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12:18:45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베르나르트 하이팅크의 주요 수상 및 경력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6px"
1대
(1888–1895)
2대
(1895–1945)
3대
(1945–1959)
4대
(1961–1963)
빌럼 케스 빌렘 멩겔베르크 에두아르드 판 베이눔 오이겐 요훔
4대
(1961-1988)
5대
(1988–2004)
6대
(2004–2015)
7대
(2015-2018)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리카르도 샤이 마리스 얀손스 다니엘레 가티
}}}}}}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6px"
명예 지휘자
(2019)
명예 단원
(1992)
명예 단원
(2004)
명예 단원
(2014)
다니엘 바렌보임 다니엘 바렌보임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명예 단원
(2016)
명예 단원
(2018)
명예 단원
(2019)
오자와 세이지 마리스 얀손스 주빈 메타
}}}}}} ||
Bernard Johan Herman Haitink
CH, KBE[1]
파일:bernard-haitink-todd-rosenberg_2.jpg
본명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Bernard Haitink)
출생 1929년  3월 4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사망 2021년  10월 21일 (향년 92세)
직업 지휘자

1. 개요2. 생애3. 녹음

1. 개요

네덜란드 지휘자.

로열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 영국 로열 코벤트 가든 오페라 음악감독,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수석지휘자,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지휘자[2] 등 유수의 유명 악단을 이끌어왔다.

2. 생애

20대 시절 이미 네덜란드에서는 차세대 지휘자로 각광 받았으며, 1960년 31세의 젊은 나이에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인 암스테르담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가 되었다.

이후 1988년까지 근 30년간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를 이끌었다. 아울러 네덜란드의 음반사 필립스의 전속 지휘자가 되었는데, 신생 음반사인 필립스의 간판 지휘자로 방대한 양의 음반을 남기게 되었다.

1967년부터 1979년까지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를 겸임했다.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에서 퇴임을 앞둔 1987년에는 코벤트가든 오페라의 음악감독에 취임하여 2002년까지 역임했다.

1988년 콘서트헤보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에서 물러난 후에는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을 포함하여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객원지휘자로 활발히 활동했다.

1995년에는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수석객원지휘자를 맡아 9년간 재임했다.

2002년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의 상임지휘자에 취임했다. 하지만 경영진과의 갈등으로 2년만에 사임했다.

2006년에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에 취임하여 2010년까지 재임했다.

2019년 만 90세 및 지휘 데뷔 65주년을 맞이하며 여러 악단과 지휘 은퇴 무대를 가졌고, 2019년 9월 6일 스위스 루체른 KKL에서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브루크너의 교향곡 7번을 연주한 것이 그의 마지막 무대이다.

2021년 10월 21일, 92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3. 녹음

하이팅크는 폭 넓은 레퍼토리로 유명하다. 특히 전속 음반사였던 필립스의 버프로 어지간한 레퍼토리를 전집 단위로 녹음하며 대량으로 녹음하는 혜택을 누렸고 심지어 베토벤, 브람스 교향곡 전곡 등 주요 레퍼토리는 스튜디오 버전, 라이브 버전 등을 섞어가며 여러번 재녹음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또한 60 ~ 70년대 당시 어지간히 유명한 지휘자들도 쉽게 녹음할 기회를 얻기 힘들었던 브루크너, 말러 교향곡들도 전곡 단위 녹음을 남겼다. 말러 교향곡 전집은 번스타인, 쿠벨릭, 아브라넬과 동시에 진행된 최초의 전곡 녹음 중 하나였다. 브루크너 교향곡 역시 요훔의 전집을 이은 두번째 브루크너 교향곡 전집 녹음이었다.[3]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전집 역시 최초의 것 중 하나이며, 명지휘자로서 남긴 유일한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전집이다.[4] EMI에서 녹음이 많지 않은 런던 필과 본 윌리엄스 교향곡 사이클을 녹음하기도 하였다.[5]

그의 해석은 특유의 무미건조함으로 강렬한 것을 원하는 애호가들에게는 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


[1] 1977년 대영제국 명예 훈장 2등급(Honorary KBE)을 받았다. [2] 시카고 교향악단으로부터 음악감독직을 제의 받았으나, 제의를 받을 당시 이미 77세로 고령이었던 하이팅크 스스로 행정적인 부담을 줄이고자 수석지휘자로서 악단을 이끌겠다고 역으로 제안하여 그것이 받아들여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3] 당시 카라얀조차도 전속 음반사인 DG에 브루크너 교향곡 녹음을 여러 차례 요구했지만 들어주지 않아서 심지어 EMI와 별도의 계약을 맺고 브루크너를 녹음하기까지 했으며 1981년에야 브루크너 교향곡 전곡 녹음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4] 따라서 쇼스타코비치 매니아들이 필수적으로 들어야 할 연주목록이다. [5] 다소 영국적인 느낌은 떨어지지만 애호가들 사이에서 에이드리언 볼트, 버논 핸들리의 것과 함께 많이 추천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