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0:29:22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베이블레이드X/해외 발매/대한민국
,
,
,
,
,


공개 정보 · 베이블레이드 ( 파츠) · · 경기 진행 방식 ·
발매 제품 ( 2023년 · 24년 · 25년) · 해외 발매 ( 대한민국)
코믹스 · 발매 현황 · 등장인물 · 설정 · 평가 · 게임

애니메이션 ( TVA 1장 · 2장 · 주제가 · 평가 · 해외 공개)

1. 개요2. 공개 정보
2.1. 방영 전2.2. 선행 방영2.3. 정식 방영
3. 비판
3.1. 번역
3.1.1. 구이수 가면 X의 미흡한 경계
3.2. 중복 캐스팅3.3. 믹싱3.4. 크레딧 표기
4. 호불호
4.1. 자체 번안곡 나뿐이야4.2. 캐릭터 연기4.3. 부제의 느낌표
5. 논란 및 사건사고
5.1. 차징 탑스피너 홈페이지 소스 참고 논란5.2. 본방송 편성 시간 변경 미공지 논란5.3. 엔딩 크레딧 성우진 간소화 및 누락 논란
6.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 신작 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5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07​:30
08​:00
09​:30
17​:00 {{{#!wiki style="margin: -6px -10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text-align: left; color: transparent"
18​:30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order: 2px Solid #a2ff1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black; color: white"
19​:00
20​:00
21​:30
22​:00
23​:00
24​:00 샹그릴라 프론티어
~망겜 헌터
갓겜에 도전하다~ 2기
꽝 스킬 나무 열매
마스터
-스킬의 열매
(먹으면 죽는다)를
무한히 먹을 수
있게 된 건에
대하여-
불우직
【감정사】는
사실은 최강이었다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FROM
THE SHADOW-
(파일:태극기 태극.svg )

ANIPLUS
25​:00 쿠로이와 메다카에게
내 귀여움이
통하지 않아
이 회사에
좋아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악역영애
전생 아저씨
트릴리온 게임 UniteUp!
-UniBirth-
26​:00 몰락 예정인
귀족이지만,
한가하니까
마법에
열중해봤다
왕비
교육에서
도망치고
싶은 나
하늘색
유틸리티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FROM THE SHADOW-|{{{#!wiki style="" 오키나와에서
좋아하게 된 아이가
사투리가 심해서
너무 괴로워
27​:00
{{{#!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 -15.5px -10px" 파일:Checklist.png 채널 번호표 파일:TVING 로고.svg
무료 스트리밍
파일:wavve 로고.svg
유료 스트리밍
}}}
}}}}}}}}} ||


[include(틀:애니맥스 국내방영작 시청 정보
,편성표=편성표, 작품명=베이블레이드X
,방영=더빙<! 애니맥스 채널 본방송 시간표 >
,스케줄1=월요일 오후 6시 30분
<! 틀 색상 상세 설정 >
,제목글자색=#fff, 제목배경색=#000
;border:Medium Solid #a2ff1f
;border-bottom:None
,스케줄글자색=#000, 스케줄배경색=#fff
;padding-top: 3px
;border-left:Medium Solid #a2ff1f
;border-right:Medium Solid #a2ff1f
/* 상세 설정 끝 */)]
<colbgcolor=#000><colcolor=#fff>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총괄 <colbgcolor=#fff,#2d2f34>김세중[1]
프로듀서 한다희
녹음 송원영
믹싱
번역 윤강비 → 윤도경
편집 제이필름
연출 (주)대교 미디어콘텐츠사업본부
이정교
최병택
애니메이션 베이블레이드X의 대한민국 방영 정보를 다루는 문서.

2. 공개 정보

2.1. 방영 전

2023년 7월 13일, 캐릭터·라이선싱 페어 2023에서 2024년 봄 방영 예정임을 밝혔다.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와 동일하게 영실업이 수입하는 작품이므로 3세대 마지막 작품인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에 이어 본작도 대교어린이TV가 그대로 더빙을 제작할지, 아니면 투니버스 등 타사에서 제작할지는 불명.[2] 참고로 당시 PV에서는 카자미 버드, 나나이로 마루치의 이름이 무려 한국어로 로컬라이징되지 않았다.[3]

2023년 10월 17일, 영실업 공식몰이 10월 19일 진행될 완구의 사전예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크로스 엑스, 카자미 버드, 나나이로 마루치의 이름이 한국어로 로컬라이징된 것이 확인되었다. 각각 구이수, 강바람, 나다운으로 로컬라이징되었다. 이전 2세대와 3세대에서는 주요 캐릭터들의 이름을 로컬라이징할시 한국 이름과 영어 이름을 적절히 분배해 사용한 반면, 이번 주역 셋은 전부 순수 한국 이름으로 번역되어 호불호가 갈리는 모습을 보이며, 특히 구이수와 나다운에 있어 제일 말이 많다.

2023년 10월 31일, 공식 홈페이지의 오픈과 동시에 시놉시스가 공개되었으며 예고편을 11월에 공개하겠다 발표했다.

2.2. 선행 방영

2023년 11월 1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애니맥스에서의 선행 방영이 발표되었다. 2023년 12월 12일과 19일로 총 2주간 방영되며 두 시간 모두 오후 6시에 방영된다. 12일에는 1화와 2화가, 19일에는 2화와 3화가 방영된다. 애니맥스에서 먼저 방영함에 따라 Laftel에서의 동시 스트리밍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4] 또한 이전 버스트 시리즈가 스트리밍될 때에는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1기부터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까지는 자막판으로도 서비스가 되었는데, 본 X 시리즈 또한 자막판을 제작할지는 불명이다.

2023년 11월 22일, 공식 홈페이지에 구이수, 강바람, 나다운의 캐릭터 정보가 추가되었다. 캐릭터 소개를 통해 각 인물의 나이와 나다운의 혈육으로 언니가 있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이는 현지에서도 나오지 않은 정보인지라 24일에 캐릭터 소개에서 나이 정보가 삭제됐으며, 28일에는 아예 캐릭터 소개문이 다른 내용으로 교체되었다.

2023년 11월 23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PV가 공개되었다. 기존 캐릭터·라이선싱 페어 2023에서 상영됐던 PV와 동일하되 애니맥스의 방영 정보가 갱신되었으며, 어째서인지 로컬라이징이 이루어진 캐릭터 이름을 일본어 번역명 그대로 존치했다.

2023년 12월 12일, 오후 6시의 선행 방영을 앞두고 9시경에 한국어로 더빙된 PV가 공개되었다. 해당 PV의 원본에서는 크레딧으로 팀 페르소나의 성우진 정보도 적혀 있었지만 한국판에서는 이것이 삭제되어 성우를 알 수 없었다.

2023년 12월 12일, 애니맥스를 통해 1화와 2화가 선행으로 방영되었다. 더빙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에 이어서 그대로 대교어린이TV가 제작한다. 성우는 대교방송 성우극회 민승우, 박민기, 황해준, 이이로, 외부 성우로는 전숙경, 박시윤, 황창영, 서반석, 이호산 등이 캐스팅되었다.[5] 번역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부터 쭉 맡아온 윤강비가 그대로 담당했다. 오프닝과 엔딩곡은 원판 그대로 송출되었으며, 2절에 일본어 가사를 1절에 영어 가사로 바꿔 사용했다.

2023년 12월 13일, 공식 유튜브에서 1화를 두 파트로 나눠서 업로드했다. 1-1화, 1-2화

2023년 12월 16일, 공식 유튜브에서 2화를 두 파트로 나눠서 업로드했다. 실제 애니맥스의 방영분과 다르게 일부 믹싱 편집이 수정되었다. 2-1화, 2-2화

2023년 12월 19일, 애니맥스에서 1~3화의 선행 방영을 마쳤다.

2023년 12월 20일, 공식 유튜브에서 3화를 두 파트로 나눠서 업로드했다. 3-1화, 3-2화

2023년 12월 31일, 애니맥스에서 2차로 선행 방영이 개시되었다. 1~3화를 연속으로 방영했으며, 2화는 유튜브에 이미 공개된 믹싱 수정본으로 송출되었다.

2.3. 정식 방영

2024년 1월 3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월 5일 오후 6시부터 정식 방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선행 방영과 마찬가지로 애니맥스에서 방영한다.

2024년 2월 5일, 정식 방영을 시작했다. 오프닝은 나뿐이야로 변경되었다.

3. 비판

한국어로 더빙된 역대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중 최악의 더빙이라는 평가를 갱신 중이다. 본작 방영 기준 20여년 전인 2000년대에 더빙된 탑블레이드에게도 비교당하는 수준으로, 중복 캐스팅, 오역, 연출로 인한 발연기 등 더빙에서 욕먹을 짓은 웬만해서 다 하고 있다.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부터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더빙을 맡은 대교어린이TV의 문제점이 전보다 더욱 드러난 퀄리티다. 차라리 방송사인 애니맥스 코리아나 이를 보유한 애니플러스에서 더빙을 해줬으면 좋았을 것이다.[6]

한국판과 달리 미국판은 ADK의 주도 아래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트부터 더빙을 제작해온 Bang Zoom! 스튜디오의 검증된 캐스팅과 적절한 로컬라이징으로 더욱이 비교돼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3.1. 번역

일부 대사의 번역을 너무 길게 번역한 탓에 해당 대사가 나오는 장면에서 너무 빠르게 말하거나 그 장면을 빗나가면서까지 말할만큼 길게 번역된 점이 지적되었다.[7] 또한 성우의 문제도 있겠지만은 베이블레이드X의 아이덴티티인 익스트림 대'시'를 대개 익스트림 대'쉬'로 발음하는 것도 번역 측에서의 문제인지 의심된다.

원작에서는 팀명에서 '팀'을 앞으로 해서 이름을 지었고 애니메이션 일본판도 이를 따랐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한국판에서는 ○○○○과 팀의 순서를 뒤바꿔 '○○○○ 팀'으로 번역했다. 그런데 애니메이션 3화와 7화의 부제에서는 원작을 따른 팀 페르소나(3화), 팀 쥬가닉(7화)로 번역해놨다.

3.1.1. 구이수 가면 X의 미흡한 경계

원문 대사: そうだ、やってやる。エクスみたいにはいかなくても…。エクスみたいに?
번역 대사: 그래, 해보는 거야. X처럼은 못하더라도... X처럼?

원문 대사: エクス…。
번역 대사: X...

원문 대사: エクスならきっと勝つ。相手は確かに強いけど、圧倒的なエクスの強さには…
번역 대사: X라면 이길 수 있을 거야. 상대도 강하긴 하지만, 압도적인 X의 실력에는...
애니메이션 2화 中
원문 대사: エクスのときと同じディフェンスタイプのナイトシールド。エクスのあの戦法に、少しでも近づくことができれば…。
번역 대사: X 때하고 똑같이 디펜스형인 나이트 실드야. X의 그 전법을 조금이라도 따라할 수만 있다면...

원문 대사: なんだ?エクスのときと違う!
번역 대사: 뭐야, X 때하고 다르잖아?

원문 대사: 見よう見まねだけじゃプロでは通用しない。エクスならまだしも、まねしただけの君に、勝ち目はないよ。
번역 대사: 옆에서 곁눈질로 배운 기술은 프로의 세계에선 안 통해. X라면 또 모를까, 겨우 흉내만 내는 너한텐 승산이 없다고.

원문 대사: プロの試合は3人1組で戦うのが基本。君が負けたとしても、僕とエクスが勝てばチームは勝ち上がれる。
번역 대사: 프로 경기는 3인 1조로 싸우는 싸우는 게 기본이야. 네가 진다고 해도, 나하고 X가 이기면 팀은 이길 수 있겠지.
애니메이션 3화 中
원판에서 黒須エクス로 불렀는데
더빙판에서 구이수으로 불린 횟수와 X(엑스)로 불린 횟수
(1화 ~ 12화)
<rowcolor=#fff> 구이수 X(엑스)
9회 69회
작중 대사에서 일본어 원판과 다르게 구이수 가면 X의 경계를 신경쓰지 않고 전부 가면 X로 번역한 점이 지적되었다. 일본판 대사 원문에서는 명백히 크로스 엑스(エクス)와 가면 X(エックス)로 경계를 나뉘어 표시했으니, 원문에서 黒須エクス나 エクス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당연히 구이수나 이수로 번역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이를 신경쓰지 않고 전부 가면 X로 번역했기에 사실상 오역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더빙판 방영이 10화를 넘어가는 현재까지도 대본과 공식 줄거리 등에서 구이수를 모두 X로 표기하면서 구이수라는 번역을 왜 했나 싶어질 수준이었다.

물론 원판에서 エクス와 エックス는 단순히 촉음 한 글자 차이이고, 한국어로 발음해도 둘 다 엑스이기 때문에 작중 등장인물들이 거리낌 없이[8] エクス를 말해도 주변에게 위화감이 없을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한국판은 로컬라이징 과정에서 エクス와 エックス를 구이수와 X로 바꿨기에 거리낌 없이 부르다가는 특정 장면이 위험해질 요소는 다수 있다. 그렇기에 그런 부분에서는 자연스러움을 위해 X라고 부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도 과도하게 X라고 부르는 점이 제일 지적받았다.

특히 이러한 번역 표기 방식 때문에 14화의 회상 장면에서 구이수가 펜드래곤 팀에서 탈퇴하지도 않았고, 따라서 가면 X로 데뷔조차 하지 않았음에도 류크롬이 구이수를 X라고 부르는 기이한 장면이 등장했다. 34화에서도 나시우는 가면 X가 된 이수와 활동한 적이 없었으니 평소 X라고 부를 일이 없을 텐데도 이수를 해당 회차에서 X라고만 불렀으며, 해당 회차에서는 나시우를 포함해 그 누구도 구이수라는 이름을 일체 부르지 않았다. 굳이 위와 같은 이유가 있었다 한들 사실상 번역가의 날먹에 가까운 셈이다.

결국 42화가 되서야 구이수라는 이름이 다시 제대로 불리기 시작했다. 다만 류크롬 나시우와의 관계에서만 한정되었으며 페르소나 팀 일행에게는 여전히 X라고 불리고 있다.

이외에도 김만호 김만순도 이름보다는 일본판 이름 그대로 각각 킹과 퀸으로 불리는데, 이에 대해 호칭에 대한 별명 내지는 이명이라는 한국판의 자체적인 설정이 부여됐다. 이에 대해 호칭만큼은 번역 방식이 묘하다는 평이다.

또한 14화 마지막에서 임메이 카이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임메이가 카이의 본명을 말하려다 마는 대사가 있다. 이때 말한 카이의 본명 일부분은 인데, 정작 본명이 공개되는 33화에서는 반이라는 글자는 하나도 보이지 않은 카일로 밝혀진다. 반은 일본판 이름인 반타로와도 동일하기에 14화 번역에서 일본판 이름을 그대로 둔 실수인가 싶어지나, 더빙 제작사인 대교어린이TV는 계속해 답변을 회피하며 14화에 나온 반이라는 이름과 33화에 나온 카일이라는 이름간 관계성에 대해 부인하고 있어 사실상 번역 실수인 걸로 보인다.

3.2. 중복 캐스팅

<rowcolor=#fff> 등장인물 성우
태 사장 이호산
이석산
인트로 내레이션
임메이 김하루
남유니
류크롬 황창영
조나모
카를로
나시우 김유림
조나리
2호
신하늘 박민기
카이
심판
유원리
김만호 홍범기
마운틴 라면 사장
오사현 황해준
주렉스
수철
홍불새 서반석
0호
진승진
타로 이이로
해나
니키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한국 더빙판은 같은 작품에서 중복 캐스팅이 많지 않았다. 중복 캐스팅이 있다 해도 같은 작품이 아닌 다른 시즌이나 다른 세대여서 크게 신경이 쓰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본작은 첫 시즌부터 주연과 조연의 중복 캐스팅이 심해서 1인이 3역 꼴로 맡는 수준이다.

더빙을 맡은 대교어린이TV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5기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부터 베이블레이드 애니메이션의 더빙을 맡았는데, 이때는 5기 이전까지 캐스팅된 버스트 시절 캐스팅을 유지하기 위해 호화로운 성우 캐스팅을 보였지만[9], 모든 것을 처음부터 시작하는 베이블레이드X부터는 본색을 드러내기라도 하듯 바로 캐스팅의 질이 심각하게 하락했다.

주역 배역과 단역 배역을 맡은 경우라면 굳이 지적되지 않지만, 위 표에서 성우들이 맡은 배역은 전부 작품에서 강한 인상을 주는 주역급 배역밖에 없다. 32화까지 방영된 시점까지도 5화에서 처음 출연한 홍범기, 김유림, 오로아 이후로는 신규 캐스팅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후부터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전부 그 이전에 캐스팅된 성우들이 맡고 있었다. 그리고 33화와 35화에서야 남도형 이미나가 새로 캐스팅됐다.

3.3. 믹싱

원판에 비해 믹싱이 잘 안 되어 있어 어떨 때는 배경음악이 크고, 어떨 때는 목소리가 크게 들리는 등, 대사와 배경음악이 따로 노는 기분이 든다. 특히 원판에서는 관중들이 환호하는 목소리가 배경에 적당히 깔린 반면, 한국판에서는 이러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특정 장면에서는 아예 원판과 다른 음향 효과를 보이며 목소리에 오토튠이 깔리는 등 이상한 믹싱을 하였다.

목소리 녹음 자체도 배경음악이 없을시 주변 잡음과 마이크가 멀리 있는 게 심하게 느껴지며 퀄리티의 형편없음을 느끼게 한다.

3.4. 크레딧 표기

대교어린이TV가 더빙한 작품의 크레딧은 본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를 따르기에 か행과 た행의 일본어가 ㄱ,ㄲ,ㄷ,ㄸ,ㅉ로 쓰인다. 하지만 어느 곳에서는 이를 따르지 않은 모습을 보인 탓에 대충 번역한 것 같은 모습을 보인다. 대충했다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점이, 엔딩 크레딧의 배경 부분을 '구사나기'라고 번역한 것인데, 여기서 구사나기는 인물이 아닌 주식회사 쿠사나기(株式会社草薙)라는 회사의 이름으로, 엄연히 한국에 따로 구사나기가 아닌 쿠사나기로 상표까지 등록해놓은 회사다. 이를 확인하지도 않고 표기하는 성의없음을 통해 대충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호불호

4.1. 자체 번안곡 나뿐이야

일본 원판에서는 타이업된 오프닝 Prove의 일본어판을 사용했고 한국에서도 선행 방영 당시 Prove를 원곡으로 사용했다. 그런데 정식 방영으로는 한국 자체 번안곡인 나뿐이야를 사용하며 노래가 공개되기 전부터 호불호가 갈렸다. 여태 대한민국으로 수입되는 애니메이션이 자체 번안곡을 만드는 이유는 주로 음원의 판권 계약을 못하거나 혹은 실패해서, 그리고 판권사가 번안을 허용하지 못해서인데, Prove의 원곡은 가사에 일본어가 없어 번안도 필요하지 않으며 선행 방영을 통해 송출된 원곡으로 이미 판권을 구한 것이 증명된 상태다. 즉 굳이 만들 필요가 있었냐는 것이 주 의견이다. 한편으론 노래에 참여한 인물들이 거물이라 제법 기대된다는 의견도 모여졌다.

영실업이 밝히기를 팬들에게 더욱 풍성하고 친근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함을 이유로 댔는데, 이는 Prove의 원곡 가사가 전부 영어인 것이 저연령층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쉽지 않을 것임을 예상했기에 내린 결정으로 추정된다. 아니면 Prove의 판권 비용이 부담되기에 그런 것일 가능성도 있다.[10]

이후 실제로 공개된 나뿐이야는 대체적으로 나쁘지 않다는 좋은 평가를 들으며 긍정적인 반응을 모으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Prove를 이기지는 못한다는 평이 주를 이룬다. 이 외에 오프닝 영상을 Prove의 영상을 그대로 사용한 탓에 노래가 영상과 안 맞아서 불편하다는 소리도 존재한다.[11]

4.2. 캐릭터 연기

주연 캐릭터인 구이수, 강바람, 나다운의 캐릭터 연기가 일본판을 못 뛰어넘을지언정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구이수를 연기할시에 일본 원판 성우인 사이토 소마는 평소에 아주 텐션이 높은 캐릭터를 보여준다. 하지만 한국판 성우인 민승우는 텐션은 높지만 여유로운 연기를 더한 것 때문인지 힘 빠진 기분이 든다.

나다운을 맡은 일본 원판 성우인 노구치 루리코는 캐릭터가 의상으로 인격을 바꿀 때마다 전혀 다른 연기톤을 보여주며 진짜로 다른 인격으로 보이도록 했지만, 한국판 성우인 박시윤은 거의 차이가 없게끔 연기를 했으며, 노구치가 살린 기존 캐릭터의 개성을 제대로 살려내지 못했다.

사실 담당 성우들도 실력파인 네임드 성우라는 걸 생각하면 이는 단순히 성우의 역량이 아니라 연출의 문제로 추측된다.[12]

이외 호불호가 강한 캐릭터는 하위 문단에서 서술한다.

4.2.1. 전숙경 강바람

강바람의 일본 원판 성우는 남성 성우인 우메다 슈이치로가 맡았다. 그리고 한국판은 여성 성우인 전숙경이 맡았다.

일본 원판에서 우메다는 캐릭터의 진지한 연기와 특정 장면에서 삑사리를 의도적으로 내는 등으로 강바람이 초보자라는 것을 제대로 소화해냈다. 하지만 그런 우메다보다 경력도 긴 전숙경은 이러한 디테일을 다르게 소화하기로 한 건지, 사실상 국어책 읽기나 다름 없어 감정 표현이 거의 없는 연기를 보이며 우메다가 연기하는 캐릭터와는 전혀 다른 캐릭터를 보이며 호불호가 갈렸다. 또한 일본 원판에서 원작 단행본 2권 분량까지 등장한 레귤러 남성 캐릭터는 전부 남성 성우가 맡고 있다. 그런데 로컬라이징 과정에서 꼭 여성 성우로 굳이 캐스팅해야 했냐는 것이다. 물론 나라별로 성우의 성별도 달라질 수 있다.[13] 하지만 그렇단들, 캐릭터를 뜯어 고쳐서 연기하면 어쩔 수 없이 괴리감은 생겨버리는 것이다.

여담으로 20화에서 강바람이 초밥을 진지하게 만드는 장면에서 바람이의 진중한 남성 목소리를 황창영이 연기했다. 일본판은 우메다가 그대로 맡았다.

4.2.2. 홍범기 김만호

일본판에서 김만호를 맡은 스즈키 료타 성우는 왕이라는 캐릭터에 맞게 깊은 톤으로 진중한 목소리를 연기했다. 하지만 한국판에서 홍범기 성우는 캐릭터의 작은 키를 보고 해석한 탓인지 진중하되 톤이 다소 높아서 어색하다. 이전 홍범기가 메탈 베이블레이드에서 연기한 데스카프리보다도 목소리 톤이 높은 편인데, 김만호의 목소리와 비슷한 홍범기가 연기한 캐릭터는 아따맘마 오동동 요괴워치 위스퍼 등이 있다. 홍범기가 아예 낮은 톤을 못하지도 않는데, 굳이 연기 톤을 이러한 식으로 잡은 데에 있어서는 크게 호불호가 갈린다. 다만 회차가 거듭되며 점점 톤을 낮춰가면서 캐릭터의 진중함와 맞춰가고 있다.

4.3. 부제의 느낌표

원판의 부제는 이전 세대들과 다르게 전부 느낌표를 붙이지 않고 지어져 심플함을 강조했다. 하지만 한국판은 이를 크게 의식하지 못한 듯 일부 부제 끝에 느낌표를 붙이면서 괜히 심플한 기분이 유치해지는 기분으로 변하게끔 한다.

5. 논란 및 사건사고

5.1. 차징 탑스피너 홈페이지 소스 참고 논란

2023년 11월 22일 베이블레이드X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 추가된 애니메이션 에피소드 페이지 내부 소스에서 초이락컨텐츠컴퍼니[14]가 만든 차징 탑스피너의 공식 홈페이지의 에피소드 페이지를 태그하며 웹디자인을 참고했단 사실이 밝혀졌다. #

본래 베이블레이드 시리즈의 수입을 맡은 손오공이었지만, 후에 손오공은 타카라토미와 아무런 협의 없이 메탈 베이블레이드의 전반적인 디자인과 설계, 그리고 탑블레이드의 플레임 페가수스가 지닌 자이로 엔진기어 기믹[15]을 모방한 최강! 탑플레이트를 발매한 것으로 인하여 타카라토미와 관계가 끊어진 것이 유력하다.[16]이로 인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부터는 영실업이 수입을 맡게 된 건데, 영실업 측에서 두 회사의 그러한 관계를 아예 모를 리도 없으면서 벌인 이런 행위가 내부에서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모르는 상황이다.[17]

이후 베이블레이드X의 에피소드 페이지는 다음날인 23일에 해당 자료를 삭제했다.

5.2. 본방송 편성 시간 변경 미공지 논란

국내 정식 방송은 애니맥스에서 매주 월요일 오후 6시에 본방송이 방송되도록 고지되었다. 이후 1화는 고지된 시간대로 오후 6시에 방송되었다. 하지만 바로 다음주인 2화부터는 오후 6시에 이전 회차를 재방송한 뒤에 본방송을 6시 20분경에 방송하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이러한 변경을 외부 미디어에는 공지하지 않은 점이 문제가 되었다. 앞서 방송한 프로그램이나 광고 등의 분량으로 인해 늦춰진 거면 어쩔 수 없지 않냐고 하기엔 6시 정각에는 이전 회차가 재방송되므로 더욱 고지가 안 되고 있다는 것은 이해가 힘들다. 굳이 고지하지 않고 있는 것은 채널에 30분은 더 붙잡아놓는 꼼수에 가깝기 때문에 문제를 샀다.

2024년 4월 1일 방영하는 9화부터는 앞에 재방송을 없애고 다시 본래 고지대로 6시 방영으로 복귀한다.

2024년 7월 8일 방영하는 23화는 6시 30분으로 편성되면서 다시 한 번 본방송 시간이 변경됐는데 당시 이런 갑작스런 변경에 관련한 공지는 하나도 없었다.

5.3. 엔딩 크레딧 성우진 간소화 및 누락 논란

더빙을 제작하는 대교어린이TV 측은 정식 방영 이전의 선행 방영 때부터 엔딩 크레딧 내 성우진 목록을 꼼꼼히 기재했었다. 매화 애니맥스 본방송마다 변경 혹은 추가 사항을 갱신했으며 중복 캐스팅임에도 배역 여부를 확실하게 기재해 정보를 파악함에 있어 접근성이 좋았다. 하지만 43화를 기점으로 크레딧 성우진이 매화 갱신은 하되 목록이 간소화되며 일부 캐스팅 및 배역이 누락됐다.

때문에 마침 43화에서 처음 등장한 동전산업의 사장과 전무를 어느 성우가 맡았는지를 알 수 없었으며, 이후에도 명확히 출연했는데 정작 성우 이름이 크레딧에 기재되지 않고 있다. 크레딧에 성우 기재가 누락된 회차는 아래와 같다.
<rowcolor=#fff> 회차 본방송 크레딧 기준 성우진 실제로 출연이 확인된 전체 성우진
(본방송 크레딧에 누락된 성우는 볼드체 표시)
44화 민승우
전숙경
박시윤
이호산
김하루
김유림
박민기
민승우
전숙경
박시윤
이호산
김하루
김유림
박민기
오로아
46화 민승우
전숙경
박시윤
이호산
김하루
민승우
전숙경
박시윤
이호산
김하루
황해준
이이로
대교어린이TV로의 문의도 대교 측이 아예 작품 관련 내용 문의를 영실업에 얘기하라며 떠넘기고 회피하면서 문제를 사실상 방관 중이다.

아예 2024년 12월 30일 방송된 48화 본방송분에서는 엔딩 영상이 누락되는 방송사고를 냈다.

6. 기타



[1] 영실업 상무. 대원방송의 PD 김세중과는 동명이인이다. [2] 투니버스가 더빙을 담당한 버스트 1~4기가 끝나고 2020년 이후 영실업이 수입한 버스트 5, 6기와 매지컬 파티는 전부 투니버스가 아닌 대교에서 더빙을 맡았다. 투니버스와 영실업의 관계가 나빠진 건가 싶어질 수도 있지만, 대교가 더빙한 버스트 5, 6기와 매지컬 파티의 최속 방송국이 투니버스였고, 당장 2023년에 방영하는 영실업의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또한 투니버스가 최속 방송국이다. [3] 한국 공식 미디어로 일본어 이름이 비춰지는 것은 이번이 한국 베이블레이드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참고로 가면 X의 이름도 있었지만 이쪽은 논외에 가깝다. [4] 참고로 2023년 10월 31일부터 넷플릭스에서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다이너마이트 배틀의 서비스가 시작되었는데,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진검의 판권은 재능방송의 것이고,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갓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슈퍼킹의 판권은 투니버스인 반면, DB의 판권에서 처음으로 애니맥스가 등장했다. 이대로 애니맥스가 더빙을 제작하고 방영할 경우 넷플릭스에서 서비스될 가능성도 있다. [5] 그동안 신 캐릭터의 경우 투니버스 대교방송 모두 자사 성우에게 맡겼다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이례적이다. 또한 메탈 파이트 시리즈 이후로 오랜만에 KBS 출신 성우가 캐스팅되었다. [6] 단, 애니맥스 코리아는 어디까지 최속 방송국이며, 애니플러스는 더빙 작업을 외주로 맡기고 있다. [7] 반대로 임메이는 대사가 짧아 길게 늘어지도록 연기하며 어색함을 주었다. [8] 그렇다고 완전히 막 부르지는 않고 6화에서 강바람이 エクス라고 부르려다 말고 エックス로 부르는 묘사가 존재했다. [9] 이와중 5기부터 첫 등장한 캐릭터들의 캐스팅은 거의 다 대교방송 성우극회 성우들이 주를 이뤘다. [10] 참고로 Prove라는 곡은 사용 가능 범위도 일부 제한적이고, 저작권 대행사만 총 10곳이 붙어 있다. 타카라토미의 도움이 있었겠지만서도 선행 방영에서나마 들여온 것만으로 굉장한 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11] 이러한 문제는 동일하게 자체 번안곡을 사용한 탑블레이드에서도 존재했다. [12] 김하루 남유니를 연기하면서 유니콘 스팅을 일부 유니온 스팅으로 잘못 발음하는데, 눈치를 채지 않는 건지 그냥 넘어가는 걸 보면 거의 원테이크로 녹음하는 모양이다. [13] 예시로 미국 더빙판에서는 키노미야 타카오(강민), 하가네 긴가, 프리 데라호야, 한국판의 카이등이 원판과 다르게 남성 성우가 캐스팅되었고 연기력도 남자 성우에 맞게 달라졌다. [14] 손오공에서 완구 제작 및 기획 부문에서 분사된 기업. [15] 나아가서는 베이블레이드의 선조인 배틀 탑(バトルトップ)의 기본 설계 기믹이기도 하다. 당시에는 런처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팽이에 와인더를 넣는 설계였다. [16] 타카라토미나 손오공이나 둘 다 이에 관한 얘기를 꺼내진 않았으나 최강! 탑플레이트 이후 관계가 끊어졌기 때문에 팬들은 이를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17]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당시 1세대와 2세대의 리메이크에 있어 손오공이 저작권을 이유로 영실업에 문제를 제기해 랜덤 부스터와 같은 제품의 발매를 보류하거나 전용 생산 라인을 마련하여 발매해야만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8 ( 이전 역사)
문서의 r133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