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1:28:36

로잘린드 프랭클린

로절린드 프랭클린에서 넘어옴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 예수의 테레사 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 베나지르 부토 예카테리나 2세 캐시 프리먼 서태후
클레오파트라 코라손 아키노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 에디트 크레송 엘레오노르 다키텐 엘리너 루스벨트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 엘런 존슨 설리프 에바 페론 골다 메이어 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 하트셉수트 인디라 간디 이사벨 1세 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 칼레다 지아 킴 캠벨 마거릿 대처 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미첼 바첼레트 미셸 오바마 박근혜
잔 다르크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쑹메이링 탄수 칠레르 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 빅토리아 여왕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비올레타 차모로 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 어밀리아 에어하트 바버라 매클린톡 캐롤라인 허셜 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히파티아 제인 구달 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 마거릿 미드 마리아 미첼 마리 퀴리 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 로잘린드 프랭클린 사카자위아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코코 샤넬 도로시아 랭 프리다 칼로 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 쿠사마 야요이 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 앤절라 데이비스 앤 로이페 아얀 히르시 알리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 그레타 툰베리 제인 폰다 주디 시카고 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수잔 팔루디 타우왁쿨 카르만 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 마거릿 생어 마리아 몬테소리 해리엇 터브먼 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에멀린 팽크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 제인 오스틴 사포 버지니아 울프 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헬렌 켈러 J. K. 롤링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 안네 프랑크 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 빌리 진 킹 파니 블랑커스쿤 재키 조이너커시 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 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 엘라 피츠제럴드 캐서린 헵번 마돈나 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 오프라 윈프리 사라 베르나르 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 바바라 조던 캐롤 모즐리 브라운 엘리자베스 워런 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 해티 캐러웨이 힐러리 클린턴 저넷 랭킨 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 넬리 테일로 로스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셜리 치점 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 앨리스 스톤 블랙웰 캐리 채프먼 카트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 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프랜시스 하퍼 프랜시스 윌러드 해리엇 스탠턴 블래치 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 아이다 벨 웰스 제인 애덤스 줄리아 워드 하우 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 루시 번스 루시 스톤 메리 처치 테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 밀리센트 포셋 소저너 트루스 수전 앤서니 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
로잘린드 프랭클린
Rosalind Franklin
파일:로잘린드 프랭클린.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본명 로잘린드 엘시 프랭클린
Rosalind Elsie Franklin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20년 7월 25일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런던 노팅 힐
사망 1958년 4월 16일 (향년 37세)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런던 첼시
직업 생물물리학자
분야 물리화학, 엑스선결정학
모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뉴넘 컬리지 ( Ph.D.)
경력 킹스 칼리지 런던 (선임연구원)[1]
버크벡 런던 대학교 (선임연구원)
종교 무종교( 불가지론)

1. 개요2. 탄소연구3. DNA 발견 관련 이야기4. 바이러스 연구5.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생물 물리학자. 20세기 유전학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으로 평가받는 DNA의 구조가 이중나선구조라는 사실을 발견한 데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나 당시에는 묻혀졌던 과학자다.[2]

제임스 왓슨의 저서 <이중나선>을 통해 사진51과 관련된 업적이 알려져 세간에는 비운의 과학자로 자리매김 했는데 사실 DNA 사진은 프랭클린 업적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학계에서는 흑연과 바이러스에 관련된 연구로 더욱 유명하다.

2. 탄소연구

1953년 발표한 연구[3]를 통해 이흑연화성 탄소재료 난흑연화성 탄소재료의 구조해석과 정의를 이끌어냈다.

또한 인조흑연,천연흑연의 결정구조를 분석해냈다.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연구는 탄소재료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 이 논문들은 탄소 연구의 기본으로서 리튬이온전지의 발명,탄소 나노튜브,그래핀의 발견 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연구들이기 때문이다. #

3. DNA 발견 관련 이야기

프랭클린은 1950년 킹스 칼리지 런던 산하 랜달 연구소( Randall Centre for Cell & Molecular Biophysics)에 합류하게 된다. 1952년 X선 회절 실험을 계속 하던 중 B형 DNA 사진 중 가장 선명하게 찍힌 51번 사진을 찍게 되는데 프랭클린은 A형 DNA에 대해 더 연구하고자 했고 그녀의 발견을 정리하는 논문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이 사실을 밝히는 것을 잠시 미뤄두었다. 그런데 모리스 윌킨스가 프랭클린의 이 51번 사진을 프랭클린의 허락 없이 제임스 왓슨 프랜시스 크릭에게 보여주게 되었고,[4] 왓슨은 그 사진을 보고 DNA가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신하게 되고 크릭과 함께 DNA의 이중나선형 구조에 대한 논문을 써 프랭클린의 사진이 발표되는 1953년 4월 25일 네이처에 게재해 공로를 선점하는데 성공한다. 이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NA 문서 참고.

이 때문에 프랭클린의 연구업적이 왓슨과 크릭에 의해 도둑맞았다라는 인식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5] 왓슨과 크릭은 프랭클린의 자료를 보기 전에 이미 이론을 완성한 단계였고 이를 입증할 증거 마련에 고심 중이었다. 그러다가 프랭클린의 자료를 보고 그것이 자신들이 그토록 고민하던 증거라는 것을 깨달았던 것이다. 이론 위주였던 이 두 사람과는 다르게 프랭클린은 실험 위주의 관점을 가졌고, 그래서 더 많은 실험을 통해 자료를 더 수집한 후 이론을 세우자는 입장이었다. 즉, 모델을 미리 만드는 것보다 객관적 증거를 먼저 모은 다음 그에 기반한 모델을 만들자는 것이 프랭클린의 입장이었다. 나중에 프랭클린은 두 사람의 모델을 보여달라고 요청했고, 그것을 검토한 후에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6]

요약하면, 프랭클린이 DNA 구조 해석에 큰 공을 세운 것은 맞지만, 그를 위한 이론을 실제로 세운 것은 왓슨과 크릭이 맞고, 프랭클린 본인은 그 입증에 필요한 증거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 증거는 프랭클린이 스스로 고안한 카메라 장치와 전문적인 해석 능력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에, 왓슨과 크릭, 프랭클린 중 어느 쪽이 더 핵심적인 기여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7] 왓슨과 크릭은 타이밍 있게 모델을 먼저 발표한 덕분에, 나중에 다른 근거들이 보충되고 모델이 보편적으로 인정받게 되었을 때 모델의 제창자로서 명성을 얻게 된 것이다. 왓슨과 크릭의 DNA 모델이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했던 상황에서 프랭클린 본인이 요절하는 바람에 그 수혜를 입지 못한 것이 비극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후 1953년 3월에 프랭클린은 버크벡 런던 대학교로 옮겨 연구자로서 커리어를 계속 이어나가게 된다.[8] 버크벡 런던 대학교에서 17편이나 되는 논문을 썼고 최초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가운데 구조가 빈 튜브 모양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 하지만 1956년 그녀는 난소암에 걸렸고 결국 투병한 지 2년 후인 1958년에 37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게 된다. 그리고 몇 년 후인 1962년, 프랭클린은 사망해 노벨상을 받지 못했고[9] 대신 프랜시스 크릭 제임스 왓슨, 그리고 공동저자가 된 모리스 윌킨스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원칙적으로 노벨상의 공동수상은 평화상을 제외하면 3명이 최대이기에 이때 로잘린드가 살아있었다면 윌킨스의 자리에 프랭클린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4. 바이러스 연구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인류 최초로 바이러스 구조를 규명해냈다.

5. 여담



[1] King's People - Rosalind Franklin 참고 [2] 동시대에 비슷한 일을 겪은 영국 여성 물리학자로 조셀린 벨 버넬도 있다. 이쪽의 업적은 천체물리학( 펄사 발견). [3] Graphitizing and Non-Graphitizing Carbon Compounds. Form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Brennstoff-Chemie, 1953, 34, 359–361 [4] 당시 프랭클린은 버크벡 칼리지로 옮기기로 이미 결정하고 그 때까지의 연구자료를 당시 소속이었던 킹스칼리지 연구소로 넘기는 과정이었다. 원래 과학 연구계에서 업적은 개인에게 남더라도 자료의 소유권은 연구소에 남는다. 그래서 프랭클린의 동료였던 윌킨스가 자료를 그 둘에게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일단 자료 자체는 프랭클린 본인의 노력과 전문성에 의해 산출된 것이었기 때문에 논문 게재를 위한 자료 공유는 윌킨스도 거부했다. 다급했던 왓슨과 크릭은 결국 프랭클린의 논문이 실리는 시점에 맞추어 자신들의 논문을 발표하고 그 "영감"을 프랭클린의 연구에서 얻었다는 식으로 언급한다. 언급된 프랭클린의 논문을 본 사람들은 당연히 엄청난 충격과 함께 이 둘의 이론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 [5] 사실 거의 묻혀버린 프랭클린의 기여가 널리 알려지고 업적 도난의 논란을 불러일으킨 계기가 바로 왓슨 본인이 쓴 이중 나선이라는 책이었다. [6] 일부 증언에 따르면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의 모델을 두고 "참 예쁘긴 한데, 이걸 어떻게 입증할 생각일까요?"라는 평을 했다. 즉 이치는 맞지만 입증에는 한참 모자란다고 생각한 듯. 실제로 왓슨과 크릭의 모델이 과학자 일반에게 받아들여지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과 증거가 필요했다. 링크 [7] 단 해석능력에 관해서는 오히려 왓슨과 크릭(정확하게는 크릭만) 쪽도 충분히 뛰어났거나 오히려 더 나았을 수 있다. 크릭은 회절 사진을 보자마자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했으나,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본인이 작업한 작업물임에도 그 부분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 [8] Turner & Newall 펠로우십이 만료되면 킹스 칼리지 런던을 떠나야 하는 것은 이미 기정 사실이었지만 킹스를 떠나야 한다는 것에 대해 꽤 낙담한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 프랑스 파리에 있는 동료에게 보낸 편지에 다음과 같은 심경을 남겼다.
"moving from a palace to the slums ... but pleasanter all the same" #출처

여담으로 윌킨스는 프랭클린이 사사건건 자신의 연구를 방해한다고 생각했고, 이로 인해 프랭클린과의 관계가 별로 좋지 못했다. 참고로 윌킨스는 당시 교수 신분이었고 랜달 연구소 안에서 (직책상) 선임연구원이었던 프랭클린의 상관이었다.
[9] 사후에는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는다. [10] 상당한 바람둥이였는데, 로잘린드가 수술 직전 마음에 두고 있었다고 고백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