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8 14:24:11

카봇 마하피스

마하피스에서 넘어옴
파일:카봇로고.png
《헬로 카봇》에 등장하는 카봇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기 등장 카봇 펜타스톰
( 에이스)
( 프론)
( 댄디)
( 스카이)
( 스톰)
호크 -
2기 등장 카봇 로드 세이버
( 아티)
( 마이스터)
( 세이버)
삼총사
(나이트)
(루크)
(폰)
트루 - -
3기 등장 카봇 마이티 가드
(레디)
(큐어)
(가드)
(헬프)
K-캅스
(스피드)
(썬더)
(터보)
(캅스)
골드렉스
제트렌 우가바 킹가이즈
4기 등장 카봇 슈퍼 패트론
카봇 패트론 S
(패트론)(스키드)
카봇 다이어 EX
(다이어)(리프)
5기 등장 카봇 하이퍼 빌디언 아머다이저
( 킹다이저)
( 아머포스)
빌디언
프라우드 제트
(프라우드)(제트)
스타 블래스터
(스타비)(블래스터)
( 듀크)
( 크랜)
오토소닉 비트런 메가볼드
마하피스
브레이피스
브레이로드
마하로드
-
6기 등장 카봇 아이언트 컨버스터 럭키펀치
(럭키)
(펀치)
아이누크 스타피너 -
7기 등장 카봇 스피너블 버디가드 메디언트
파이언트 앵그리퍼프 유니크루저
제트크루저 라이캅스 -
8기 등장 카봇 테크노마스터 - -
9기 등장 카봇 파워크루저 - -
10기 등장 카봇 티로/마이티로 가디언트
(덤피)(브로피)
자이언트 로더
(로더)
(소닉붐)
(페이저)
잭슈트 뱅 페로 뱅 나노티스 뱅
썬런 뱅 호스퍼스 뱅 자크레인 뱅
자크 뱅
11기 등장카봇 저스포스 레드와일러 나이트호퍼
샌드버스터 맥스도저 록캔
베어하이더 이글하이더 킹가이더
(핫가이더)
(쿨가이더)
12기 등장카봇 라란자 스크류붐바 파워붐바
하이퍼 캅스
(드로캅)
(이그리붐)
(푸르디붐)
(서포티붐)
도저밤밤 레미밤밤
아레스밤밤 드릴버스트 스톰다이버
포레밤밤 큐어밤밤 -
13기 등장카봇 윙버드 젬 토터 젬 디고베어 젬
인피니툴
(톡시 젬)
(캥복스 젬)
(로어 젬)
(스나이퍼 젬)
일렉트롬 레포스
사파리세이버
(타이거붐)
(호크하이)
(드럼킹)
(스터번)
(하울러)
- -
14기 등장 카봇 라이프 X 빅터 -
15기 등장 카봇 스타가디언
(폴리스타)
(스카이스타)
(파이어스타)
(아이언스타)
- -
쿵 시리즈 티라쿵 프테라쿵 트리쿵
브라키쿵 모스쿵 스밀로쿵
스테쿵 피노쿵 모사쿵
플레쿵 안킬로쿵 랩터쿵
아르케쿵 프테라드롭쿵 이구아드롭쿵
파라사쿵 디메트로쿵 아르시노쿵
딜로포쿵 파키케쿵 고람빅쿵
(고르고)(람포린)
브론테로빅쿵
(브론토)(프테로)
- -
유니티 시리즈 에반프라임 드라고닉스 메타팔콘
테로프라임 미리내프라임 베노사프라임
가고토스프라임 피닉스프라임 디스크캐논프라임
카이온프라임 독꼬리프라임 무간프라임
그리핑크스프라임 모:반
(레이저)
(레이저 카고)
울티맥스
(티엠피)
(정글러)
분홍색 글씨는 여성 카봇.
황금특공대 · 카봇 X · 올스타
극장판 등장 카봇 일람
}}}}}}}}} ||

파일:카봇로고.png
헬로 카봇 5기 카봇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하이퍼 빌디언
빌디언 듀크 크랜
프라우드 제트 스타 블래스터
프라우드
제스티
블래스터
스타비

메가볼드 비트런 오토소닉

아머다이저
킹다이저 아머포스

브레이로드
마하로드
마하피스
브레이피스
브레이브로드마하피스
← 4기 등장 카봇 6기 등장 카봇 → }}}

1. 개요2. 작중행적
2.1. 5기2.2. 타 시즌


파일:ScreenShot2018_0120_181249091.jpg
파일:카봇 브레이피스.jpg
Carbot Mahapeace[1]
Carbot Brarpeae
마하: "나는 마하, 세상의 모든 소식을 전해주지. 마하가 전하는 오늘의 소식!"
피스: "나는 자연과 평화를 사랑하는 카봇, 피~스!"
"마하피스(브레이피스), 플러스!"[2]
마하 성우 위훈.[3][4]
피스 성우 김두용[5].

1. 개요

5기 40화에 등장하는 카봇이며. 스포츠카 '마하'와 픽업트럭 '피스'가 합체한 형태로 원액션 합체카봇이다. 구성원인 마하는 카봇 세계관의 소식을 전하는 것을 주로 하며[6], 피스는 이름 그대로 평화를 사랑하는 성격이다.

무기는 피스의 적재함에 장착된 머신건이 변형한 1쌍의 해머인 '피스 해머'로[7] 피스 해머를 이용한 기술로는 지면을 난타하여 자신을 중심으로 원형의 충격파를 일으키는 '마하피스 난타'와 정면에 에너지 북인 'EM 드럼'을 생성한 뒤 그 북을 힘차게 두들겨 고출력의 전자파를 발사하여 상대를 마비시키는 ' 신문고'가 있으며, 그 외의 기술로는 분신술이 있다.[8]

합체 방식은 바이클론즈의 허리케인, 에어로 &이클립스, 고스트, 과거 좌우합체 개념로봇인 용신로보[9]와 같은 가변합체로, 합체 위치가 위/아래인 걸 빼면 동일. 트랜스포머 에너존의 합체 시스템과 유사하다.[10]

피스의 경우, 브레이브와 합체하면 브레이피스가 되며, 브레이브와 합체한후 자신의 무장과 기술을 계승해 기존 마하피스보다 파워적인 성향을 보인다.[11] 마침 브레이피스의 인격도 피스가 맡아서 더 그렇다.

2. 작중행적

2.1. 5기

40화에선 오토소닉과 함께 E라인을 저지한다. 여기서 마하는 차탄을 처음 만나 반갑다며 마하하하...

41화에선 새로운 카봇 브레이로드와 함께 숲을 지킨다. 그리고 그 전에 에이스와 호크가 싸웠고, 서로 말도 안한다는 소식을 전했다.[12][13]

42화에선 브레이로드와 함께 탐정 수사를 한다. 마하가 한 일은 중간에 등장하여, 분신술로 혜리의 매니저를 차로 도주하지 못하게 막은 것. 그리고 피스는 미등장.

43화에선 마하로드/브레이피스로 짝꿍을 바꾸면서 찌릿봇을 물리친다.

45화에선 피스가 브레이브와 합체하면서 등장, 메가볼드와 함께 사라진 차를 되찾는다.

46화에선 T라인과 TT단이 훔쳐간 성화를 되찾는다. 그라고 이 편은 가변합체 카봇들 중 마하의 비중이 가장 낮은 편.

48화에선 프라우드 제트, 브레이로드와 같이 사막마을 아이들의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걸 도운다.

49화에선 오토소닉, 메가볼드와 함께 E라인을 저지한다. 각 카봇이 여러가지로 분담을 할 때 마하피스는 변신을 제대로 못하는 메가볼드의 변신을 도와주고, 메가볼드가 피니셔를 원활히 수행하게끔 하기 위해 잠시 분리하여 자체 공격[14]으로 찌릿봇의 내부 손상을 유도했다.

51화에선 문화재를 지킨다. 정확히는 문화재 내부에 득실거리는 흰개미를 퇴치하는 것이며, 나중에 브레이피스로 변한 후 흰개미에 의해 몸이 가려워지자 마하로드가 분신술로 브레이피스의 몸을 긁어줬다(이 때 놓쳤던 브레이피스의 망치를 사용). 다만 의외로 과격했기에 나중에 마하로드가 가려움증을 느끼자 반대로 해결.물론 이쪽도 필살기를 써서 과격한 건 똑같다. 아니, 마하로드보다 더한 것이 기껏 흰개미를 쫓아냈음에도, 그걸 잡는건 자기에게 당한 마하로드에게 알아서 하라고 얘기하는 것이 압권이다.

52화(최종편)에선 브레이로드와 같이 화재현장 사건을 해결한다. 이 중 마하피스는 자신의 기술들을 활용해 화재진압을 맡았으며,[15] 브레이로드는 무너진 잔해를 치우고 중간에 무모하게 인명구조를 하다 위험하게 된 정대기 기자를 구하기도 했다.[16]

2.2. 타 시즌

6기에선 25화에서 등장한다.[17] 브레이로드, 스타피너와 같이 수송기 돌핀의 원활한 착륙을 위해 무인도를 개간해 활주로를 만든다. 단, 피스는 등장하자 마자 마하와 합체한 지라 단독비중은 없었다.[18] 이전에도 해당 멤버들 중 피스만 빠진 편도 있다보니 피스의 비중은 같은 하체를 맡는 로드와 같이 개인 비중이 적은 셈.

쿵 시리즈 9화에서 마하가 등장. 로드와 같이 불량주차를 일삼는 사람을 혼내주어[19] 일반 주차장에 제대로 주차하게 한다.


[1] 원래 마하의 뜻 특히 스피드용 철자는 Mach지만, 완구에서는 Maha로 표기했다. [2] 기본적으로 메인 인격인 마하가 외치지만, 5기 최종화에선 마하와 피스가 합체할 때 피스가 외쳤다. 다만 피스는 현 시점에선 저 합체구호와 등장 소개구호가 마지막 대사다. [3] 제트렌과 달리 약간 이인성 성우하고 비슷하다 [4] 먼저 맡은 카봇인 제트렌이 5기 15화 이후 부재하게 된 상황에서 맡은 헬로카봇의 2번째 고정배역. 제트렌과 달리 톤이 높고, 자신만의 말버릇이 따로 있기에 두 캐릭터가 만난다 해도 크게 겹치지는 않는다. [5] 가변합체 카봇 중 위훈과 마찬가지로 최연장자다. [6] 이 외의 말버릇은 "?? 한다면, ?? 해야 하는 법!"이 있다. 그리고 가끔 웃을 때는 '마하하하' 거린다. [7] 피스 단독으론 이걸 이용해 원거리 공격을 주로 한다. [8] 본의 투명화와 더불어 그나마 해당 카봇만 쓰는 양심적인 기술이였다(현재는 나노티스 뱅과 나이트호퍼가 사용했다. 특히 카봇 자체 성능만 보면 완벽한 단일로봇인 나이트호퍼가 더 적절해진 상황. 반대로 나노티스 뱅은 그걸 쓴 것이 자신의 본편 마지막 등장에서 쓴 게 유일하다.). 물론 분신은 마하 단독으로도 쓸 수 있지만, 단독 변신을 못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9] 용신로보는 남성형인 빙룡, 염룡, 풍룡, 뇌룡이 고정적으로 정해진 합체 외에 서로 바꿔서 합체하는 것도 가능. [10] 피스와 합체시 상성컬러 조합이며, 로드와 합체하면 보색조합이다. [11] 필살기인 신문고 사용시 "자연의 힘을 모아, 모아! 모아서!"라는 대사를 먼저 한다. [12] 에이스 호크가 오랜만에 언급되었다. 5기 48화에서도 차탄이 얼음 미끄럼틀을 탈 때도 에이스가 언급된다. [13] 덤으로 숲을 무단으로 개간하려는 재벌은 쿵 시리즈에서 디자인이 재활용된다(9화, 26화). [14] 마하는 분신술을 써서 유인, 공격은 피스가 했다. [15] 특히 분신을 생성한 후 본체와 분신 둘과 같이 합쳐서 카봇 삼총사의 바람개비를 재현한 것이 압권. [16] 다만 여기서 정대기 기자는 다리를 삐는 바람에, 중계를 수지가 대신했다. 정확히는 수지가 기자 지망생을 꿈꾸고 있었으나, 정작 시험엔 실패하여 좌절하던 중이었지만. [17] 이때 마하가 오랜만에 등장하니 떨린다고 말한 바 있었으며, 이는 나중 시즌인 10기 25화에서 제트렌의 재등장 대사로도 쓰였다. 물론 마하와 제트렌의 목소리를 모두 위훈이 맡았기에 가능한 것. [18] 첫 등장도 마찬가지로 나오자 마자 바로 마하와 합체해서 개인 비중이 적었다. [19] 이전에 알카봇들(브라키쿵, 트리쿵, 모스쿵)이 억지로 옮겨두는 걸로도 답이 없다보니 차탄이 지원요청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