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3:45:13

서귀포운수

동서교통(서귀포)에서 넘어옴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회사
공영버스
( 제주· 서귀포)
관광지 순환버스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복리 마을버스 동진여객
삼영교통 삼화여객 서귀포운수
우도사랑
협동조합
제주여객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협회
추자교통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align=center>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000,#fff>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 인수된 순서로 분류함.
}}}}}}}}} ||
서귀포운수 주식회사
西歸浦運輸 株式會社
SEOGWIPO Transportation Co., Ltd.
파일:서귀포운수_Logo.png
설립일 2005년 10월 12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이준우[1]
주요 주주 더퍼스트지엠제6차[2]: 100%
(2023년 12월 31일 우선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70대(2023년 12월 기준)
직원 수 151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6억 1,335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147억 6,286만 8,898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2억 7,757만 286원(2023년 기준)
순이익 -12억 4,805만 8,593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54억 4,139만 9,992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68억 848만 8,585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498.03%(2023년 기준)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상로20번길 17-12 ( 토평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홈페이지[운영중단]

1. 개요
1.1. 역사1.2. 보유 차고지
2. 운행 노선
2.1. 간선버스2.2. 지선버스2.3. 심야버스
3. 면허 체계4. 사건·사고 및 문제점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5.2. 과거 보유 차량
6. 사진7. 지배구조8. 기타

[clearfix]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 업체. 2005년 10월 12일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상로20번길 17-12 ( 토평동)에 있다.

간선버스 5개 노선, 지선버스 7개 노선, 심야버스 6개 노선을 운행한다.

1.1. 역사

1.2. 보유 차고지

2. 운행 노선

2.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10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신라호텔 - 천제연폭포 - 중문우체국 - 하원동 - 서귀포버스터미널( 제주월드컵경기장) - 서귀포여자고등학교 - 제주은행(NH농협 남제주지점) - 중앙로터리 - 열린병원 - 효돈초등학교 - 공천포 - 위미문화의집 남원환승정류장
(남원읍사무소)
7~25
520 중문우체국 - 대포항 - 약천사 - 강정초등학교 - 법환초등학교 - 수모루 - 서귀포여자중학교 - 중앙로터리 - 솔동산입구 - 서귀포중학교 - 삼아아파트 - 검은여입구 - 장안그랜드빌라 - 보목신협 - 효돈중학교 쇠소깍 입구 28
521 중문우체국 - 대포항 - 약천사 - 강정초등학교 - 법환초등학교 - 서귀포여자고등학교 - 구.터미널 - 솔동산입구 - 파라다이스호텔 - 삼아아파트 - 검은여입구 - 장안그랜드빌라 - 보목신협 - 효돈중학교 60~80
531 하례환승정류장
(하례리입구)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중앙로터리 - 제주은행(NH농협 남제주지점) - 삼매봉입구 - 서귀포여자고등학교 - 서귀포버스터미널( 제주월드컵경기장) - 하원동 - 중문우체국 - 천제연폭포 - 중문관광단지입구 - 예래동주민센터 대평리 25~35
532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중앙로터리 - 제주은행(NH농협 남제주지점) - 삼매봉입구 - 서귀포여자고등학교 - 법환초등학교 - 강정초등학교 - 하원동 - 중문우체국 - 천제연폭포 - 중문관광단지입구 - 색달동 - 상예2동 - 창천초등학교 - 화순환승정류장(안덕농협) 화순리 76~90

2.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21 하례2리입구 만지동 - 신례초등학교 - 공천포전지훈련센터 - (효돈중학교) / (하효마을회관) - 감귤박물관 - 토평초등학교 -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동홍동청소년문화의집 - 동문로터리 - 제주은행 - 중앙로터리 - 서귀북초등학교 -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토평초등학교 - 감귤박물관 - (효돈중학교) / (하효마을회관) - 공천포전지훈련센터 - 신례초등학교 - 만지동 모레기도 50
623 심향사 → (휴애리 자연생활공원) → 신례초등학교 → (제주공천포 전지훈련센터)/(상위미 → 위미중학교 → 위미초등학교) → 공천포 → 하례1리사무소 → 효돈중학교 → 쇠소깍 입구 → 효돈초등학교 → (비석거리 교차로 → 제주은행 → 중앙로터리 → 주공2단지 → 토평초등학교)/(감귤박물관) → 동상효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1일 15회
624 서귀포농업기술센터 → 동상효 → (토평초등학교 → 산남새마을금고 → 중앙로터리 → NH농협 남제주지점 → 비석거리)/(감귤박물관) → 효돈중학교 → 쇠소깍 입구 → 하효마을회관 → 하례1리사무소 → 공천포 → (위미초등학교 → 위미중학교 → 상위미)/(제주공천포 전지훈련센터) → 신례초등학교 → (휴애리 자연생활공원) → 심향사 1일 15회
625 서귀포운수 차고지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동홍주공아파트 - 동문로터리 - 중앙로터리 - 서귀북초등학교 - 산지물 - 남주중고등학교 - 헬스케어타운 - 솔오름전망대 치유의숲 20~50
630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동홍동청소년문화의집 - (남주중고등학교) - 서귀북초등학교 - 중앙로터리 - 서귀포중학교 - 삼아아파트 - 서귀포칼호텔 - 함덕골 보목포구 38~41
635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서홍새마을금고 - 서귀포보건소 - (서귀포여자중학교) - 서귀포등기소 - 제주은행(NH농협 남제주지점) - 동문로터리 - 동홍초등학교입구 - 동홍동청소년문화의집 남주중고등학교 30~39
645 약천사 강정동 → 서귀포버스터미널( 제주월드컵경기장) → 서귀포시노인복지지원센터 → 서귀포 중앙도서관 → 서귀포시청(2청사) → (국립기상과학원 / 공무원연금공단) → 서귀포 혁신도시 LH 1,2단지 → 서호 → 호근 → 서귀포여중 → 중앙로터리 → 동문로터리 → 서귀포등기소 → 서귀포여중 → 호근 → 서호 → 서귀포 혁신도시 LH 1,2단지 → (국립기상과학원 / 공무원연금공단) → 서귀포시청(2청사) → 서귀포 중앙도서관 → 서귀포시노인복지지원센터 → 제주월드컵경기장 서문 → 강정동 약천사 20~40

2.3. 심야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001 남주중고등학교 산지물 - 중앙로터리 - 비석거리 - 삼성여자고등학고 - 신효 - 효돈중 - 공천포 - 위미문화의집 - 남원읍사무소 - 서소동 - 무도동 - 태흥3리사무소 신흥1리사무소 1일 1회
(평일 한정)
5002 서귀포여자고등학교 중앙로터리 - 비석거리 - 삼성여자고등학고 - 신효 - 효돈중학교 - 공천포 - 위미문화의집 - 남원읍사무소 - 서소동 - 무도동 - 태흥3리사무소
5003 서문로터리입구 - 중앙로터리 - 서귀포고등학교 - 동홍동청소년문화의집 - 동홍초등학교입구 - 동문로터리 - 비석거리 - 영천동주민센터 토평마을회관
5004 남주중고등학교 산지물 - 중앙로터리 - 서귀포여자고등학교 - 서귀포버스터미널 - 대천동주민센터 - 하원동 - 강정천 - 법환초등학교 주거물
5005 삼성여자고등학교 비석거리 - 중앙로터리 - 서귀포여자고등학교 - 서귀포버스터미널 - 대천동주민센터 - 하원동 - 중문우체국 - 중문관광단지입구 - 창천초등학교 - 안덕농협 제주조각공원
5006 남주중고등학교 산지물 - 중앙로터리 - 서귀포보건소 - 서귀포버스터미널 - 대천동주민센터 - 하원동 - 중문우체국 - 중문관광단지입구 - 창천초등학교 - 안덕농협

3. 면허 체계

4. 사건·사고 및 문제점

5. 보유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1.1. KGM커머셜

5.1.2.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 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6. 사진

파일:회사전경04.jpg 파일:IMG_9493.jpg
본사 전경 및 E-화이버드 플러그인 차량과 배터리 교체식 차량[7] 510번

7.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보통주 우선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더퍼스트지엠제6차 100.00%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법민 44.08% [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한익 42.20%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순열 4.0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유미 3.5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운 2.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연 2.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혜준 2.03%

8. 기타

파일:동서교통로고png.png


[1] 세운교통 대표 겸임 [2] 차파트너스 계열 특수목적회사로, 인천 소재 버스회사인 시영운수가 지분 56%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운영중단] 동서교통 시절 홈페이지로, 2021년 1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다. [4] 당시 남국교통 관계자의 말로는 좌석버스를 증차하는 과정에서 시내버스 노선에 과거 시외직행버스에나 투입되었던 에어로 600까지 투입했다고 한다. 이마저도 차령이 4~6년씩이나 경과한 중고 차량을 도입했었다고 한다. [5] 해당 주유소는 현재에도 영업 중에 있으며, 차파트너스 계열로 인수되기 전에는 동서교통 소속의 모든 디젤 차량이 해당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고, 인수된 후에도 차고지에서 접근성이 가장 좋은 입지에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차량이 이곳에서 주유를 한다. [6] 다만 배터리교체식의 평이 안 좋았는지 2017년 7월에 결국 일반 플러그인식 차량으로 대체 출고하고, 기존에 다니던 배터리교체식 차량들은 제주 버스 개편 후 얼마 안 가 대부분 지선노선으로 보냈다. 제주특별자치도청 관계자 측 말로는 해당 차량들로 운용하던 노선 남원읍으로 연장된 후 주행거리가 기존 100번대 노선에 최적화되어 있던 배터리 교체식 차량들이 버티지 못한 데다가,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에 이상이 생겼다고 한다. [7] 사명이 서귀포운수로 변경된 현재도 동서교통 간판을 유지하고 있다. [8] 상환전환우선주(RCPS) [9] 3대 대표이사 [10] 2대 대표이사 [11] 다만 140번의 약천사 연장 당시 홍보용 현수막에 이 로고가 사용되었던 것을 보아 제작 자체는 2016년 경에 제작한 듯 하다. [12] 인천 시영운수와 더불어 에디슨모터스의 중정비급 A/S 센터가 차고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회사다. [13] 2023년 6월 기준 오산교통, 은방울교통, 구일교통, 포천상운, 경남여객, 상현운수 출신 차량들이 도입됐다. [14] 한때 제주특별자치도에서도 버스정보기에 타요버스 표기를 추가했었지만 이후 시스템 개정으로 삭제되었다. [15] 랩핑 작업 이후에도 전면 유리창이나 차량 내부에 타요버스의 흔적이 남아있었지만, 이후 차량이 대차되며 이마저도 볼 수 없게 되었다. [16] 파일:동서교통차고지_201603로드뷰.png
카카오맵에서 차고지 근방을 촬영한 2016년 3월 시점 로드뷰에 해당 차량이 e-화이버드에 가려진 채로 촬영된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