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21:19:00

빅토르 치한코우

빅토르 치한코프에서 넘어옴
1 후안 카를로스 · 3 미겔 · 4 마르티네스 · 5 로페스 · 7 스투아니 (C) · 8 치한코우 · 9 도우비크 · 10 보르하 가르시아
11 발레리 페르난데스 · 12 비야 · 13 가사니가 · 15 후안페 (VC) · 16 사비우 · 17 블린트 · 18 파블로 토레
20 쿠토 · 21 에레라 · 22 솔리스 · 23 마르틴 · 24 포르투 · 25 에릭 · 26 푸이디아스 · # 크레이치 · # 루이스
파일:UEFA EURO ESP.png 미첼 산체스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지로나 FC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파일:Viktor Tsyhankov 23-24.png
<colbgcolor=#cd2534> 지로나 FC No. 8
빅토르 치한코우
Віктор Циганков | Viktor Tsyhankov
[1]
본명 빅토르 비탈리요비치 치한코우
Віктор Віталійович Циганков
Viktor Vitaliyovych Tsyhankov
출생 1997년 11월 15일 ([age(1997-11-15)]세)
이스라엘 나하리야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78cm / 체중 73kg
포지션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
주발 왼발(양발)
소속 <colbgcolor=#cd2534> 유스 FC 나바 빈나차 (2009~2010)
FC 디나모 키예프 (2011~2016)
프로 FC 디나모 키이우 (2016~2023)
지로나 FC (2023~ )
국가대표 55경기 13골[2] ( 우크라이나 / 2016~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 국적의 지로나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2.1. FC 디나모 키이우

파일:839e1-Viktor-Cygankov.jpg

축구선수인 아버지 비탈리 치한코우가 이스라엘 리그에서 뛸 당시 이스라엘의 나하리아에서 태어나 우크라이나에서 자랐다.[3] 디나모 키이우 유스 출신으로, 2016년 1군에 콜업되었다.

2016년 8월 14일,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스탈 카미안스케와의 경기에서 1군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에는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 중이다. 2018-19 시즌에는 리그에서만 무려 18골을 기록했는데, 이 달의 선수상을 2번이나 수상했다.[4]

그러다 2020-21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차전에서 FC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만회골을 넣었다!! 그러나 팀은 2:1로 졌다.

현재까지 자국 리그에서 정상급 미드필더로 군림하고 있으며 차후 빅리그의 진출이 유력한 선수이다.

2022년 9월에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2.2. 지로나 FC

2023년 1월 17일, 지로나 FC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7년 6월까지이며, 이적료는 €5M. #

22R UD 알메리아전에서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맹활약했고, 팀은 6-2로 승리를 거뒀다.

2023-24 시즌, 사비우- 도우비크- 치한코우의 삼각편대를 구성하며 리그 3위 및 구단 역사상 최초의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6년 11월, 2018 FIFA 월드컵 지역예선 핀란드전에서 후반 38분 교체출전으로 국가대표 첫 경기를 치렀다.

그리고 UEFA 네이션스 리그 스페인전에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선취골을 넣었다!! 이 이전 골은 무려 17년 전 안드리 셰우첸코가 마지막으로 골을 넣었었다.

UEFA 유로 2020 최종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자국 역사상 유로 대회 최고 성적(8강)을 거두는데 일조했다.

2023년 6월 13일, 독일과의 친선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윙어로, 2선 전 포지션을 소화한다. 멀티성을 바탕으로 어느 자리에 구애받지 않고 경기장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면서 자신이 갖추고 있는 많은 툴을 바탕으로 공격을 풀어내는 상당히 다재다능한 공격 자원이다.

치한코우에게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바로 박투박 미드필더에 필적하는 엄청난 활동량과 이를 바탕으로 시도하는 적극적인 압박을 꼽을 수 있다. 단순히 전방 압박만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측면이나 중앙 수비에 가담하거나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 중원으로 내려와 공을 받은 후 공격을 풀어주는 움직임을 가져가는 등 감독들이 좋아할 플레이를 펼친다.

측면 자원답게 기본적으로 준수한 발재간과 볼 컨트롤을 갖추고 있다. 90분 내내 눈이 화려한 개인기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간결한 기본기와 볼터치를 이용한 돌파와 탈압박을 보여준다. 화려한 개인 기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무게 중심이 잘 잡혀있어 공을 잘 지켜내면서 소유한다. 공격형 미드필더 자리에서도 활약할 만큼 중원으로 내려와 동료 미드필더나 공격수들과의 연계 플레이에도 능통하다.

이러한 모습에서는 오사수나의 안테 부디미르가 연상되기도 하며, 1~2선 전 포지션에서 뛸 수 있고 상당히 저돌적인 공격수라는 점에서 후안미 히메네스가 연상되기도 한다. 더불어 지로나 이적 후에는 지상 및 공중 경합을 이용한 포스트플레이에 눈을 떴는지 이쪽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경기력에 기복이 있다는 것이 단점. 특히 득점력의 기복이 심한 편이다. 폼이 안 좋을 때에는 슈팅을 난사하는 모습을 보인다. 앞서 언급한 슈팅 부분에서도 아쉬운 점이 있는데, 슈팅 파워가 약한 건 아니지만 슛을 할때 자주 넘어지는 편이다.[5] 아마도 신체 밸런스가 제대로 잡히지 않은 듯 하다. 또한 과한 승부욕 때문에 카드를 수집하는 경우도 타 공격수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

5. 여담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지로나 FC 2024-25 시즌 스쿼드
<rowcolor=#fff>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후안 카를로스 Juan Carlos 1988.01.20 187cm, 82k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미겔 구티에레스 Miguel Gutierrez 2001.07.27 180cm, 70.2kg
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아르나우 마르티네스 Arnau Martínez 2003.04.25 181cm, 75k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다비드 로페스 David López 1989.10.09 183cm, 81kg
7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FW 크리스티안 스투아니 Cristhian Stuani 1986.10.12 186cm, 76kg 주장
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W 빅토르 치한코우 Viktor Tsyhankov 1997.11.15 178cm, 72kg
9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W 아르템 도우비크 Artem Dovbyk 1997.06.21 184cm, 76kg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보르하 가르시아 Borja García 1990.11.02 175cm, 72kg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발레리 페르난데스 Valery Fernández 1999.11.23 179cm, 75kg
1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GK 파울로 가사니가 Paulo Gazzaniga 1992. 01.01 196cm, 91kg
15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후안페 Juanpe 1991.04.30 190cm, 80kg 부주장
16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사비우 Sávio 2004.04.10 176cm, 71kg [2]
1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DF 데일리 블린트 Daley Blind 1990.03.09 180cm, 72kg
18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파블로 토레 Pablo Torre 2004.04.03 173cm, 63kg [3]
19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토니 비야 Toni Villa 1995.01.07 172cm, 63kg
20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얀 코투 Yan Couto 2002.06.03 168cm, 60kg [4]
2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MF 양헬 에레라 Yangel Herrera 1998.01.07 184cm, 68kg
2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MF 존 솔리스 Jhon Solís 2004.10.03 188cm, 80kg
23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이반 마르틴 Ivan Martin 1999.02.14 178cm, 70kg
24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포르투 Portu 1992.05.21 167cm, 66kg
26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토니 푸이디아스 Toni Fuidias 2001.04.15 195cm, 87kg
# 파일:체코 국기.svg DF 라디슬라프 크레이치 Ladislav Krejci 1999.04.20 187cm, 79kg
#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아벨 루이스 Abel Ruiz 2000.01.28 180cm, 75kg
구단 정보
<rowcolor=#fff> 구단주 감독 홈 구장
델피 겔리 미첼 에스타디오 데 몬틸리비
출처: 지로나 FC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6월 29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 트루아 AC에서 임대 [3] FC 바르셀로나에서 임대 [4]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4d62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113355>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헤오르히 부슈찬
Heorhiy Bushchan
1994년 5월 31일 ([age(1994-05-31)]세) 17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12 아나톨리 트루빈
Anatoliy Trubin
2001년 8월 1일 ([age(2001-08-01)]세) 1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23 드미트로 리즈니크
Dmytro Riznyk
1999년 1월 30일 ([age(1999-01-30)]세) 2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안드리 루닌
Andriy Lunin
1999년 2월 1일 ([age(1999-02-01)]세) 9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DF 2 유힘 코노플랴
Yukhym Konoplya
1999년 8월 26일 ([age(1999-08-26)]세) 10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3 발레리 본다르
Valeriy Bondar
1999년 2월 27일 ([age(1999-02-27)]세) 3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4 올렉산드르 스바토크
Oleksandr Svatok
1994년 9월 27일 ([age(1994-09-27)]세) 5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C 드니프로-1
13 일리야 자바르니
Illya Zabarnyi
2002년 9월 1일 ([age(2002-09-01)]세) 32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16 비탈리 미콜렌코
Vitaliy Mykolenko
1999년 5월 29일 ([age(1999-05-29)]세) 37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버튼 FC
19 올렉산드르 팀치크
Oleksandr Tymchyk
1997년 1월 20일 ([age(1997-01-20)]세) 15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21 블라디슬라프 두빈차크
Vladyslav Dubinchak
1998년 7월 1일 ([age(1998-07-01)]세) 0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22 미콜라 마트비옌코
Mykola Matviyenko
1996년 5월 2일 ([age(1996-05-02)]세) 61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올렉산드르 카라바예우
Oleksandr Karavayev
1992년 6월 2일 ([age(1992-06-02)]세) 49 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 세르히 크립초우
Serhiy Kryvtsov
1991년 3월 15일 ([age(1991-03-15)]세) 34 0 파일:미국 국기.svg 인터 마이애미 CF
- 에두아르드 소볼
Eduard Sobol
1995년 4월 20일 ([age(1995-04-20)]세) 29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 보흐단 미하일리첸코
Bohdan Mykhaylichenko
1997년 3월 21일 ([age(1997-03-21)]세) 7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폴리샤 지토미르
- 데니스 포포우
Denys Popov
1999년 2월 17일 ([age(1995-04-20)]세) 3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MF 5 세르히 시도르추크
Serhiy Sydorchuk
1991년 5월 2일 ([age(1991-03-15)]세) 60 3 파일:벨기에 국기.svg KVC 베스테를로
6 타라스 스테파넨코 파일:주장 아이콘.svg
Taras Stepanenko
1989년 8월 8일 ([age(1989-08-08)]세) 81 4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7 헤오르히 수다코우
Georgiy Sudakov
2002년 9월 1일 ([age(2002-09-01)]세) 12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8 루슬란 말리노우스키
Ruslan Malinovskyi
1993년 5월 4일 ([age(1993-05-04)]세) 57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10 미하일로 무드리크
Mykhaylo Mudryk
2001년 1월 5일 ([age(2001-01-05)]세) 1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15 빅토르 치한코우
Viktor Tsyhankov
1997년 11월 15일 ([age(1999-02-01)]세) 50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7 올렉산드르 진첸코
Oleksandr Zinchenko
1996년 12월 15일 ([age(1996-12-15)]세) 58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8 올렉산드르 피할료노크
Oleksandr Pikhalyonok
1997년 5월 7일 ([age(1997-05-07)]세) 8 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SC 드니프로-1
20 올렉산드르 주브코우
Oleksandr Zubkov
1996년 8월 3일 ([age(1996-08-03)]세) 29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미콜라 샤파렌코
Mykola Shaparenko
1998년 10월 4일 ([age(1998-10-04)]세) 28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 빅토르 코발렌코
Viktor Kovalenko
1996년 2월 14일 ([age(1996-02-14)]세) 3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 다닐로 이나텐코
Danylo Ihnatenko
1997년 3월 13일 ([age(1997-03-13)]세) 6 1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지롱댕 드 보르도
FW 9 로만 야렘추크
(Roman Yaremchuk)
1995년 11월 27일 ([age(1995-11-27)]세) 46 13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렌시아 CF
11 아르템 도우비크
Artem Dovbyk
1997년 6월 21일 ([age(1997-06-21)]세) 23 7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4 다닐로 시칸
(Danylo Sikan)
2001년 4월 16일 ([age(2001-04-16)]세) 7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안드리 야르몰렌코
(Andriy Yarmolenko)
1989년 10월 23일 ([age(1989-10-23)]세) 116 46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FC 디나모 키이우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2월 17일
}}}}}}}}} ||


1 부슈찬 · 2 코노플랴 · 3 스바토크 · 4 탈로베로우 · 5 시도르추크 · 6 스테파넨코 · 7 야르몰렌코 · 8 말리노우스키 · 9 야렘추크
10 무드리크 · 11 도우비크 · 12 트루빈 · 13 자바르니 · 14 수다코우 · 15 치한코우 · 16 미콜렌코 · 17 진첸코 ·18 브라즈코
19 샤파렌코 · 20 주브코우 · 21 본다르 · 22 마트비옌코 · 23 루닌 · 24 팀치크 · 25 바나트 · 26 미하일리첸코
파일:UEFA EURO UKR.png 세르히 레브로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74ab2;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고메스 · 파일:UEFA EURO ESP.png 알베르토 보쉬 · 파일:UEFA EURO UKR.png 흘립 플라토프


[1] Viktor Tsygankov라고도 표기된다. [2] 2024년 6월 21일 기준 [3] 우크라이나계 유대인이 제법 있어서 과거에 유대인으로 오해받기도 하였다. [4] 2018년 12월, 2019년 4월. [5] 이 때문에 치한코우는 보통 강력한 슈팅보다는 칩슛이나 깔아차는 슈팅 같은 정교한 슈팅을 선호한다. [6] 풋볼매니저 시리즈에서도 치간코프라고 적혀 있다. 이는 아버지인 비탈리 치한코우도 마찬가지이다. [7] 다만 이때 추천 검색어는 "빅토르 찌간코프"가 나오고 "빅토르 찌간코프"의 검색 건 수는 약 12500 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