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9:25:11

디아블로: 헬파이어

디아블로 헬파이어에서 넘어옴
파일:diabloseriesnew.png
디아블로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min-width:300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메인 시리즈 ( +: 확장팩 및 DLC | R: 리마스터판 )
디아블로 디아블로: 헬파이어 + 디아블로 + 헬파이어 R
디아블로 2 디아블로 2: 파괴의 군주 + 디아블로 2: 레저렉션 R
디아블로 3 디아블로 3: 영혼을 거두는 자 + 디아블로 3: 강령술사의 귀환 +
디아블로 4 디아블로 4: 증오의 그릇 +
외전
디아블로 이모탈
미디어 믹스
<colbgcolor=#222>소설 <colcolor=#000,#fff> 피의 유산 · 검은 길 · 데몬베인 · 그림자의 왕국 · 거미의 달 · 죄악의 전쟁 · 호라드림 결사단 · 빛의 폭풍 · 모르베드
설정집 케인의 기록 · 티리엘의 기록 · 아드리아의 기록 · 호라드림 도서관의 이야기
애니메이션 디아블로 3: 분노 · 디아블롤스 }}}}}}}}}
헬파이어
HELLFIRE
파일:hellfirenewpackage.png
개발 시너지스틱 소프트웨어
유통 파일:attachment/newsierra.jpg
버전 1.09 Hellfire V2 (GOG.com 개선판)
플랫폼 파일:Windows 로고.svg
발매일 1997년 11월 24일
장르 ARPG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
가격 8.49 달러
링크 GOG.com 개선판
1. 개요2. 상세3. 스토리4. 추가 및 변경 요소5. 새로운 캐릭터 수도사(Monk)
5.1. 미완성 데이터

[clearfix]

1. 개요

오프닝 영상[1]

1998년에 발매된 디아블로의 비공식 확장팩.[2] 국내에도 정발되었다.

2. 상세

블리자드의 라이센스를 얻어 시에라의 하청업체인 Synergistic Software가 제작하고, 시에라 온라인이 유통한 디아블로의 확장팩. 하지만, 블리자드 공식 홈페이지에도 헬파이어 관련 이야기나 소개는 단 한 줄도 없다. 2017년 디아블로 20주년을 맞아 블리자드가 직접 정리한 디아블로의 전체 역사, 연표에도 빠져있다. 또한 헬파이어의 스토리 라인은 전혀 차기작에 계승되지 않았으며, 헬파이어의 게임 내용이나 매뉴얼 내 설정 등도 공식 설정(canon)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전반적인 그래픽이나 움직임 역시 본작과는 상당히 이질적이라 여러모로 비판을 받은 작품. 다만 게임 내부 인터페이스와 일부 맵 디자인 등의 요소에는 영향을 주었다. 그 밖에 추가 몬스터나 추가 음성 중에는 오리지널에서 미사용된 상태로 남아있던 데이터를 이름이나 용도만 바꿔서 추가해놓은 것도 있다.

본래는 블리자드의 공식 프로젝트였으나 1996년 E3에 출품된 이온 스톰[3]의 도미니언: 스톰 오버 기프트 3를 보고 충격을 먹은 블리자드가 모든 개발인원을 스타크래프트 개발에 투입하고[4] 이 프로젝트를 다른 회사에 넘겨버렸다.

블리자드의 다른 공식 게임들처럼 배틀넷을 지원하지도 않고 랜이나 모뎀을 이용한 플레이만 지원한다. 패치 역시 블리자드가 지속적으로 패치를 내며 디아블로를 관리해온 것에 비해 헬파이어의 패치는 단 한 개 뿐. 심지어 디아블로의 배틀 체스트에도 포함이 안 되어있다.

하지만 이 게임이 전혀 의의가 없는건 아니었다. 당시 인터넷 접속 기반이 열악했던 관계로 배틀넷에 접속할 수 없었던 유저가 다수 있었고, 디아블로 원본은 싱글플레이만으론 난이도 조절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한 번 클리어하면 기존의 키워둔 캐릭은 재차 플레이하기에는 너무 강해서 다시 하기에는 싱거워 재미없었지만 헬파이어를 설치하면 싱글플레이 시에도 난이도를 고를 수 있었기 때문에 게임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다.

2019년 6월에는 놀랍게도 GOG.com의 디아블로 1편 개선판에 무료 애드온으로 추가되었다.

블리자드의 다른 게임인 하스스톤에서도 디아블로 콜라보 카드 뒷면에 헬파이어 레퍼런스가 있는걸 보면 아예 없는 작품 취급하는 건 아닌 모양.

3. 스토리

한때 디아블로의 가장 심복이었던 악마 ‘ 나크룰’은 디아블로에게 반역을 일으킨 죄로 추방되어 마법으로 봉인된다. 하지만 사악한 마법사에 의해 묶여 있던 봉인이 풀리게 되고, 나-크룰과 그의 부하들은 던전으로 나오게 된다. 나-크룰은 디아블로를 누르고 지옥과 인간세계를 자신의 손아귀에 넣을 준비를 하는데 이때 새로운 영웅이 디아블로의 배경이 되는 마을로 들어오고 이들과 맞서게 된다. 따라서 헬파이어의 세계에서는 오리지널 디아블로에서 볼 수 있었던 16층의 던전과 디아블로가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나-크룰과 그의 부하들이 자리잡은 총 8층의 던전이 추가로 존재하게 된다. 게이머는 이제 강력한 두 악의 화신을 무찔러야만 한다.

4. 추가 및 변경 요소

5. 새로운 캐릭터 수도사(Monk)

세 명의 기본 캐릭터에 추가된 새로운 영웅이다. 맨손 공격이 어떤 다른 캐릭터보다 우월하며, 주무기인 스태프(Staff)로 공격하면 3방향의 적들을 모두 공격할 수 있다. 그리고 무거운 갑옷을 입으면 오히려 방어력이 떨어진다.[5] 이 캐릭터의 특성치는 힘과 마법, 유연성, 생명치에 걸쳐 고른 편이며 특히 마법과 유연성을 장점으로 한다. 각각 개발 가능한 최대치는 힘 150, 마법 80, 유연성 150, 생명치 80이다.

5.1. 미완성 데이터



[1] 참고로 영상에 나오는 사운드 중 마법사의 대사와 방이 봉인될 때의 사운드는 크립트에 등장하는 몬스터 중 하나인 리치의 음성과 단말마를 짜깁기한 것이다. [2] 헬파이어의 커버에는 'Authorized Expansion Pack'이라는 문구가 박혀있는데 이것은 '공인을 받았다'는 뜻이지 '공식(Official)'이라는 뜻이 아니다. 즉, 서드 파티의 공인받은 확장팩. 비슷한 물건인 스타크래프트: 인서렉션에도 'Authorized'라는 표현이 붙어 있지만 아무도 '공식' 후속작으로 부르지 않는다. [3] 데이어스 엑스와 희대의 괴작 다이카타나를 만든 곳으로 유명한 그 이온 스톰이다. [4] 덕분에 본디 워크래프트 2의 우주 버전 정도로 개발되던 스타크래프트는 완전히 갈아엎어져서 현재의 모습이 된다. 한편 현재의 스타크래프트가 탄생하는 데에 일조했다고도 할 수 있는 저 도미니언은 정작 발매되고 보니 그래픽만 번지르르한 똥게임이었고, 블리자드를 경악시킨 버전은 실제 인게임이 아닌 가짜로 만든 영상이었다는 후문이다. [5] 던전 앤 드래곤의 특성을 가져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