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21:44:51

문관철

문관철
Moon Kwan Cheol
파일:문관철.jpg
생년월일 1960년 4월 27일 ([age(1960-04-27)]세)
경상남도 마산시(현 창원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남평 문씨
가족 2남 1녀 중 막내
슬하 1남 1녀
학력 배재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 / 학사)
데뷔 1987년 2월 20일 정규 1집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비운의 가수(?)4. 음반5. 수상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가수, 작곡가, 프로듀서.

2. 생애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태어나 유아기를 창원에서 잠깐 보냈고 이후 서울에서 살았다. 록 밴드 시나브로의 보컬, 기타리스트로 참여해[1] 1980년 TBC 젊은이 가요제, 1981년 국풍가요제에 참가했다. 국풍가요제에서 같은 밴드의 기타리스트 안지홍의 곡인 '을지문덕'으로 연주상을 수상했고, 이후 같은 해 MBC 대학가요제에 참가해 《안개》로 동상을 수상했다. 팀이 해체되고 1987년 1집을 발표해 솔로가수로 활동하였다.

그 후 3집까지 냈으나 반응이 좋지 못했고, 시작했던 통신사 사업까지 실패하여 2001년 가평 화야산에 홀로 들어가 은둔생활을 했다. 이후 2006년 산에서 내려와 만난 피아니스트 임인건을 통해 재즈 피아노를 공부했고, 2011년 4집 앨범을 내고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3. 비운의 가수(?)

노래 《 비처럼 음악처럼》, 《 그대와 영원히》를 가장 먼저 녹음한 가수이다. 《비처럼 음악처럼》은 작곡가인 박성식이 문관철에게 가장 먼저 준 곡으로 이미 1984년에 녹음을 마친 상태였다. 그러나 앨범 제작비 부족으로 발표가 기약없이 지연되면서 결국 작곡가인 박성식은 선배인 김현식의 부탁으로 해당곡을 넘겼다. 이후 《비처럼 음악처럼》은 1986년 김현식 3집에 수록되면서 비처럼 음악처럼은 김현식의 노래가 되었다.[2] 그대와 영원히》도 본래 작곡가인 유재하가 문관철을 생각하고 만든 곡이라고 가수 권인하가 밝혔다. #[3] 역시 제작비 부족으로 앨범을 내지 못해 이 곡은 이문세가 1985년에 먼저 발표하게 되었다.

이런 사실 때문에 김현식, 이문세의 일부 극성 안티팬들 중에서 '두 곡의 원곡자는 원래 문관철이다'라는 식으로 인터넷에서 선동질을 하고 있으나, 이는 명백히 잘못된 정보이며 두 곡의 원곡자는 발표를 먼저 한 김현식, 이문세가 맞다. 애초에 두 곡의 작사, 작곡을 문관철 본인이 한 것도 아니고, 문관철이 두 곡을 김현식, 이문세보다 먼저 발표해 원곡자로써 권리가 인정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문관철은 한 인터뷰에서 당시를 회고하면서 '내 노래인데 그가 부르고 싶어 한 걸 어떻게 합니까' #라는 표현까지 썼는데, 엄연히 작곡가가 존재하고 발표도 되지 않은 곡을 '내 노래'라고 주장하면서 본인의 권리를 주장하는건 명백하게 타당하지 못한 행동이다.

또한 '곡을 뺏겼다'는 표현까지 쓰는데 애초에 곡에 대한 모든 권리는 작곡가에게 있다. 박성식은 김현식의 보컬을 직접 듣고 곡을 주기로 결정했고,[4] 유재하는 문관철과 친했던 만큼 이문세하고도 친분이 있었다.[5] 단순히 음악계 선배라서 곡을 순순히 줬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또한 김현식, 이문세가 처음부터 문관철의 녹음본을 듣고 무단으로 발표했다면 문제가 되지만, 발표되지 않은 곡을 작곡가에게 직접 허락을 구하고 발표를 한 것이기에 법적으로나, 도의적으로나 문제 될 것이 전혀 없다.[6] 오히려 작곡가 입장에서는 앨범 발매일, 곡에 대한 성공여부가 불투명한 문관철보다는 김현식, 이문세에게 곡을 주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었을것이다. 어떤 이는 문관철의 '딱한 사정' 때문에 김현식이 선배로써 그랬으면 안됐다고 주장하지만, 애초에 사정을 따진다면 문관철보다 박성식이 더 어려운 상황이었다. 당시 박성식은 작곡한 곡마다 실패해 자신에게 작곡에 대한 재능을 비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부 감성팔이 인터넷 선동꾼들은 김현식과 이문세의 탐욕에 의해 문관철이 '명곡'을 도둑 맞았다는 어처구니가 없는 주장도 하는데, 사실관계를 따지면 앞뒤가 전혀 맞지 않는 말이다. 《비처럼 음악처럼》은 발표 후 2년이 지난 1988년이 돼서야 인기가 생겼고,[7] 《그대와 영원히》는 발표 이후 시간이 한참 지나서야 이문세의 '숨은 명곡'으로 평가되었다. 두 곡 모두 발표 당시엔 주목받지 못했다가 훗날 명곡이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문관철 버전이 빨리 발표됐더라도 김현식, 이문세 버전만큼 인기와 주목을 받았을지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다. 왜냐하면 김현식, 이문세와 같은 곡을 수록한 문관철 1집은 처참하게 망했기 때문이다. 문관철 버전은 개월수로 따지면 김현식 버전과 고작 2~3개월 차이 밖에 나지 않았음에도 대중들은 문관철 버전에 어떠한 관심도 주지 않았다. 심지어 김현식 버전은 발표 당시엔 전혀 주목받지 못한 상태였는데도 말이다. 이러한 사실만 봐도 문관철이 먼저 발표했으면 크게 성공했을거라는 인터넷발 선동은 근거 하나 제대로 된 거 없는 수준 이하의 낭설에 지나지 않는다.

사실 두 곡 뿐만 아니라 문관철의 노래들은 인지도가 아예 없거나 바닥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1집 타이틀곡인 '오페라'도 후에 김장훈이 리메이크하고 나서야 유명해졌을 정도로 인지도가 낮았고, 1집 수록곡이자 2집 타이틀곡인 '다시 처음이라오'도 김현식 사후에 나온 7집 앨범에 수록되고 나서야 겨우 인지도가 생겼다. 또한 일부 오리지날리티를 중시하는 사람들은 문관철 버전이 더 좋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추억 보정 및 개인의 취향 차이지 버전의 우열을 가릴 것은 못된다. 문관철이 노래를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당시 대중에게 있어 문관철의 보컬은 여타 보컬리스트들에 비하면 한계가 명징하고 크게 어필할 만한 요건이 없었다는 것이다.

결정적으로 문관철은 여러모로 운이 없었을 뿐 '피해자'의 위치라고 보기는 매우 어렵다. 시대상 운운하며 멀리갈 것도 없이 현대에도 작곡가가 여러 가수들한테 동일한 곡을 불러보게 하고 그 중 하나를 택하거나, 혹은 반대로 여러 가수들에게 곡을 준 뒤 부르겠다고 하는 사람을 택해서 내는 경우가 허다하다. 통상 음반업계에선 누군가를 지정해서 곡을 만들어도 그 가수가 거절하거나 사정이 생겨 발매하기 어려워지면 작곡가가 다른 가수에게 곡이 넘어가는건 당연한 일이다. 본인 입장에서는 녹음도 마쳤고 발매할 의지도 있었는데 다른 가수가 불러버린 것이 아쉽고 억울할 수는 있다. 그러나 발표한 적도 없고 자신이 작사, 작곡한 곡도 아니면서 '자신의 노래였는데 다른 사람이 먼저 불렀다' 라고 억울하다는 듯이 표현하는 건 무리가 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노래는 작곡가, 작사가에게 그 권리가 있지 녹음을 마쳤다고 가수 본인이 마음대로 곡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4. 음반

5. 수상



[1] 참고로 당시 팀의 건반은 김광민이 맡았다. [2] 때문에 김현식은 문관철에게 음반이 나오기 전 직접 '미안하다'고 사과를 했다고 한다. # [3] 참고로 문관철은 권인하의 고등학교 1년 후배이다. [4] 박성식은 김현식이 《비처럼 음악처럼》을 부르자 자기가 생각했던 노래와 완전히 다른 노래가 되었다고 회고했다. [5] 유재하는 이문세가 정규 1집을 낼 때 곡을 줄 정도로 친했다고 한다. 그 곡이 바로 《 그대 내 품에》이다. [6] 예나 지금이나 음악계에선 공개석상에서 발표하지 않는 이상 처음 곡을 받아 녹음했다고 해서 그 가수의 것이 되는 것이 아니다. 일례로 가수 김국환의 노래로 알려져 있는 타타타가 있는데, 이 노래는 본래 조용필이 부르기로 계획됐었고 실제로 녹음까지 마쳤었다. # 그러나 작곡가인 김희갑에 의해 결국 조용필 버전은 빼기로 한 것이다. 이후 조용필과 목소리가 비슷한 가수 위일청 1988년 드라마 OST로 먼저 불렀고 이후 김국환 1991년에 정식으로 앨범에 수록해 발표했다. 위일청과 김국환이 타타타를 발표할 당시 조용필은 자기가 먼저 녹음했으니 자기 노래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7] 당시에는 곡 발표 후 인기가 있기까지는 대략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이를 감안해도 김현식 버전은 꽤나 늦게 주목받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