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만 |
몽골 |
만주 |
싱가포르 |
베트남 |
||
오키나와현 |
캄보디아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타지키스탄 |
||
인도 |
파키스탄 |
나이지리아 |
앙골라 |
적도 기니 |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이스라엘 |
리비아 |
||
이집트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네덜란드 |
||
스페인 |
바티칸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
스웨덴 |
폴란드 |
|||||
아메리카 | ||||||
쿠바 |
베네수엘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기타 | ||||||
아프리카 |
||||||
다자관계 | ||||||
남북러 |
북중러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국 |
인도 |
||||
유럽 · 아메리카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
프랑스 |
이탈리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미국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이라크 |
시리아 |
레바논 |
||||
요르단 |
쿠웨이트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모로코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다자관계 | ||||||||
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
이집트·리비아·수단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 |
북한 | 이집트 |
[clearfix]
1. 개요
북한과 이집트의 외교 관계 관련 문서이다. 양국 관계에서는 제4차 중동전쟁 당시 북한 공군이 이집트군을 지원했던 사례가 유명하다. #2. 역사적 관계
1956년 수에즈 위기로 인하여 제2차 중동전쟁이 발발하자 북한은 이집트를 지지한다는 뜻에서 소액의 원조 물자를 제공했던 바 있다.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집트가 패배하자 북한은 이집트 측에 식량 원조를 제공하면서 우호 관계를 맺었으며. 이후 1973년 이집트가 제4차 중동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은 전투기 조종사들을 포함한 군사고문단을 파견했던 바 있다.
이집트는 미국 및 이스라엘과의 관계 개선 이후에도 북한과의 교류를 위해 노력하던 편이었는데 호스니 무바라크는 1983년부터 1990년 사이 북한을 4차례나 방문했던 바 있었다. 제4차 중동전쟁 이후에도 이집트 정부는 북한의 지원을 받았으며, 북한은 이집트가 군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했다. 특히 핵을 가진 이스라엘에 맞서 이집트 측 탄도 미사일의 성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했다. 1980년대 이집트에는 친미 성향이 있는 호스니 무바라크가 집권했는데, 무바라크는 수차에 걸친 평양 방문을 통해 양국 사이에 미사일 개발에 관한 협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