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2:15:25

산스크리트어/문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산스크리트어
1. 개요2. 명사론
2.1. 주격(prathamā)2.2. 대격(dvitīyā)2.3. 구격(tr̥tīyā)2.4. 여격(caturthī)2.5. 탈격(pañcamī)2.6. 속격(ṣaṣthī)2.7. 처격(saptamī)2.8. 호격(saṁbodhana)
3. 명사의 곡용4. 연성법(sandhi)
4.1. 모음 연성법

[clearfix]

1. 개요

산스크리트어의 문법을 다루는 문서. 산스크리트어는 굴절어로, 명사가 - - 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풍부한 명사, 동사의 굴절 체계를 가지고 있다.

2. 명사론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유럽조어의 8개 격과 3개의 성, 단수-양수-복수 굴절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더붙여 산스크리트어의 명사곡용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한 명사 곡용 당 8개의 격과 3개의 수로 8x3=24 총24개라는 무서운 값이 나온다.
5개의 격과 2개의 수로 명사 당 10개의 곡용을 가진 라틴어와 비교해 봐도 14개나 많다. 라틴어는 남성, 여성의 형태가 같고 중성만 다르며 제1~5변화 총 5개의 굴절형식을 지니고 있지만 산스크리트어는 딱히 몇 변화 이런 식으로 정리 하는 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외울게 많다. 그래도 라틴어나 고전 그리스어 등을 배운 전적이 있다면 더 쉽게 다가올 것이다...

명사의 격(格)은 총 8개로, 각각 주격-대격-구격-여격-탈격-속격-처격-호격 순서로 나열한다.

2.1. 주격(prathamā)

주격은 "A가 간다"와 같은 문장에서 "A가"를, 그러니까 주어를 지시하는데에 사용된다.
또한 "그는 부처이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그는(주어), 그리고 그것과 동일시 되는 부처(술부주격;보어)로도 쓰인다.

ahaṁ brahmāsmi. (산디 비적용: aham brahma asmi.)
나는 브라흐만이다.
tat tvam asi.
너는 그것이다. (직역하면 '그것 너는 이다.')
nr̥po rāme snihyati. (산디 비적용:nr̥paḥ rāme snihyati.)
임금은 라마를 사랑한다. (snihyati:처격과 같이 쓰인다.)

2.2. 대격(dvitīyā)

대격, 흔히 목적격이라고도 부르는 이격은 직접 목적어로써 쓰인다.
또한 "그는 빵을 먹는다", "그 여자는 도시로 간다" 에서 도시처럼 행위의 목표를 나타낸다.

paśya me yogam aiśvaram.
보라 나의 전능한 요가를. (직역하면 '보라 나의 요가를 전능한.')
aśvaṁ dr̥ṣṭvā jalaṁ labdhvā rāmo pratigacchati. (산디 비적용:aśvam dr̥ṣṭvā jalam rāmaḥ pratigacchati.)
말을 보고 나서 물을 얻은 뒤 라마는 돌아간다.
tarati śokam ātmavit
아트만을 아는 자 슬픔을 건넌다. (지역하면 '건넌다 슬픔을 아트만을 아는자가')

2.3. 구격(tr̥tīyā)

구격은 동반을 나타내는데에 사용됩니다. "그는 그녀와 함께 간다" 에서 "그녀와 함께"라는 부분이 구격이 될 것이다.
또한 구격 뒤에 "saha"가 붙으면 ~함께라는 뜻으로 "nivā"가 붙으면 ~없이 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tayā sahāhaṁ gacchāmi. (산디 비적용:tayā saha aham gacchāmi.)
나는 그녀와 함께 간다. (직역하면 '그녀와 함께 나는 간다.)
tvayā nivā so ’gacchat. (산디 비적용:tvayā nivā saḥ agacchat.)
그는 너 없이 갔다. (직역하면, 너 없이 그는 갔다.')

구격은 또한 도구를 뜻하는데에도 사용된다. 동반에서 파생된 의미지만 실질적으로 더 자주 쓰인다.
"나는 연필로 글을 쓰고 있다" 에서 연필로가 구격이 될 것이다..

ahaṁ hastena karomi. (산디 비적용:aham hastena karomi.)
나는 손으로 만든다.

2.4. 여격(caturthī)

여격은 간접목적어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어 진다.
예를 들어 "그는 친구를 위해 글을 쓴다" 라는 문장에서 "친구를 위해"라는 부분이 여격이고
"그는 아들에게 선물을 준다"에서 "아들에게"라는 부분 또한 여격이다.

putrāya mālāṁ karoti. (산디 비적용:sā putrāya mālām karoti.)
그녀는 아들을 위해 화관을 만든다.

mātā putrikāyai pustakaṁ paṭhati. (산디 비적용:mātā putrikāyai pustakam paṭhati)
어머니는 딸에게 책을 읽어 준다.

pitā mātre gajaṁ hanti.(연성법 비적용:pitā mātre gajam hanti.)
아버지는 어머니를 위해 코끼리를 죽인다.

2.5. 탈격(pañcamī)

탈격은 기원, 근원, 원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거의 "~로 부터"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비교를 위해서도 쓰인다.
"그 물은 강으로 부터 온다" --> "강으로 부터"가 탈격이 될 것이고
"나는 너보다 키가 크다" --> "너보다" 또한 탈격이 되겠다.

jalaṁ samudrād āgacchati.(산디 비적용:jalam samudrāt āgacchati.)
물은 바다로 부터 온다.

karmāni mat santi.
행위들은 나로 부터 있다.

narā gr̥hād āgacchanti.(산디 비적용:narā gr̥hāt āgacchanti.)
사람들이 집으로 부터 온다.

2.6. 속격(ṣaṣthī)

속격은 간단히 소유를 나타낸다. "나의 물건"이라는 문장에서 "나의"가 속격이 될 것이다.
또한 속격은 언제나 항상 그 다음 명사를 수식한다.

sundarī tasya patnyāgacchati. (산디 비적용:sundarī tasya patnī āgacchati.)
아름다운 그의 아내가 온다.

2.7. 처격(saptamī)

처격은 장소를 나타낸다.
"나는 집에 산다"에서 "집에"가 처격이 될 것이다. "그는 말에 타고 있다"에서 "말(馬)에"가 처격이다.

2.8. 호격(saṁbodhana)

호격은 대상을 부르는데 사용된다. 한국어로 치면 "철수야", "신이시여"같은 역할이다.
호격은 주로 문장의 첫 단어로 온다. 또한 호격은 격(vibhakti)이라기 보다는 주격(prathamā)의 변형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거의 주격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3. 명사의 곡용

다음은 '-a'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곡용이다.
deva 뜻:신(神) 성:남성 phala 뜻:과일, 열매 성:중성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devaḥ devau devāḥ 주격 phalam phale phalāni
대격 devam devau devān 대격 phalam phale phalāni
구격 devena devābhyām devaiḥ 구격 phalena phalābhyām phalaiḥ
여격 devāya devābhyām devebhyaḥ 여격 phalāya phalābhyām phalebhyaḥ
탈격 devāt devābhyām devebhyaḥ 탈격 phalāt phalābhyām phalebhyaḥ
속격 devasya devayoḥ devānām 속격 phalasya phalayoḥ phalānām
처격 deve devayoḥ deveṣu 처격 phale phalayoḥ phaleṣu
호격 deva devau devāḥ 호격 phala phale phalāni
'-a' 로 끝나는 중성 명사는 주격, 대격, 호격을 제외한 나머지 격은 '-a'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동일하다.

다음은 '-i'로 끝나는 남성/여성/중성명사의 곡용이다.
agni 뜻:불(火) 성:남성 kīrti 뜻:명성, 명예, 영광 성:여성 vāri 뜻:물(水) 성:중성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agniḥ agnī agnayaḥ 주격 kīrtiḥ kīrtī kīrtayaḥ 주격 vāri vāriṇī vārīṇi
대격 agnim agnī agnīn 대격 kīrtim kīrtī kīrtīḥ 대격 vāri vāriṇī vārīṇi
구격 agninā agnibhyām agnibhiḥ 구격 kīrtyā kīrtibhyām kīrtibhiḥ 구격 vāriṇā vāribhyām vāribhiḥ
여격 agnaye agnibhyām agnibhyaḥ 여격 kīrtaye
kīrtyai
kīrtibhyām kīrtibhyaḥ 여격 vāriṇe vāribhyām vāribhyaḥ
탈격 agneḥ agnibhyām agnibhyaḥ 탈격 kīrteḥ
kīrtyāḥ
kīrtibhyām kīrtibhyaḥ 탈격 vāriṇaḥ vāribhyām vāribhyaḥ
속격 agneḥ agnyoḥ agnīnām 속격 kīrteḥ
kīrtyāḥ
kīrtyoḥ kīrtīnām 속격 vāriṇaḥ vāriṇoḥ vārīṇām
처격 agnau agnyoḥ agniṣu 처격 kīrtau
kīrtyām
kīrtyoḥ kīrtiṣu 처격 vāriṇi vāriṇoḥ vāriṣu
호격 agne agnī agnayaḥ 호격 kīrte kīrtī agnayaḥ 호격 vāre
vāri
vāriṇī vārīṇi
'i'로 끝나는 여성명사는 선택적 여성형을 갖는다. 위, 아래 것들 중 아무거나 하나 쓰면 된다.

다음 장모음 'ā,ī,ū'로 끝나는 여성명사의 곡용이다.
senā 뜻:군대 성:여성 nadī 뜻 강(江), 가람 성:여성 vadhū 뜻:신부, 아내, 젊은 여자, 연하 아내 성:여성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senā sene senāḥ 주격 nadī nadyau nadyaḥ 주격 vadhūḥ vadhvau vadhvaḥ
대격 senām sene senāḥ 대격 nadīm nadyau nadīḥ 대격 vadhūm vadhvau vadhūḥ
구격 senayā senābhyām senābhiḥ 구격 nadyā nadībhyām nadībhiḥ 구격 vadhvā vadhūbhyām vadhūbhiḥ
여격 senāyai senābhyām senābhyaḥ 여격 nadyai nadībhyām nadībhyaḥ 여격 vadhvai vadhūbhyām vadhūbhyaḥ
탈격 senāyāḥ senābhyām senābhyaḥ 탈격 nadyāḥ nadībhyām nadībhyaḥ 탈격 vadhvāḥ vadhūbhyām vadhūbhyaḥ
속격 senāyāḥ senayoḥ senānām 속격 nadyāḥ nadyoḥ nadīnām 속격 vadhvāḥ vadhvoḥ vadhūnām
처격 senāyām senayoḥ senāsu 처격 nadyām nadyoḥ nadīṣu 처격 vadhvām vadhvoḥ vadhūṣu
호격 sene sene senāḥ 호격 nadi nadyau nadyaḥ 호격 vadhu vadhvau vadhvaḥ

다음 '-ṛ'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의 곡용이다.
dātṛ 뜻: 주는 자, 주는 사람 성:남성 pitṛ 뜻:아버지 성:남성
남성 단수 양수 복수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dātā dātārau dātāraḥ 주격 pitā pitarau pitaraḥ
대격 dātāram dātārau dātṝn 대격 pitaram pitarau pitṝn
구격 dātrā nadībhyām dātṛbhiḥ 목격 pitrā pitṛbhyām pitṛbhiḥ
여격 dātre nadībhyām dātṛbhyaḥ 여격 pitre pitṛbhyām pitṛbhyaḥ
탈격 dātuḥ nadībhyām dātṛbhyaḥ 탈격 pituḥ pitṛbhyām pitṛbhyaḥ
속격 dātuḥ nadyoḥ dātṝṇām 속격 pituḥ pitroḥ pitṝṇām
처격 dātari nadyoḥ dātṛṣu 처격 pitari pitroḥ pitṛṣu
호격 dātaḥ dātārau dātāraḥ 호격 pitaḥ pitarau pitaraḥ
가족명사인 'pitṛ(아버지)'는 일반적인 '-ṛ'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주격, 대격, 호격의 형태가 약간 다르다. 나머지는 동일.
형을 뜻하는 'bhrātṛ' 또한 'pitṛ'와 같은 방법으로 곡용한다.

svasṛ 뜻:자매, 누나, 여동생, 누이 성:여성 mātṛ 뜻:어머니 성:여성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svasā svasārau svasāraḥ 주격 mātā mātarau mātaraḥ
대격 svasāram svasārau svasṝḥ 대격 mātaram mātarau mātṝḥ
구격 svasrā svasṛbhyām svasṛbhiḥ 구격 mātrā mātṛbhyām mātṛbhiḥ
여격 svasre svasṛbhyām svasṛbhyaḥ 여격 mātre mātṛbhyām mātṛbhyaḥ
탈격 svasuḥ svasṛbhyām svasṛbhyaḥ 탈격 mātuḥ mātṛbhyām mātṛbhyaḥ
속격 svasuḥ svasroḥ svasṝṇām 속격 mātuḥ mātṛbhyām mātṝṇām
처격 svasari svasroḥ svasṛṣu 처격 mātari mātṛbhyām mātṛṣu
호격 svasaḥ svasārau svasāraḥ 호격 mātaḥ mātarau mātaraḥ
실직적으로 대격-복수를 제외하면 '-ṛ'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곡용과 같다. ātṛ(어머니) 또한 일반적인 'ṛ'로 끝나는 여성명사의 곡용과 다르다.

다음은 '-u'로 끝나는 남성/여성/중성명사의 곡용이다.
hetu 뜻:원인 성:남성 dhenu 뜻:소, 젖소, 암소 성:여성 madhu 뜻:꿀(蜜) 성:중성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hetuḥ hetū hetavaḥ 주격 dhenuḥ dhenū dhenavaḥ 주격 madhu madhunī madhūni
대격 hetum hetū hetūn 대격 dhenum dhenū dhenūḥ 대격 madhu madhunī madhūni
구격 hetunā hetubhyām hetubhiḥ 구격 dhenvā dhenubhyām dhenubhiḥ 구격 madhunā madhubhyām madhubhiḥ
여격 hetave hetubhyām hetubhyaḥ 여격 dhenave
dhenvai
dhenubhyām dhenubhyaḥ 여격 madhune madhubhyām dhenubhyaḥ
탈격 hetoḥ hetubhyām hetubhyaḥ 탈격 dhenoḥ
dhenvāḥ
dhenubhyām dhenubhyaḥ 탈격 madhunaḥ madhubhyām madhubhyaḥ
속격 hetoḥ hetvoḥ hetūnām 속격 dhenoḥ
dhenvāḥ
dhenvoḥ dhenūnām 속격 madhunaḥ madhunoḥ madhūnām
처격 hetau hetvoḥ hetuṣu 처격 dhenau
dhenvām
dhenvoḥ dhenuṣu 처격 dhenau madhunoḥ madhuṣu
호격 heto hetū hetavaḥ 호격 dheno dhenū dhenavaḥ 호격 madho
madhu
madhunī madhūni
이 쯤 되면 알겠지만 '-i'로 끝나는 명사와 형태가 같다. 'u'로 끝나는 여성명사 또한 'i'로 끝나는 여성명사처럼 선택적 여성형을 갖는다.

다음은 대명사들의 곡용이다.
tvad(단수) 뜻:너 yuṣmad(복수) 뜻:너희 성:없음 mad(단수) 뜻:나 asmad(복수) 뜻:우리 성:없음
tvad
yuṣmad
단수 양수 복수 mad
asmad
단수 양수 복수
주격 tvam yuvām yūyam 주격 aham āvām vayam
대격 tvām
(tvā)
yuvām
(vām)
yuṣmān
(vaḥ)
대격 mām
(mā)
āvām
(nau)
asmān
(naḥ)
구격 tvayā yuvābhyām yuṣmābhiḥ 구격 mayā āvābhyām asmābhiḥ
여격 tubhyam
(te)
yuvābhyām
(vām)
yuṣmabhyam
(vaḥ)
여격 mahyam
(me)
āvābhyām
(nau)
asmabhyam
(naḥ)
탈격 tvat yuvābhyām yuṣmat 탈격 mat āvābhyām asmat
속격 tava
(te)
yuvayoḥ
(vām)
yuṣmākam
(vaḥ)
속격 mama
(me)
āvayoḥ
(nau)
asmākam
(naḥ)
처격 tvayi yuvayoḥ yuṣmāsu 처격 mayi āvayoḥ asmāsu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가로 안에 있는 것들도 때때로 사용된다.(문장의 시작에서는 쓸 수 없다.)

tad(남성,여성,중성) 뜻:그, 그녀, 그것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saḥ tau te 주격 te tāḥ 주격 tat te tāni
대격 tam tau tān 대격 tām te tāḥ 대격 tat te tāni
구격 tena tābhyām taiḥ 구격 tayā tābhyām tābhiḥ 구격 tena tābhyām taiḥ
여격 tasmai tābhyām tebhyaḥ 여격 tasyai tābhyām tābhyaḥ 여격 tasmai tābhyām tebhyaḥ
탈격 tasmāt tābhyām tebhyaḥ 탈격 tasyāḥ tābhyām tābhyaḥ 탈격 tasmāt tābhyām tebhyaḥ
속격 tasya tayoḥ teṣām 속격 tasyāḥ tayoḥ tāsām 속격 tasya tayoḥ teṣām
처격 tasmin tayoḥ teṣu 처격 tasyām tayoḥ tāsu 처격 tasmin tayoḥ teṣu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tad(중성)는 주격, 대격을 제외하면 tad(남성)형과 형태가 동일하다.

etad(남성, 여성, 중성) 뜻:이것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eṣaḥ etau ete 주격 eṣā ete etāḥ 주격 etat ete etāni
대격 etam etau etān 대격 etām ete etāḥ 대격 etat ete etāni
구격 etena etābhyām etaiḥ 구격 etayā etābhyām etābhiḥ 구격 etena etābhyām etaiḥ
여격 etasmai etābhyām etebhyaḥ 여격 etasyai etābhyām etābhyaḥ 여격 etasmai etābhyām etebhyaḥ
탈격 etasmāt etābhyām etebhyaḥ 탈격 etasyāḥ etābhyām etābhyaḥ 탈격 etasmāt etābhyām etebhyaḥ
속격 etasya etayoḥ eteṣām 속격 etasyāḥ etayoḥ etāsām 속격 etasya etayoḥ eteṣām
처격 etasmin etayoḥ eteṣu 처격 etasyām etayoḥ etāsu 처격 etasmin etayoḥ eteṣu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남성, 여성, 중성 모두 tad와 같은 곡용 방식을 가진다.

'이것'을 의미하는 지시대명사가 좀 더 있는데 아래와 같다.
ayam(남성) 뜻:이것, iyam(여성) 뜻:이것, idam(중성) 뜻:이것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ayam imau ime 주격 iyam ime imāḥ 주격 idam ime imāni
대격 imam imau imān 대격 imām ime imāḥ 대격 idam ime imāni
구격 anena ābhyām ebhiḥ 구격 anayā ābhyām ābhiḥ 구격 anena ābhyām ebhiḥ
여격 asmai ābhyām ebhyaḥ 여격 asyai ābhyām ābhyaḥ 여격 asmai ābhyām ebhyaḥ
탈격 asmāt ābhyām ebhyaḥ 탈격 asyāḥ ābhyām ābhyaḥ 탈격 asmāt ābhyām ebhyaḥ
속격 asya anayoḥ eṣām 속격 asyāḥ anayoḥ āsām 속격 asya anayoḥ eṣām
처격 asmin anayoḥ eṣu 처격 asyām anayoḥ āsu 처격 asmin anayoḥ eṣu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호격 없음 없음 없음

ena(남성, 여성, 중성) 뜻:이것 *ena는 지시형용사로 쓸 수 없고 한 번 언급된 것만 나타낸다. 문장 처음에 못 오며 일부 격만 곡용한다.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대격 enam enau enān 대격 enām ene enāḥ 대격 enat ene enāni
구격 enena 없음 없음 구격 enayā 없음 없음 구격 enena 없음 없음
속격 없음 enayoḥ 없음 속격 없음 enayoḥ 없음 속격 없음 enayoḥ 없음
처격 없음 enayoḥ 없음 처격 없음 enayoḥ 없음 처격 없음 enayoḥ 없음

ka(남성) 뜻:누구 kā(여성) 뜻:누구 kim(중성) 뜻:무엇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kaḥ kau ke 주격 ke kāḥ 주격 kim ke kāni
대격 kam kau kān 대격 kām ke kāḥ 대격 kim ke kāni
구격 kena kābhyām kaiḥ 구격 kayā kābhyām kābhiḥ 구격 kena kābhyām kaiḥ
ka는 tad(남성)와 kā는 tad(여성)와 kim은 tad(중성)와 나머지 여격-탈격-속격-처격의 곡용이 같다.

다음은 an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곡용이다.
rājan 뜻:임금 성:남성 ātman 뜻:자아 성:남성 nāman 뜻:이름 성:중성
남성 단수 양수 복수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rājā rājānau rājānaḥ 주격 ātmā ātmānau ātmānaḥ 주격 nāma nāmnī
nāmanī
nāmāni
대격 rājānam rājānau rājñaḥ 대격 ātmānam ātmānau ātmanaḥ 대격 nāma nāmnī
nāmanī
nāmāni
구격 rājñā rājabhyām rājabhiḥ 구격 ātmanā ātmabhyām ātmabhiḥ 구격 nāmnā nāmabhyām nāmabhiḥ
여격 rājñe rājabhyām rājabhyaḥ 여격 ātmane ātmabhyām ātmabhyaḥ 여격 nāmne nāmabhyām nāmabhyaḥ
탈격 rājñaḥ rājabhyām rājabhyaḥ 탈격 ātmanaḥ ātmabhyām ātmabhyaḥ 탈격 nāmnaḥ nāmabhyām nāmabhyaḥ
속격 rājñaḥ rājñoḥ rājñām 속격 ātmanaḥ ātmanoḥ ātmanām 속격 nāmnaḥ nāmnoḥ nāmnām
처격 rājñi
rājani
rājñoḥ rājasu 처격 ātmani ātmanoḥ ātmasu 처격 nāmni
nāmani
nāmnoḥ nāmasu
호격 rājan rājānau devāḥ 호격 ātman ātmānau ātmānaḥ 호격 nāma
nāman
nāmnī
nāmanī
nāmāni
rājan과 ātman은 같은 남명사지만 ātman은 모음 a가 첨가 되어 있다. 왜냐하면 산스크리트어에서 tmn이라는 복합자음은 존재 할 수 없다.

as로 끝나는 중성명사와 남성/여성명사의 곡용
nabhas 뜻:대기, 구름 성:중성 aṅgiras 뜻:앙기라스(현자의 이름) 성:남성, 여성
중성 단수 양수 복수 남성
여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nabhaḥ nabhasī nabhāṁsi 주격 aṅgirāḥ aṅgirasau aṅgirasaḥ
대격 nabhaḥ nabhasī nabhāṁsi 대격 aṅgirasam aṅgirasau aṅgirasaḥ
구격 nabhasā nabhobhyām nabhobhiḥ 구격 aṅgirasā aṅgirobhyām aṅgirobhiḥ
여격 nabhase nabhobhyām nabhobhyaḥ 여격 aṅgirase aṅgirobhyām aṅgirobhyaḥ
탈격 nabhasaḥ nabhobhyām nabhobhyaḥ 탈격 aṅgirasaḥ aṅgirobhyām aṅgirobhyaḥ
속격 nabhasaḥ nabhasoḥ nabhasām 속격 aṅgirasaḥ aṅgirasoḥ aṅgirasām
처격 nabhasi nabhasoḥ nabhaḥsu 처격 aṅgirasi aṅgirasoḥ aṅgiraḥsu
호격 nabhaḥ nabhasī nabhāṁsi 호격 aṅgiraḥ aṅgirasau aṅgirasaḥ

in으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곡용
hastin 뜻:코끼리 성:남성 daṇḍin 뜻:막대기를 가진 성:중성
남성 단수 양수 복수 중성 단수 양수 복수
주격 hastī hastinau hastinaḥ 주격 daṇḍi daṇḍinī daṇḍīni
대격 hastinam hastinau hastinaḥ 대격 daṇḍi daṇḍinī daṇḍīni
구격 hastinā hastibhyām hastibhiḥ 구격 daṇḍinā daṇḍibhyām daṇḍibhiḥ
여격 hastine hastibhyām hastibhyaḥ 여격 daṇḍine daṇḍibhyām aṅgirobhyaḥ
탈격 hastinaḥ hastibhyām hastibhyaḥ 탈격 daṇḍinaḥ daṇḍibhyām daṇḍibhyaḥ
속격 hastinaḥ hastinoḥ hastinām 속격 daṇḍinaḥ daṇḍinoḥ daṇḍinām
처격 hastini hastinoḥ hastiṣu 처격 daṇḍini daṇḍinoḥ daṇḍiṣu
호격 hastin hastinau hastinaḥ 호격 daṇḍi
daṇḍin
daṇḍinī daṇḍīni
남성과 중성은 주격-대격-호격 제외 다 동일하다.

vat, mat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곡용

4. 연성법(sandhi)

연성법 흔히 말하는 산디는 산스크리트어에서 형태소 사이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연성법을 뜻하는 산디(sandhi)라는 단어는 언어학 용어가 되었을 정도로 복잡하다.

4.1. 모음 연성법

다음은 모음 연성법들이다.

같은 종류의 모음 일 올 때.
a/ā + a/ā = ā / 예:nara + aśvaḥ = narāśvaḥ

i/ī + i/ī = ī / 예:khādati + it = khādatīti

u/ū + u/ū = ū / 예:kuru + upa = kurūpa

r̥/r̥̄ + r̥/r̥̄ = r̥̄ / 예:bhrātr̥ + r̥ṣi = bhrātr̥̄ṣi

다른 종류의 모음.
i/ī + 모음 = y 모음 / 예:nayati + aśvam = nayaty aśvam

u/ū + 모음 = v 모음 / 예:kuru + akarma = kurv akarma

r̥ + 모음 = r 모음 /mātrr̥ + atra = mātr atra

e + a = e’ / 예:gr̥he + atra = gr̥he ’tra (’는 a가 탈락 했음을 의미한다.)

e + 모음 = a 모음 / 예:grāme + iva = grāma iva

ai + 모음 = ā 모음 / 예:nadyai + atra = nadyā atra

au + 모음 = āv 모음 / 예:pitarau + atra = pitarāv atra

어말 a다음 다른 모음이 올 때 변화.
a/ā + i/ī = e / 예:gaja + iti = gajeti

a/ā + u/ū = o / 예:kaṭha + upaniṣad = kaṭhopaniṣad

a/ā + r̥ = ar / 예:satya + r̥ṣi = satyarṣi

a/ā + e + ai / 예:nr̥pa + eva = nr̥paiva

a/ā + o = au / tatra + okaḥ = tatrauka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