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5:08

미생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미생물(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설명3. 관찰
3.1. 배양과 콜로니
4. 각종 오해와 통념들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미생물(, microorganism)은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한계 영역을 넘어선 0.1mm 이하의 크기인 작은 생물을 말한다.[1] 따라서 생물체의 분류학적 의미는 없는 용어이긴 하다. 세계에서 제일 큰 균류인 버섯은 예외이며, 특히 여과성 미생물이라고 하면 바이러스를 뜻한다.[2] 이 미생물을 연구하는 학문이 미생물학이다.

2. 설명

미생물 크기 비교
미생물 하면 생각날 법한 대표적인 것들로 박테리아, 진균, 원생생물, 조류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은 사실 생물의 세 역에 모두 걸쳐있다. 특히 세균역 전체, 고균역 전체, 진핵생물역 중 조류와 원생동물이 이에 속한다. 당연히 현미경의 발명 전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의 생활단위를 유지한다. 이들은 습기만 있으면 지구상 어디에서나 살 수 있으며 생명체들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3. 관찰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외모만으로는 확실히 할 수 있는 부분은 대분류, 즉 진균, 원생동물, 조류, 세균, 고균 등의 판단 정도이다. 자세한 관찰을 위해서는 여러 염색방법과 다양한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그 분류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 예로,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가 없는가를 통해 진핵동물과 식물-세균류를 분류 가능하며 세균세포벽의 유무를 통해 식물, 세균, 고균 등을 분류하여 관찰한다.

3.1. 배양과 콜로니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지[3] 위에서 배양시켜 콜로니를 형성하면 그 색, 모양 등으로 판단한다. 콜로니 하나에 한 종만 있게 된다. 이러한 모양과 색, 냄새 등을 모폴로지(Morphology)라고 하고 배양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색 또한 흰색 노란색과 같이 일반적인 것부터 녹색 보라색과 같이 특이한 것까지 쉽게 볼 수 있다. 같은 종이라 하더라도 같은 조건하에서 2개 이상의 모폴로지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도 매우 쉽게 나타난다.

그러나 모든 미생물들이 콜로니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실제로 실험실에서 배양이 가능한 미생물은 극히 드물며 순수배양이 되지 않으므로 실험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경우 분리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다.

4. 각종 오해와 통념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사측의 판단에 따라 편견 및 고정관념/과학 문서의 기여내용을 관련문서로 이동시키고 삭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사측의 판단에 따라 편견 및 고정관념/과학 문서의 기여내용을 관련문서로 이동시키고 삭제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 여담

웨스트 체스터 대학의 러셀 브릴랜드 박사의 실험에 의하면 수면 상태의 미생물(세균)을 4달 동안 영양분을 주입 시도를 한 후 2억 5천만년 만[5]에 되살아나서 증식을 시작했다.

2010년대 후반부터 장내 미생물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치매 같은 뇌질환이 장내 미생물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이를 이용한 치료 역시 개발 중이다. 흔히 똥이식이라 불리는 그것으로 생로병사의 비밀 2019년 12월 11일 방영에서 장내 미생물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도 했고, 국내에서 대변 이식을 받은 사람들의 사례를 보여주기도 했다.

음식 섭취로 장내 미생물을 변화시켜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6. 관련 문서



[1] 대부분 원핵생물이긴 하지만, 초소형 갑각류나 곤충도 포함될 수 있다. [2] 사실 바이러스는 완전한 생명체라고 보기는 어렵다. [3] 주로 고체 배지를 사용한다. [4]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많은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5] 소행성 지구와 충돌에 의해서 지표면과 지하 약 1km 까지의 미생물은 멸종되고 약 2km 지하에 살았던 미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