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1:16:59

백러쉬


배틀제왕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1~10대
1대 2대 3대 4대 5대
파일:스폰지밥(배틀로봇).jpg 스폰지밥

파일:트라이던트1.jpg 트라이던트

파일:타니토스(배틀로봇).jpg 타나토스
★★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
파일:흑룡(배틀로봇).jpg 흑룡
★★
6대 7대 8대 9대 10대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
파일:샤크1.jpg 샤크

파일:타니토스(배틀로봇).jpg 타나토스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11~20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파일:스피드1.jpg 스피드

파일:네오메카.jpg 네오메카
★★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파일:로보스칸2.jpg 로보스칸2
★★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파일:스피드1.jpg 스피드

파일:스텔스(배틀로봇).jpg 스텔스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파일:돌격(배틀로봇).jpg 돌격

파일:트라이던트2.jpg 트라이던트2
★★★★★
21~30대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파일:스텔스(배틀로봇).jpg 스텔스
★★★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파일:Raptor.jpg Raptor
★★
파일:후다닥.jpg 후다닥
★★★★★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파일:런지블레이드.jpg 런지 블레이드

파일:대박이1.jpg 대박이
★★★★★
파일:후다닥2.jpg 후다닥2

파일:하푼2.jpg 하푼2
★★★★★
파일:짱가1.jpg 짱가
★★★
31~40대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파일:런지블레이드.jpg 런지 블레이드
★★★
파일:짱가1.jpg 짱가
★★★★★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파일:괴물(배틀로봇).jpg 괴물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
36대 37대 38대 39대 40대
파일:붕붕이.jpg 붕붕이

파일:번개(배틀로봇).jpg 번개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파일:REX.jpg REX
★★★★
41~50대
41대 42대 43대 44대 45대
파일:베놈(배틀로봇).jpg 베놈

파일:꺽지(배틀로봇).jpg 꺽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
파일:REX.jpg REX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46대 47대 48대 49대 50대
파일:캡틴(배틀로봇).jpg 캡틴
★★
파일:블랙홀(배틀로봇).jpg 블랙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파일:빛돌이2.jpg 빛돌이2
★★
파일:캡틴(배틀로봇).jpg 캡틴
★★
51~60대
51대 52대 53대 54대 55대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
파일:레벤톤(배틀로봇).jpg 레벤톤
★★
파일:부라퀴.jpg 부라퀴
★★
파일:하마(배틀로봇).jpg 하마

파일:나래(배틀로봇).jpg 나래
★★★★
56대 57대 58대 59대 60대
파일:고고씽3.jpg 고고씽3
★★★★
파일:스틸원.jpg 스틸원

파일:번개(배틀로봇).jpg 번개
★★
파일:REX2.jpg REX2

파일:카니지(배틀로봇).jpg 카니지
★★
61~68대
61대 62대 63대 64대 65대
파일:트라이앵글1.jpg 트라이앵글
★★★
파일:짱가2.jpg 짱가2

파일:Force1.jpg 포스
★★★
파일:짱가2.jpg 짱가2
★★★★
파일:망치(배틀로봇).jpg 망치
★★★
66대 67대 68대
파일:배틀로봇홈런2.jpg 홈런2

파일:짱가2.jpg 짱가2

파일:재규어(배틀로봇).jpg 재규어
★★
특별회차 배틀제왕
1호 2호 3호 4호
파일:틀거지.jpg 틀거지 파일:짱가3.jpg 짱가3 파일:어세네.jpg 어세네 파일:하늘天.jpg 하늘天 }}}


파일:백러쉬.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백러쉬
구호 백절불굴, 무한도전!
파일럿 정상수 → 한승호 → 김병철
소속 인하공전 R.S
차체 형태 수직회전 디스크형
배틀제왕 재임/최대 연승 제6대, 제23대, 제33대 / 2연승
승률 59전 36승 23패[1]
0.610
출전 <colbgcolor=#eeeeee,#191919> 배틀제왕전 제10회-제12회 / 제6대 배틀제왕
제14회
제51회,제53회 / 제23대 배틀제왕
제91회-제92회 / 제33대 배틀제왕
기타 제1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2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3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1회 배틀로봇 왕중왕전
제2회 배틀로봇 왕중왕전
제1회 배틀로봇 최강자전
제2회 배틀로봇 최강자전
대학최강자전

1. 역사2. 기타

[clearfix]

1. 역사

대한민국 배틀로봇 전반기[2]를 대표하는 배틀로봇으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수없이 변화하던 배틀로봇 환경에서 꾸준한 모습을 보인 어태커 중 하나였다.[3]

주로 타격보다는 기동성에 중점을 둔 스타일로 빠르고 거친 운영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전술로 로봇파워에 출전했을 때는 미묘한 기량을 보이다가 오랜 도전 끝에 기량이 폭발, 배틀제왕전에서 흑룡을 상대로 접전[4] 끝에 흑룡을 벽쪽으로 몰은 다음에 흑룡의 후면을 강하게 공격해서 흑룡을 작동불능 상태로 만들어서 승리하면서 4수 만에 드디어 배틀제왕에 입성했다.[5]

그 후 흑룡을 조종했던 재호네 가족은 곧바로 설욕전으로 비스마르크로 배틀제왕전에 진출했지만[6] 백러쉬는 이전 경기 그 이상의 파괴력으로 비스마르크를 상대로 압도, 2연승에 성공했다.

그러나 배틀제왕전에 올라온 다크호스 RATS하이킥과의 경기에서 미묘한 타격과 지지부진했던 전술, RATS하이킥에게 압도당하는 굴욕적인 모습 끝에 결국 기권을 선언하며 배틀제왕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이에 백러쉬는 RATS하이킥이 3연승을 도전할 때 출전, 바로 배틀제왕전에 올라와 설욕전을 치르러 왔지만 방심했던 RATS하이킥의 기동성에 측면을 내준 채 그대로 함정에 빠져버리면서 경기는 맥없이 끝나고 말았다.[7] 그리고 이를 시작으로 백러쉬의 흑역사가 시작되었다.

그 후 로봇 이름 그대로 승률 백러쉬를 겪게 되어 차체를 바꾸면서 더욱 안정적으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높았던 기동성은 잔고장으로 맛이 가고[8] 타격도 영 시원치 않아 이도저도 아닌 로봇으로 전락해 6연패라는 불명예를 안겼다. 심지어 제3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서 예선탈락까지 하면서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9] 이에 RS마저도 새로 개발된 런지를 밀어주기 시작하는 시기였기에 용두사미로 끝날 것만 같던 백러쉬였다.

하지만 다른 로봇들과 다르게 자취를 감추지 않았고, 결국 전환점을 찾아냈다. 그것은 무기의 재질을 강화하는 것.

그 시작은 제1회 배틀로봇 최강전[10]으로 그때 첫 상대가 상위 어태커였던 블레이드형의 타나토스였기에 완패를 점한 사람들이 많았었지만 측면기습으로 타나토스를 한방에 뒤집어버리며 단 몇초만에 역으로 완승, 이 기세를 몰아 로보스칸2까지 잡아내며[11]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 상대는 초기 배틀로봇 환경에서 사기급의 정점을 찍고 있던 스텔스였는데, 생각외로 좋은 선전을 보이며 이변이 이어질 것만 같았지만 중반에 구동 벨트가 빠지면서 디스크에 엉켜버렸고, 이후 스텔스의 공격에 뒤집히면서 패배했다. 결국 준우승에 머무른 후, 대학최강자전[12]에서도 강한 면모를 보이며 결승전까지 진출했다.[13] 상대는 같은 인하공전 소속의 동생 런지로[14] 디스크가 엉켜붙는 등 팽팽한 접전을 보이며 먼저 오른 바퀴 하나를 터뜨렸지만 도중에 런지의 반격에 뒤쪽 커버가 열리고, 바퀴도 터지면서, 열린 커버에서 내부 부품이 빠져나오며 결국 보호차원 때문에 기권,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로봇파워 정식전에도 다시 출전했는데, 그전에 설명하듯이 디스크가 알루미늄에서 속이 비어있는 티타늄으로 바뀌고 후에는 대학최강자전에서부터 시작하여서 완전히 꽉 찬 티타늄으로 바뀌었고, 이 위력은 정말 그동안 백러쉬를 상대했던 로봇들마저 기겁하게 만들었을 정도로 강력해져 바이킹과 스콜피온을 압살[15], 배틀제왕전까지 진출해 최강자전 결승때에 만났던 스텔스를 다시 상대하게 되었다.

그러나 스텔스는 이전 경기까지 13연승을 달리던 중이었기에[16] 많은 사람들은 스텔스의 승리를 점했고, 그당시 파일럿이었던 한승호 선수도 상당히 부담스러워했다.

하지만 희비가 교차되었다.



스텔스를 상대로 맹공을 연이은 끝에 스텔스를 두 번이나 뒤집고[17] 회전디스크까지 분리, 만신창이가 된 스텔스 앞에는 배틀제왕을 탈환한 백러쉬가 있었다.[18]

이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백러쉬를 기억하기 시작했는데, 로봇파워를 본 분들에게도 물어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로봇 중 하나가 되었을 정도다.

하지만 기대와 다르게 2연승 도전 때 만났던 다크호스 랩터에게 경기 후반에 실축을 허용하면서 결국 판정패로 배틀제왕을 내주게 되었다.[19]

그 후 배틀로봇 환경에서 블레이드형 로봇의 등장으로 디스크형 로봇들에게 적신호가 켜지기 시작했는데, 백러쉬 또한 블레이드형 로봇이었던 폴리페무스와의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8강에서 폴리페무스의 공격에 구동부가 망가지면서 패배하는 굴욕을 겪었다.

그 후 91회에 출전하여 등록금4와 다크서클을 압살하고 폴리페무스를 다시 만났는데, 이때는 다름 아닌 배틀제왕전이었다.[20] 폴리페무스 또한 7전 7승으로 이미 배틀로봇 환경을 지배하고 있었기에 33대 배틀제왕으로 새로운 전설을 쓰는 것만 같았다.



하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 폴리페무스의 실축을 이용한 플레이로 운도 따라주면서 대한민국 로봇대전 복수도 하고 3번째 배틀제왕의 자리에 다시 앉게 된 백러쉬, 디스크형 최다 배틀제왕 등극이라는 진기록을 세웠다.[21]

그러나 그 당시 배틀로봇 환경은 어태커들의 파워인플레가 진행되었기에 33대 배틀제왕의 자리는 결코 안정하지 못했으며[22], 결국 백러쉬는 괴물에게 기동성을 이용해도 괴물에게 얻었던 파손이 너무도 심각했던 나머지 배틀제왕을 내주게 되었다.[23]

그 후로는 로봇파워 본편에는 나오지 않고 배틀로봇 최강자전 같은 이벤트전 위주로만 나왔다. 그러나 시대의 흐름을 이기지 못한 듯 연패행진을 걷게 되었다. 2회 배틀로봇 최강전에서는 1회 때 박살을 냈던 로보스칸2와 붙었는데, 생각보다 압도적이진 못했지만 우세한 싸움을 이어가다 갑자기 멈추면서 패배했고, 제2회 로봇파워 왕중왕전에서는 신흥 어태커 중에서도 유망주였던 고고씽2와 격돌했는데, 정면으로 부딪힌 결과 고고씽2의 공격 한 방에 디스크가 휘어지고 바퀴까지 빠져버리며 초전박살이 났고, 결국 그 당시 배틀로봇 환경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을 아는 듯 홀연히 사라졌다.[24][25]

2. 기타

암흑기가 조금 있었지만 백러쉬의 승률은 60% 언저리 수준이기에 승률 저조에는 어폐가 존재한다.

스텔스와의 배틀제왕전 이후 로봇파워에서 1주년 특집으로한 꿈의 도전 1기 방영분에서 명경기 top3를 뽑았는데, 1위와 3위 경기 모두 백러쉬의 경기였다.[26]

제1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 출전해 8강까지 간 적이 있지만 8강에서 빗면 디스크형 로봇인 영웅에게 패배했다. 참고로 백러쉬를 이긴 영웅은 인하공전RS의 오함마와의 결승전에서 어이없는 실수로 함정에 빠지면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영웅은 사실 성남 신흥초등학교 로봇스쿨 소속의 배틀로봇이다. 즉, 백러쉬는 8강에서 초등학생한테 패배한 것.... 어찌보면 인하공전RS에게는 좀 치욕적인 굴욕..

수직 회전디스크형 로봇이 뒤집히면 보통 바보가 되는 경우가 많았지만,[27] 셀프로 벽에 들이받아 간단히 다시 뒤집는 모습을 자주 보인 로봇이 하나 있었는데. 그 녀석이 이 녀석이다.[28]

파워인플레에 밀려나 후반부의 행적이 초라해보일 수도 있으나, 런지 다음으로 오래 생존했던 디스크형 로봇이다.[29] 게다가 수평형보다 훨씬 불리한 수직회전형을 가지고도 중후반기까지 노장의 위엄을 보여주었다.[30][31]

[1] 역대 디스크형 로봇 중 최장 경기수 [2] 2002년~2007년이 전반기이고, 2008~2011년까지가 후반기로 이 이후 2012년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시간을 공백기로 여긴다. [3] 백러쉬 초창기 기록은 자세히 기록되지 않아서 서술이 미묘하지만 로봇파워를 미루어 볼 때 상위권에 속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추측할 수 있다. [4] 흑룡에게 제대로 된 유효타도 주지 못한 채 뒤집어지면 주특기였던 벽을 타고 원위치시키는 방식을 쓰는 등 공격력으로는 다소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5] 자막에 '흑룡 작동불능 하우스 로봇 출동'이라고 쓰여져 있다. [6] 이것은 배틀제왕전 최초의 대리복수전이다. [7] 그 덕에 RATS하이킥은 로봇파워에서 마의 3연승으로 불리는 징크스를 깬 최초의 로봇이 되었다. [8] 백러쉬의 스피드스피드 최고 기록은 18초 27인데, 이때의 기록 중 하나를 보면 53초 56까지 떨어졌다. [9] RATS하이킥과의 대결 이후 전적은 12전 3승 9패다(전설의 패배토템이던 비키라에게마저 패배한 전적 포함). [10] 디스크의 형태는 기존에 활용하였던 빈틈이 있는 형태였고, 재질이 구부러지기 쉬운 알루미늄에서 단단한 티타늄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11] 측면을 찌그러뜨리면서 어퍼컷 한방으로 마무리하였다. [12] 이때는 백러쉬와 런지 모두 빈틈없는 원판디스크로 출전했다. [13] 여기서 2번이나 배틀제왕전에서 악연을 이어간 RATS하이킥에게 복수하는 데 성공했다. [14] 런지 역시 이때부터 강력한 어태커로 급부상하던 터였다. [15] 스콜피온의 드럼이 백러쉬의 디스크 날에 꽂혔다. 물론 마당쇠가 빼줬지만 스콜피온은 구동이 되지 못했다. [16] 더군다나 스텔스가 잡은 상대중에 런지가 여기에 포함이 되었다. 어찌보면 런지의 대리복수도 하게 된 셈. 여기서 재밌는점은 최강자전에서 스텔스에게 패배했던 백러쉬의 대리복수를 하기 위해서 런지가 출격했는데, 역으로 스텔스에게 17대 배틀제왕의 자리를 내리게 했던 런지에게 복수를 했고, 이번에는 런지의 복수를 백러쉬가 하게 되었다. [17] 스텔스가 백러쉬의 강력한 수직디스크 공격을 맞고 뒤집히자 '완전히 뒤집힌 완벽한 배틀로봇 스텔스'라는 자막이 뜨며 충격을 더했다. [18] 여기서 스텔스는 백러쉬의 바퀴를 공략하였다. 물론 터뜨리는데에는 성공하였지만, 그렇게 큰 타격이 되지는 못하였으며, 반면 백러쉬는 스텔스의 저중심 디스크를 멈추게 할 뿐만 아니라, 높이면서 결국 뒤집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낸 것이다. [19] 그것도 단 1점차이였다. 나름대로 고전을 하였으나 1점차. 만일 바퀴만 빠지지 않았더라면 연장을 각오하더라도, 정말 오랜만에 연승을 달릴 수 있었을것이다. [20] 이때는 짱가가 5연승을 하고 배틀제왕이 공석이었기에 서로 배틀제왕의 자리를 노리고 분투했었다. [21] 이는 정통 수평회전 블레이드와 수직회전 디스크의 싸움에서 처음이자 유일하게 이긴 사례이다. [22] 백러쉬 역시 이를 타파하고자 디스크에 강철 팁을 추가하여서 파괴력을 올리지만, 균형이 더 무너졌다. [23] 백러쉬의 고질적인 문제인 바퀴 내구성이 결국 발목을 잡은거다. 그 말인 즉슨 바퀴가 또 빠진 셈. [24] 만일 고고씽2가 포함되지 않은 다른 조였다면 로봇파워 최초로 60전을 치를 수 있었을 것이다. [25] 하지만 고고씽2가 아니었다고 해도 대박이를 만나거나 같은 팀이자 막내인 런지블레이드를 만났어도 사실상 패색이 짙었을 것이다.. [26] 1위는 대학 최강자전에서 런지와의 대결이고 3위는 바로 그 스텔스와의 배틀제왕전이다. 참고로 2위는 RATS하이킥 샤크의 5연승 대결이다. [27]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네오메카1, 2, 다크서클 같은 경우가 보조바퀴를 달고 출전했다. [28] 백러쉬의 수직회전 디스크가 워낙에 커서 뒤집혀도 수직회전 디스크가 앞바퀴 역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동이 가능했다. 즉, 수직회전 디스크가 보조바퀴 역할을 톡톡히 해낸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흑룡과의 경기로, 뒤집혀진 상태에서도 큰 수직회전 디스크가 보조바퀴 역할을 하여 이동이 가능했고, 벽으로 이동하여 다시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했다. 대학최강자전에서는 한번은 벽을 이용하지 않고 추진력을 이용해서 원상태로 돌아온 적이 있다. [29] 만일 몇경기 더 뛰었다면 디스크로봇, 로봇파워 최초로 60전을 치르는 진기록을 세우는 로봇이 되었을 것이다. [30] 배틀제왕에 디스크로봇으로 런지와 같이 무려 3번이나 등극하였다. 백러쉬 6,23,33 런지 18,35,38 공교롭게도 뒷자리 숫자가 똑같은 배틀제왕 재임한 적이 있다. [31] 디스크형 로봇들 전체로만 봐도 거의 서열 2위에 해당한다. 같은팀 런지를 제외하고 백러쉬에게 우세를 점하거나 대등한 디스크형은 은퇴전의 스텔스 정도가 전부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