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4 11:13:16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라틴어: Marcus Valerius Maximianus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출생지 로마 제국 판노니아 속주 포에토비움(현재 슬로베니아 프투이)
사망지 미상
지위 에퀴테스
국가 로마 제국
가족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아버지)
울피아 아리스토니카(아내)
직업 로마 제국 아프리카 총독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의 군인, 정치인. 마르코만니 전쟁에서 활약해 출세를 거듭한 끝에 아프리카 총독까지 오른 인물이다.

2. 생애

파일:디아나 베테라노룸의 막시미아누스 비문.gif

고대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 도시였던 디아나 베테라노룸(Diana Veteranorum: 현재 알제리 아인 자나)에서 발견된 비문에 그의 행적이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그는 로마 제국 판노니아 속주의 포에토비움의 에퀴테스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는 포에토비움의 행정관이자 사제였다. 그는 고향에서 사제 직책을 맡다가 트라키아 제1 코흐트의 지휘관에 부임하면서 군인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트리부누스 밀리툼 신분으로 시리아에 주둔한 제1 하미오룸 코호트를 지휘했으며, 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이 치러지는 동안 흑해 남부 해안을 따라 로마 보급선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때 임무를 잘 수행했는지, 비문에 따르면 전쟁이 끝난 뒤 훈장을 수여받았다고 한다.

파르티아와의 전쟁이 끝난 뒤 몇 년간 별다른 경력이 전해지지 않는데, 아마도 고향에 돌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마르코만니 전쟁이 한창이던 169년 판노니아 전선에 투입되어 다뉴브 강을 따라 보급품을 나르는 수송선을 게르만족으로부터 지켜내는 임무를 수행했다. 그는 이 임무를 위해 미셀룸과 라벤나에 주둔한 두 개의 주요 함대의 지휘권을 맡았고, 무어 및 아프리카 기병대를 이끌어 보급선 주변 지역을 정찰하는 역할도 맡았다. 이 임무를 잘 수행한 그는 제1 히스파니아 아레바코룸 부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이 부대는 히스파니아 속주에 거주하는 아레바키족으로 구성된 보조부대로, 마르코만니 전쟁 당시 판노니아 상부 지역에 주둔했다.

173년경, 막시미아누스는 제1 히스파니아 아레바코룸 부대를 이끌고 게르만족 중 하나인 나리스티(Naristi) 족과 맞붙어 족장 발라오(Valao)를 주살했다. 비문에 따르면, 그는 군대 앞에서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로부터 공개적으로 칭찬받았고 패배한 적의 말, 무기, 그리고 팔레라(Phalera: 귀금속으로 제작된 군용 장신구)를 수여받았다고 한다. 그 후 제 1 울피아 콘타리오룸 보조부대의 지휘관으로 부임하여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175년에 다시 훈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켄테나리우스(centenarius) 계급으로 진급하고 로마군에 투항한 마르코만니, 나리스티, 콰디족 기병으로 구성된 기병대 지휘관이 되었다. 그는 이들을 이끌고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의 반란을 분쇄하기 위해 동방으로 파견되었다가 카시우스가 반란을 일으킨 지 3개월만에 부하에게 살해당하면서 반란이 종식되자 다뉴브 전선으로 돌아왔다.

파일:트렌친의 막시미아누스 비문.jpg

176년에 하부 모이시아 총독으로 부임하여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한편, 마케도니아 및 트라키아 등지에서 날뛰고 있던 브리세이(Brisei) 산적들을 토벌하고 포로로 잡힌 브리세이인들을 로마군에 편입시켰다. 이후 상부 모이시아에서 감찰관을 수행했고, 뒤이어 다키아 포로리센시스(Dacia Porolissensis) 속주에서 감찰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콤모두스가 공동 황제로 군림하던 시기에 원로원 의원으로 발탁된 데 이어 법무관으로 선임되었고, 상부 판노니아 속주에 주둔한 제1 아디우트릭스 군단의 사령관이 되었다. 뒤이어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속주에 주둔한 제2 아디우트릭스 군단의 레가투스가 되어 179년과 180년 사이에 라우가링시오(현재 슬로베니아 트렌친 인근)에서 콰디족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고 겨울을 그곳에서 보냈다. 이 사실은 트렌친에서 발견된 비문에서 확인되었다.

이후 다키아 포로리센시스의 제5 마케도니카 군단,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제1 이탈리카 군단, 다키아의 제13 게미나 군단의 사령관을 잇따라 역임했다. 제13 게미나 군단장으로서 아폴리움 인근에 미트라에게 바친 비문이 발견되기도 했다. 디아나 베테라노룸의 비문에 따르면, 그는 182년경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클로디우스 알비누스가 이끄는 로마군과 함께 다뉴브 강과 다키아 속주 사이에 살고 있는 부리족 등 '자유 다키아' 부족들을 향한 공세를 펼쳐 그들을 복속시켰다고 한다. 당시 로마 황제였던 콤모두스는 이 승리를 근거로 '게르마니쿠스 막시무스' 칭호를 받았고, 그는 황제로부터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 후 아프리카 총독으로 부임하는 동시에 제3 아우구스타 군단의 사령관이 되었다. 북아프리카의 여러 비문에서 그를 기리는 비문이 세워졌는데, 그 중 일부 비문에서는 그를 " 집정관"이라고 묘사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콤모두스로부터 궐석 상태에서 집정관 직책에 선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지만, 역대 집정관 목록이 적힌 관보에서는 그에 관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그가 언제까지 아프리카 총독을 맡았고 언제 사망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그에 관한 비문에는 아내로 울피아 아리스토니카(Ulpia Aristonica)를 두었다고 기술되었지만, 자녀는 언급되지 않았다.

3. 여담

영화 글래디에이터의 주인공 막시무스 데시무스 메리디우스의 모델이라는 설이 있으나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