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국가지정유산 | ||||||||||||||
국보 | 보물 | 사적 | 명승 | ||||||||||||
천연기념물 | 국가무형유산 | 국가민속문화유산 | |||||||||||||
시도지정유산 | |||||||||||||||
시도유형문화유산 | 시도기념물 | 시도무형유산 | 시도민속문화유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타 | ||||||||||
문화유산자료 | 국가등록문화유산 | 시도등록문화유산 | |||||||||||||
이북5도 무형유산 | 향토유산 | 비지정유산 | }}}}}}}}} |
대한민국의 명승 | |||
명승 名 勝 | Scenic spot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중국어 | 风景 | |
일본어 | 名勝 | }}}}}}}}} | |
|
|||
▲ 대표 명승: 거제 해금강 |
<colbgcolor=#943b58><colcolor=#000,#fff> 분류 | 명승, 국가유산 |
관리·운영 | 국가유산청 산하 각 기관 |
대표전화 | 1600-0064 |
링크 |
•
명승 목록 • 문화경관 목록 • 자연경관 목록 • 역사문화경관 목록 |
[clearfix]
1. 개요
뛰어나게 아름다워 이름난 경치를 뜻하며, 문화경관, 자연경관, 역사문화경관이 있다.2. 법령
국가유산기본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국가유산"이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ㆍ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ㆍ자연유산ㆍ무형유산을 말한다. 3. 기념물: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것 가.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ㆍ학술적 가치가 큰 것 나.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다. 동물(그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그 자생지를 포함한다),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ㆍ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제25조(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 ① 국가유산청장은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념물 중 중요한 것을 사적, 명승 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 명승 1. 자연경관이 뛰어난 산악·구릉·고원·평원·화산·하천·해안·하안(河岸)·섬 등 2. 동물·식물의 서식지로서 경관이 뛰어난 곳 가. 아름다운 식물의 저명한 군락지 나. 심미적 가치가 뛰어난 동물의 저명한 서식지 3. 저명한 경관의 전망 지점 가. 일출·낙조 및 해안·산악·하천 등의 경관 조망 지점 나. 정자ㆍ누각 등의 조형물 또는 자연물로 이룩된 조망지로서 마을·도시·전통유적 등을 조망할 수 있는 저명한 장소 4. 역사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명산, 협곡, 해협, 곶, 급류, 심연(深淵: 깊은 못), 폭포, 호수와 늪, 사구(砂丘: 모래언덕), 하천의 발원지, 동천(洞天), 대(臺), 바위, 동굴 등 5.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庭苑)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서 종교·교육·생활·위락 등과 관련된 경승지 가. 정원, 원림(園林), 연못, 저수지, 경작지, 제방, 포구, 옛길 등 나. 역사·문학·구전(口傳) 등으로 전해지는 저명한 전설지 6. 「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 제2조에 따른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곳 중에서 관상적 또는 자연의 미관적으로 현저한 가치를 갖는 것 |
3.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943b5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명주 청학동 소금강
1.#27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예천 초간정 원림
1.#76
영월 선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3.1. 1~100호
<colbgcolor=#943b58><rowcolor=#fff><colcolor=#fff> 번호 | 명칭 | 지정일자 | 해제일자 | 비고 |
1 | 명주 청학동 소금강 | 1970. 11. 23. | [1] | |
2 | 거제 해금강 | 1971. 3. 23. | ||
3 | 완도 정도리 구계등 | 1972. 7. 24. | ||
4 |
|
2009. 12. 9. | [2] | |
5 |
|
2009. 12. 9. | [3] | |
6 | 울진 불영사계곡 일원 | 1979. 12. 11. | ||
7 | 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 1979. 12. 11. | ||
8 | 옹진 백령도 두무진 | 1997. 12. 30. | ||
9 | 진도의 바닷길 | 2000. 3. 14. | ||
10 | 삼각산 | 2003. 10. 31. | [4] | |
11 |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 2003. 10. 31. | ||
12 | 진안 마이산 | 2003. 10. 31. | ||
13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 2004. 11. 17. | ||
14 | 영월 어라연 일원 | 2004. 12. 7. | ||
15 |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 2005. 1. 3. | ||
16 | 예천 회룡포 | 2005. 8. 23. | ||
17 | 부산 영도 태종대 | 2005. 11. 1. | ||
18 | 소매물도 등대섬 | 2006. 8. 24. | ||
19 | 예천 선몽대 일원 | 2006. 11. 16. | ||
20 | 제천 의림지와 제림 | 2006. 12. 4. | ||
21 | 공주 고마나루 | 2006. 12. 4. | ||
22 | 영광 법성진 숲쟁이[5] | 2007. 2. 1. | ||
23 | 봉화 청량산 | 2007. 3. 13. | ||
24 | 부산 오륙도 | 2007. 10. 1. | ||
25 | 순천 초연정 원림 | 2007. 12. 7. | ||
26 |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 2007. 12. 7. | ||
27 |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 | 2007. 12. 7. | ||
28 | 삼척 죽서루와 오십천 | 2007. 12. 7. | ||
29 | 구룡령 옛길 | 2007. 12. 17. | ||
30 | 죽령 옛길 | 2007. 12. 17. | ||
31 | 문경 토끼비리[6] | 2007. 12. 17. | ||
32 | 문경새재 | 2007. 12. 17. | ||
33 | 광한루원 | 2008. 1. 8. | [7] | |
34 | 보길도 윤선도 원림 | 2008. 1. 8. | [8] | |
35 |
|
2008. 1. 8. | 2010. 9. 2. | [9] |
36 |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 2008. 1. 8. | [10] | |
37 | 동해 무릉계곡 | 2008. 2. 5. | ||
38 | 장성 백양사 백학봉 | 2008. 2. 5. | ||
39 | 남해 금산 | 2008. 5. 2. | ||
40 | 담양 소쇄원 | 2008. 5. 2. | [11] | |
41 | 순천만 | 2008. 6. 16. | ||
42 | 충주 탄금대 | 2008. 7. 9. | ||
43 |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 2008. 8. 8. | ||
44 | 단양 도담삼봉 | 2008. 9. 9. | ||
45 | 단양 석문 | 2008. 9. 9. | ||
46 | 단양 구담봉 | 2008. 9. 9. | ||
47 | 단양 사인암 | 2008. 9. 9. | ||
48 | 제천 옥순봉 | 2008. 9. 9. | ||
49 | 충주 계립령로 하늘재 | 2008. 12. 26. | ||
50 | 영월 청령포 | 2008. 12. 26. | ||
51 | 예천 초간정 원림 | 2008. 12. 26. | ||
52 | 구미 채미정 | 2008. 12. 26. | ||
53 | 거창 수승대 | 2008. 12. 26. | ||
54 |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 2009. 9. 18. | ||
55 | 무주 구천동 일사대 일원 | 2009. 9. 18. | ||
56 | 무주 구천동 파회·수심대 일원 | 2009. 9. 18. | ||
57 | 담양 식영정 일원 | 2009. 9. 18. | ||
58 | 담양 명옥헌 원림 | 2009. 9. 18. | ||
59 |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 | 2009. 9. 18. | ||
60 |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 2009. 12. 9. | ||
61 | 속리산 법주사 일원 | 2009. 12. 9. | ||
62 | 가야산 해인사 일원 | 2009. 12. 9. | ||
63 | 부여 구드래 일원 | 2009. 12. 9. | ||
64 | 지리산 화엄사 일원 | 2009. 12. 9. | ||
65 | 조계산 송광사· 선암사 일원 | 2009. 12. 9. | ||
66 | 두륜산 대흥사 일원 | 2009. 12. 9. | ||
67 | 서울 백악산 일원 | 2009. 12. 9. | ||
68 | 양양 하조대 | 2009. 12. 9. | ||
69 | 안면도 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 2009. 12. 9. | ||
70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 2010. 2. 5. | ||
71 |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 2010. 8. 18. | ||
72 | 지리산 한신계곡 일원 | 2010. 8. 18. | ||
73 | 태백 검룡소 | 2010. 8. 18. | ||
74 | 대관령 옛길 | 2011. 10. 15. | ||
75 | 영월 한반도 지형 | 2011. 6. 10. | ||
76 | 영월 선돌 | 2011. 6. 10. | ||
77 | 제주 서귀포 산방산 | 2011. 6. 30. | ||
78 | 제주 서귀포 쇠소깍 | 2011. 6. 30. | ||
79 | 제주 서귀포 외돌개 | 2011. 6. 30. | ||
80 | 진도 운림산방 | 2011. 8. 8. | ||
81 |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 | 2011. 8. 8. | ||
82 | 안동 만휴정 원림 | 2011. 8. 8. | ||
83 | 사라오름 | 2011. 10. 13. | ||
84 |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 2011. 10. 13. | ||
85 |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 | 2012. 2. 8. | ||
86 |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 2012. 2. 8. | ||
87 | 밀양 월연대 일원 | 2012. 2. 8. | ||
88 | 거창 용암정 일원 | 2012. 4. 10. | ||
89 | 화순 임대정 원림 | 2012. 4. 10. | ||
90 | 한라산 백록담 | 2012. 11. 23. | ||
91 | 한라산 선작지왓 | 2012. 12. 17. | ||
92 | 제주 방선문 | 2013. 1. 4. | ||
93 | 포천 화적연 | 2013. 1. 4. | ||
94 |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 2013. 2. 6. | ||
95 |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 2013. 3. 11. | ||
96 | 설악산 토왕성폭포 | 2013. 3. 11. | ||
97 | 설악산 대승폭포 | 2013. 3. 11. | ||
98 | 설악산 십이선녀탕 일원 | 2013. 3. 11. | ||
99 | 설악산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 | 2013. 3. 11. | ||
100 | 설악산 울산바위 | 2013. 3. 11. |
3.2. 101~134호
<colbgcolor=#943b58><rowcolor=#fff><colcolor=#fff> 번호 | 명칭 | 지정일자 | 해제일자 | 비고 |
101 |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 2013. 3. 11. | ||
102 | 설악산 용아장성 | 2013. 3. 11. | ||
103 | 설악산 공룡능선 | 2013. 3. 11. | ||
104 |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 | 2013. 3. 11. | ||
105 | 청송 주산지 일원 | 2013. 3. 21. | ||
106 | 강릉 용연계곡 일원 | 2013. 3. 21. | ||
107 | 광주 환벽당 일원 | 2013. 11. 6. | ||
108 | 강릉 경포대와 경포호 | 2013. 12. 30. | ||
109 |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 | 2014. 3. 12. | ||
110 | 괴산 화양구곡 | 2014. 8. 28. | ||
111 |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 2014. 8. 28. | ||
112 | 화순 적벽 | 2017. 2. 9. | ||
113 |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 2018. 6. 4. | ||
114 |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 2018. 12. 20. | ||
115 | 강진 백운동 원림 | 2019. 3. 11. | ||
116 | 부안 직소폭포 일원 | 2020. 4. 20. | ||
117 | 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 2020. 9. 2. | ||
118 | 서울 성북동 별서 | 2020. 9. 2. | ||
119 | 장흥 천관산 | 2021. 3. 8. | ||
120 | 울주 반구천 일원 | 2021. 5. 4. | ||
121 | 고흥 지죽도 금강죽봉 | 2021. 6. 9. | ||
122 | 완주 위봉폭포 일원 | 2021. 6. 9. | ||
123 | 부안 우금바위 일원 | 2021. 6. 9. | ||
124 | 칠곡 가산바위 | 2021. 9. 9. |
3.3. 지정번호 폐지 이후
<rowcolor=#fff> 명칭 | 지정일자 | 해제일자 | 비고 |
포항 보경사 내연산 폭포 | 2021. 12. 3. | ||
고창 병바위 일원 | 2021. 12. 7. | ||
삼남대로 갈재 | 2021. 12. 8. | ||
삼남대로 누릿재 | 2021. 12. 8. | ||
백운산 칠족령 | 2021. 12. 8. | ||
창녕 남지 개비리[12] | 2021. 12. 8. | ||
관동대로 구질현 | 2022. 1. 12. | ||
영덕 옥계 침수정 일원 | 2022. 2. 25. | ||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 | 2022. 11. 11. | ||
여수 금오산 향일암 일원 | 2022. 12. 20. | ||
연천 재인폭포 | 2023. 8. 8. | ||
곡성 함허정 일원 | 2023. 12. 28. | ||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 2023. 12. 28. | ||
영광 불갑사 산지 일원 | 2024. 2. 19. |
[1]
예전 지명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다.
[2]
사적 제503호 '법주사'와 명승 제61호 '법주사 일원'으로 분리되었다.
[3]
사적 제504호 '해인사'와 명승 제62호 '해인사 일원'으로 분리되었다.
[4]
유일하게 관리단체가 복수로 되어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경기도
고양시)
[5]
여기서 쟁이는 성(城)을 뜻하며, 즉 숲+성이다. 포구와 마을의 방풍림 역할을 한다.
[6]
비리는 벼랑을 뜻한다.
영강의 협곡과 벼랑 위를 따라 나있는 좁은 벼랑길이다.
[7]
옛 사적 제303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8]
옛 사적 제432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9]
1992년에 사적 제378호에 지정되었다가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 제35호로 재지정되었다. 명승으로 지정될 당시의 근거는
철종때의 이조판서 심상응의 별장이라는 점이었는데 2019년에 이곳이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후 이 심상응에 대한 실존 여부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조사 결과 이 사람이 허구의 인물임이 밝혀지면서 문화재적 가치를 재평가하게 되었다. 조사 결과
고종때의 내시 황윤명의 별서였다는 기록이 발견됐고 몇 안남은 민가의 정원이라는 점이 반영되어 제35호에서는 해제되면서 명승 제118호 '성북동 별서'로 재지정되었다.
[10]
옛 사적 제462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11]
옛 사적 제304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12]
개는 물가를 뜻하며 비리는 벼랑을 뜻한다. 남지 가장 자리의 벼랑길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