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5:54:54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1 노이어 · 2 뤼디거 · 3 라움 · 4 · 5 그로스 · 6 키미히 · 7 하베르츠 · 8 크로스 · 9 퓔크루크 · 10 무시알라
11 퓌리히 · 12 바우만 · 13 뮐러 · 14 바이어 · 15 슐로터베크 · 16 안톤 · 17 비르츠 · 18 미텔슈테트
19 사네 · 20 헨릭스 · 21 귄도안 · 22 테어 슈테겐 · 23 안드리히 · 24 코흐 · 25 엠레 잔 · 26 운다브
파일:UEFA EURO GER.png 율리안 나겔스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DEN.png 매즈 부트게라이트 · 파일:UEFA EURO GER.png 벤자민 글뤼크 · 파일:UEFA EURO GER.png 잔드로 바그너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Fritz-Walter-stiftung.png
베스트팀
}}} ||
파일:Maximilian Mittelstädt EURO 2024.png
UEFA 유로 2024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No. 18
<colbgcolor=#fff><colcolor=#d30029> VfB 슈투트가르트 No. 7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Maximilian Mittelstädt
출생 1997년 3월 18일 ([age(1997-03-18)]세)
베를린주
국적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80cm / 체중 71kg[1]
포지션 레프트백, 윙백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fff><colcolor=#d30029> 유스 SC 슈타켄 ( ~2010)
헤르타 첼렌도르프 (2010~2012)
헤르타 BSC (2012~2015)
선수 헤르타 BSC (2015~2023)
헤르타 BSC II (2015~2018)
VfB 슈투트가르트 (2023~ )
국가대표 7경기 1골[2] ( 독일 / 2024~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d30029> 등번호 <colbgcolor=#fff,#191919> 독일 대표팀 - 18번
헤르타 BSC - 17번, 34번
VfB 슈투트가르트 - 7번
후원사 나이키
}}}}}}}}} ||

1. 개요2. 클럽 경력
2.1. 헤르타 BSC
2.1.1. 2019-20 시즌2.1.2. 2020-21 시즌2.1.3. 2021-22 시즌2.1.4. 2022-23 시즌
2.2. VfB 슈투트가르트
2.2.1. 2023-24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독일 국적의 VfB 슈투트가르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레프트백.

2. 클럽 경력

2.1. 헤르타 BSC

2016년 3월 2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경기에서 분데스리가에 데뷔했다. 이후 교체로 간간히 나오다 2018-19 시즌부터 준주전으로 뛰었다.

2.1.1. 2019-20 시즌

2019-20 시즌에도 주전으로 출전했으며, 가끔 호러쇼를 펼치는 경기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준수한 폼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존 주전이었던 마르빈 플라텐하르트를 밀어냈다.

2.1.2. 2020-21 시즌

2020-21 시즌 주전으로 출전했으나 좋지 못한 경기력을 자주 보여주었다. 결국 7라운드부터 마르빈 플라텐하르트에게 밀렸으나 플라텐하르트 역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자 다시 주전으로 출전했다. 하지만 여전히 경기력은 썩 좋지 못했다.

2.1.3. 2021-22 시즌

플라텐하르트와 계속 번갈아 출전하며 주전 경쟁을 했으며, 멀티 플레이어라는 장점 덕분에 많이 출전하긴 했으나 폼이 좋진 못했다. 후반기 우니온 베를린전에서는 1-4로 패하고 팬에게 "너는 그 유니폼을 입을 자격이 없으니 벗어두고 가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하지만 동료들에게만 그 말을 전했을 뿐 언론에도 밝히지 않고 혼자 묻었다. 이후 SNS 활동도 그만둔 채 팀의 잔류에 집중했고, 다행히 헤르타는 강등되지 않았다.

2.1.4. 2022-23 시즌

2023년 1월, 2027년까지 계약 기간을 연장했다.

하지만 헤르타가 이번 시즌에는 결국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

2.2. VfB 슈투트가르트

2023년 여름, 지난 시즌 겨우 분데스리가 잔류에 성공한 VfB 슈투트가르트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약 3m. 이로써 유소년 시절부터 약 11년 간 몸 담았던 헤르타를 떠나게 되었다. 계약 기간은 3년.

2.2.1. 2023-24 시즌

이번 시즌 돌풍을 보여주고 있는 팀과 함께 본인도 좋은 폼을 보여주는 중이다. 헤르타에서 보여준 애매한 모습은 사라지고 어느새 준수한 선수로 거듭났다.

3. 국가대표 경력

여러 독일 연령별 국가대표팀을 거쳐왔으나 성인 대표팀과는 인연이 없었다.

그러다 2023-24 시즌 슈투트가르트 돌풍의 주역으로 주목받으며 국대 승선 가능성이 언급되었고, 2024년 3월 A매치 명단에 포함되며 첫 성인 대표팀 발탁에 성공했다.

3월 24일, 프랑스전에 선발 출전하며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자책골을 넣을뻔하는 실수를 저지른 것을 제외하곤 무난한 활약을 보였다.

3월 27일, 네덜란드전에서 전반 11분 자말 무시알라의 패스를 받아 좌측 상단을 노리는 감각적인 중거리골로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3월 A매치에서 전체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폼을 유지한다면 UEFA 유로 2024에서 주전 자리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조별 리그 2차전 헝가리전에서 일카이 귄도안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2-0 승리에 기여했다.

4. 플레이 스타일

헤르타 시절에는 레프트백 윙백, 윙어 중앙 미드필더까지 소화하면서 뭔가 애매하면서 설익은 경기력으로 만년 유망주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슈투트가르트 이적 이후 잠재력이 폭발하며 분데스리가 정상급 기량을 지닌 풀백으로 거듭났다.

공격과 수비의 균형이 잘 잡힌 공수겸장형 풀백으로, 좌측에서 빠른 발과 왕성한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뛰어난 기동력을 선보이는 동시에 센스도 뛰어나서 지능적인 플레이도 능하다. 미텔슈테트는 헤르타 시절에는 좌측면 터치라인을 왕복하는 클래식한 유형의 풀백이었으나, 회네스의 슈투트가르트에서는 중앙으로 들어오면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버티드 풀백의 움직임을 가져간다. 슈투트가르트에서는 레프트 윙으로 나오는 크리스 퓌리히가 측면 터치라인 가까이에서 측면 돌파를 시도하는 스타일을 가졌기에, 미텔슈테트는 중앙으로 들어와서 빌드업을 전개하고, 중원에서 태클과 압박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며 중원 싸움에도 힘을 보탠다. 또, 퓌리히가 중앙으로 접고 들어갈 때에는 미텔슈테트가 좌측면으로 빠져서 크로스와 컷백을 올려준다.

상술한대로, 미텔슈테트는 뛰어난 기동력과 센스를 이용한 팀 플레이를 가져가는데, 기본기도 잘 갖추고 있어서 감독의 전술을 수행하는 능력이 뛰어난 축에 속한다. 미텔슈테트는 공을 다루는 기본기가 준수한 선수로, 그 중에서도 왼발 킥의 파워와 정교함이 상당히 뛰어나서 왼발 킥에서 뿌려주는 패스나, 측면에서 올려주는 크로스와 컷백의 퀄리티가 매우 뛰어나다. 전반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리버풀의 앤디 로버트슨과 유사한 면이 많지만, 로버트슨보다는 중앙 지향적인 움직임을 가져간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

7. 같이 보기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슈투트가르트 2024-25 시즌 스쿼드
1 브레틀로 · [[발데마르 안톤|2 안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4 파그노만 · 6 슈틸러 · 7 미텔슈테트 · 8 미요 · 9 기라시
10 정우영 · 14 실라스 · 15 슈텐첼 · 16 카라초어 · 18 레벨링 · 20 스테르기우
23 자가두 파일:부상 아이콘.svg · 26 운다브 · 27 퓌리히 · 28 나르티 파일:부상 아이콘.svg · 29 루오 · 33 뉘벨
40 라이문트 · 41 자이멘 · 42 쇼크 · 46 디베네데토 파일:부상 아이콘.svg · # 볼테마데 # 카이텔
# 딜 # 드를랴차 · # 샤보 · # 리더 # 헨드릭스 # 크레치히
파일:UEFA GER.png 제바스티안 회네스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슈투트가르트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VfB 슈투트가르트 2024-25 시즌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독일 국기.svg GK 파비안 브레틀로 Fabian Bredlow
2 파일:독일 국기.svg DF 발데마르 안톤 Waldemar Anton 주장
4 파일:독일 국기.svg DF 요샤 파그노만 Josha Vagnoman
6 파일:독일 국기.svg DF 안젤로 슈틸러 Angelo Stiller
7 파일:독일 국기.svg DF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Maximilian Mittelstädt
8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엔조 미요 Enzo Millot
9 파일:기니 국기.svg FW 세루 기라시 Serhou Guirassy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정우영 Jeong Woo-Yeong
14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FW 실라스 Silas Katompa Mvumpa
15 파일:독일 국기.svg DF 파스칼 슈텐첼 Pascal Stenzel
16 파일:독일 국기.svg DF 아타칸 카라초어 Atakan Karazor
17 파일:일본 국기.svg MF 하라구치 겐키 Genki Haraguchi
18 파일:독일 국기.svg FW 제이미 레벨링 Jamie Leweling
20 파일:스위스 국기.svg DF 레오니다스 스테르기우 Leonidas Stergiou
23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단악셀 자가두 Dan-Axel Zagadou
25 파일:독일 국기.svg MF 릴리안 에글로프 Lilian Egloff
26 파일:독일 국기.svg FW 데니스 운다브 Deniz Undav [c]
27 파일:독일 국기.svg FW 크리스 퓌리히 Chris Führich
28 파일:독일 국기.svg MF 니콜라스 나르티 Nikolas Nartey
29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앙토니 루오 Anthony Rouault [d]
32 파일:독일 국기.svg MF 로베르토 마시모 Roberto Massimo
33 파일:독일 국기.svg GK 알렉산더 뉘벨 Alexander Nübel [f]
40 파일:독일 국기.svg FW 루카 라이문트 Luca Raimund
41 파일:독일 국기.svg GK 데니스 자이멘 Dennis Seimen
42 파일:독일 국기.svg GK 플로리안 쇼크 Florian Schock
46 파일:독일 국기.svg MF 사무엘레 디베네데토 Samuele Di Benedetto
# 파일:독일 국기.svg FW 닉 볼테마데 Nick Woltemade
# 파일:독일 국기.svg MF 야니크 카이텔 Yannik Keitel
# 파일:독일 국기.svg FW 유스틴 딜 Justin Diehl
# 파일:독일 국기.svg GK 슈테판 드를랴차 Stefan Drljaca
# 파일:스위스 국기.svg MF 파비안 리더 Fabian Rieder [4]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DF 라몬 헨드릭스 Ramon Hendriks
# 파일:독일 국기.svg DF 프란스 크레치히 Frans Krätzig [5]
구단 정보
감독: 제바스티안 회네스 / 홈구장: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

[c]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임대 [d] 툴루즈 FC에서 임대 [f]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임대 [4] 스타드 렌 FC에서 임대 [5]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임대

}}}}}}}}} ||



[1] VfB 슈투트가르트 공식 프로필 [2] 2024년 6월 24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