40이니 정치 67의 주포랑 같이 문관으로 바꿔서 상업 투자나 시키자. 다른 용도로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이번작의 이름입력 글자수 제한 때문에 타사왕으로 나온다. 정작 국내 발매판에는 번역자가 또 실수를 했는지 이번엔 나사왕으로 나온다.

삼국지 4에서는 통솔과 무력이 돋보이는 통솔력 77/무력 85/지력 31/정치력 35/매력 42의 무장형 능력치로 등장한다.

맹획에 비하면 한 수 아래이나 축융보다는 능력치가 높다. 리메이크판인 삼국지 DS 2에서는 당시 추세에 맞게 지장형 능력치인 통솔력 69, 무력 61, 지력71, 정치력 55, 매력 42로 등장한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1/지력 67/정치력 39/매력 48. 진형은 추행/형액. 특기는 격려, 분기, 속공, 진립, 기우, 등갑.

전체적인 특기가 맹획군의 참모다운 능력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진형과 특기를 살려 기동전에 쓸 수 있다. 초반 군사가 없는 맹획군에서 타사대왕의 '진립' 능력은 사막 오아시스라 하겠다.

삼국지 7부터 지력 70을 기록하였다. 대신 삼국지 6에서 72를 찍던 무력은 52로 2배나 너프되었다. 지력은 이 시리즈 이후 쭉 70을 유지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59/지력 70/정치력 43. 병법으로는 연사, 조영,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남만 장수들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분신이 없지만 대신 연사와 모략계 병법인 혼란과 덫을 보유하고 있어서 맹획군에서는 그럭저럭 쓸 만한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0/지력 70/정치력 57/매력 51. 특기는 보수, 화시, 진정, 유인, 지리, 반박, 군사로 총 7개다.

고만고만한 능력치지만, 이번작에서는 군사 특기가 사기급이기 때문에 남만에선 매우 쓸 만한 인재다. 특이하게 상병(코끼리)을 사병으로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59/지력 70/정치력 54/매력 47. 노병 적성이 A에 특기는 해독이다.

이번작은 군사의 유무가 행동력 회복 수치에 영향을 크게 미치며, 맹획군의 유일한 노병 적성 A 보유자이고, 특기는 초반 방어전에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므로 맹획군의 초반 난이도를 낮추는 데에 큰 구실을 했다. 여담으로 54에 불과한 정치력은 남만 무장 중 1위로, 옹개(56)를 포함해도 2위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독사를 몸에 걸친 채 독극물이 담긴 항아리를 바라보면서 음흉한 얼굴로 웃고 있으며 능력치는 전작에서 매력만 뺀 통솔력 62/무력 59/지력 70/정치력 54. 병종은 전상, 전법은 창병격봉인.

참고로 그나마 남만인 중에서 가장 지력이 높고(70) 창병들을 약화시킬수 있는 창병격봉인이라서 쓸 만해 보이지만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재야로 내려갔다.[1] 군사 특기는 없지만 아이템 청옥이 있어서 군사 특기를 가졌다. 비책은 독천지책. 참고로 애보다 지력이 높은 이회가 발견된다면 청옥을 재빠르게 몰수해서 이회에게 주자.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통솔력 62/무력 59/지력 70/정치력 54. 특기는 언변 2 단 하나뿐이며 전수특기도 당연히 언변이다. 적성은 창병 C/기병 C/궁병 A로 창병 특화인 맹획군에서 유일하게 궁병 A 적성자이며 전법은 진궁과 같은 전법인 위보교란. 음성은 관리.

궁병 A, 거기에 전법은 방어에 유용한 위보계통이니 방어전 특화 장수라 할 수 있다. 다만 지력이 저 모양이라 제갈량 같은 장수한테 전법을 걸면 거의 걸자마자 바로 풀려버리는 조루 포스를 보인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62, 무력 59, 지력 70, 정치력 54, 매력 50이다. 개성은 남만, 해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연노,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맹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해독 개성 보유자 중 유일하게 그나마 기동성이 빠른 장사 진형을 가지고 있어서 독늪 지역에 있는 마을을 쉽게 점령할 수 있다.

3. 탁응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4.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부터 삼국지 8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어깨에 화살통을 멘 채 활을 두 손으로 잡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62/38/45. 특기는 훈련 1, 공성 2. 전수특기는 공성으로 전법은 전장에서 쓸만한 공격지휘. 음성은 보통. 생몰년도가 186~26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4, 지력 38, 정치 40, 매력 4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3,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사망년도가 259년으로 변경되었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4. 태사자

태사자(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5. 태사향

파일:external/kongming.net/071-Taishi-H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4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단골로 나온다. 정사나 연의나나 기록은 한 줄이 전부인데다가 말이다.

능력치는 나쁜데, 기록이 남아있는 게 변변치 않으니 어쩔 수 없다. 아버지 버프도 있는데 무력이 70도 못 넘는다. 똑같이 기록은 없으나 유명인 아버지를 둔 덕분에 등장한 전만과 비슷한 케이스다. 유요군이 오래 살아남는다면 유요가 자연사한 뒤 아버지 태사자가 군주 자리를 차지해서 종종 군주 자리를 물려받는 일도 생긴다.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태사자와 원수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게다가 한글화 과정에서 번역 팀이 태사형(享→亨)으로 오기해 놓은 시리즈도 있다. PK에서 다시 향으로 수정됐기 때문에 제작진번역 실수가 맞았지만 태사형이 맞다. 소가 뒷걸음하다 쥐 잡은 격.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9/69/43/63. 병법으로는 기사, 제사, 몽충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7/66/50/61/58. 등장한 것 자체에 의의를 두자. 특기는 치안, 화시, 진정, 역공. 총 4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7/66/48/59/60.

특기는 없으며, 병과 적성도 극병/기병/수군은 B고, 나머지는 전부 C라 활용도가 크진 않다. 상성이 잘 맞는 손가나 여포 등의 세력이라면 충성도 하락의 염려가 적기 때문에, 능력 연구를 통해 '운반' 특기 등을 부여하여 애매한 능력치를 그럭저럭 살릴 수도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아버지와 비슷한 외모에, 아버지와 똑같이 활을 들고 있다.

병과도 궁병. 물론 실제로 활쏘기에 능했다는 기록은 전혀 없으며 무관인지 문관인지 애매한 능력치에 특기 상재와 경작을 둘 다 가지고 있다. 정치력 80대 이상인 문관도 두 특기를 동시에 가진 경우는 드물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7/66/48/59. 특기는 수영 2, 일기 1. 전수특기는 수영이며 전법은 속공지휘.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66, 지력 48, 정치 60, 매력 6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친월, 주의는 패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안행진도 있고 태사자와 혈연 보정으로 부대 스탯이 올라기 때문에 그럭저럭한 무장이다.

6. 토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94.jpg
삼국지 12, 13, 14 일러스트

삼국지 4 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는데 대세에 따라 토안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5에서는 올돌골과 동일하게 언월진과 봉시진을 갖고 있으며 등갑 특기가 있으나, 역시 올돌골과 마찬가지로 지력과 정치력이 0에 수렴하고(...) AI 플레이로는 용명을 쌓기 영 좋지 않다.

삼국지 12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는 도검을, 왼손으로는 방패를 들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3/82/30/16이며 특기는 순찰 1, 신속 3, 수영 1.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원래 전법은 화계였으나 PK에서 남만특공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는 남만(숲,밀림 전 능력상승), 등갑(불 이외의 피해 반감, 불 피해 3배)이라는 쓸만한 개성을 부여받았지만 대신 저돌, 경솔이라는 적색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능력치가 통솔 52 무력 63 지력 2 정치 2 매력 17로 나오는데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거의 2배인 19, 지력이 거의 3배인 28, 정치력이 14 하락했다.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전법은 철벽, 친애무장은 올돌골, 해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1] 대신 군사 노릇을 하는 사람은 대래동주 물론 적절하지만 대래동주는 타사대왕보다 당연히 지력이 낮고 군사 특기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
, 1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