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7-02-22 11:48:00

더미:돔 오사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홈구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 (Central League)
구단 홈구장 제2 홈구장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돔 -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한신 타이거스 한신 고시엔 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요코하마 스타디움 -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메이지진구 야구장 -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반테린 돔 나고야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Pacific League)
구단 홈구장 제2 홈구장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치바 롯데 마린즈 ZOZO 마린 스타디움 -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오릭스 버팔로즈 교세라 돔 오사카 홋토못토 필드 고베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베루나 돔 -
지방 구장 목록 · 2군 구장 목록
}}}}}}}}}}}} ||


파일:attachment/osakadome098.png

오릭스 버팔로즈
교세라 돔 오사카
京セラドーム大阪
개장 1997년 3월 1일
소재지 오사카 오사카 시 니시 구
치요자키 3번지 중2번 1호
홈구단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1997~2004)
오릭스 버팔로즈(2005~ )
한신 타이거스( 춘계/하계고시엔 기간 한정, 1997~ )
크기 좌우 100m, 좌우중간 116m, 중앙 122m,
지붕 높이 60m, 펜스 4.2m
잔디 인조잔디
좌석규모 36,477 명
구장 명칭 오사카돔(1997~2006)
교세라 돔 오사카(2006~2017)[1]
일본판 트로피카나 필드, 고척 스카이돔.

1. 소개2. 특징 그리고 각종 문제점들3. 공연장

1. 소개

오사카 부 오사카 시에 있는 야구장이며, 1997년 완공되었다. 당초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가 홈구장으로 사용하였으나 합병 후 현재 오릭스 버팔로즈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두 팀 외에도 전국 고교야구 선수권대회로 한신 고시엔 구장을 사용하지 못하는 한신 타이거스가 여기서 경기하기도 한다.

일본 제2의 대도시권인 관서권 유일의 돔경기장으로 어마어마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도 수많은 행사에 사용되고 있지만 정작 내용은 안습 그 자체. 심지어 전임 홈구단인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해체시키는 위업(?)을 달성한 바도 있다. 원래 오사카 돔을 홈구장으로 쓰던 긴테쓰 버팔로즈가 오릭스에 합병 된 큰 이유 중 하나가 이 비싼 돔구장을 이용하면서 발생한 연 15억엔의 막대한 적자를 감당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2]

2. 특징 그리고 각종 문제점들



사진 속 펜스는 현재 짙은 파란색으로 바뀌었다.

3. 공연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분류 공연장
스타디움
(30,000명~72,000명)
닛산 스타디움 | 도쿄 국립경기장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니가타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나가이 육상경기장 | 에디온 스타디움 히로시마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미야기 스타디움 | 한신 고시엔 구장 | 도요타 스타디움 | 메이지진구 야구장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히로시마 시민구장 | 요코하마 스타디움 | ZOZO 마린 스타디움

(30,000명~50,000명)
도쿄 돔 | 삿포로 돔 | 교세라 돔 오사카 | 후쿠오카 PayPay 돔 | 반테린 돔 나고야 | 오이타 스포츠공원 종합경기장 | 베루나 돔
아레나
(6,000명~30,000명)
사이타마 슈퍼 아레나 | 나고야시 종합체육관 | 요코하마 아레나 | 오키나와 아레나 | 아리아케 아레나 | 마쿠하리 멧세 | 일본 무도관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마린 멧세 후쿠오카 | 그린 돔 마에바시 | 미에 현영 선 아레나 | 마코마나이 세키스이 하임 아이스 아레나 | 도쿄 체육관 | K-아레나 요코하마 | 라라 아레나 도쿄-베이 | 피아 아레나 MM

(1,500명~10,000명)
코라쿠엔 홀 | 오사카 성 홀 | 시부야 공회당 | 퍼시피코 요코하마 국립대홀| 요코하마 BUNTAI | 후쿠오카 선팰리스홀
라이브 하우스
(1,000명~3,000명)
Zepp | STUDIO COAST | BLITZ
야외 스테이지
(20,000명~200,000명)
후지큐 하이랜드 }}}}}}}}}

돔구장이다 보니 당연히 공연장으로써 활용이 되는데, 위에 언급했다 시피 주변 시설때문에 제약이 많고, 음향시설이 구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1] 원래 오사카 돔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으나 교세라에 명명권을 판매하면서 2006년 4월 1일자로 교세라 돔 오사카로 변경했다. 오사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오사카라는 이름이 안빠졌으면 좋겠다는 청원이 있엇기 때문. 계약기간은 5년이었으며 1차 계약 이후 2011년에 3년간 기간 연장 계약을 했고, 2014년에 다시 2017년까지 계약 연장을 했다. 계약금액은 모두 비공개. [2] 물론 그 전에 모기업인 긴테쓰 자체가 버블경제시기 무리한 사업확장이 화근이 되어 이 시기에 대대적인 구조조정 압박을 받고 있기는 했다. 게다가 당시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가 오사카돔에서 부담한 금액은 연 11억엔 정도로 알려져 있으니 돔구장 유지비를 제외하고도 상당한 적자가 발생하던 상황. 하지만 오사카돔에서의 적자가 그나마 연명중이던 팀의 마지막 숨통을 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3] 오죽하면 일본생명구장을 이용하던 1960년대, 긴테쓰 측에서는 일본생명구장의 열악한 시설과 일정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원래의 본거지인 후지이데라 구장으로의 복귀나 오사카 내에서의 신구장 건설이 아닌 주쿄권으로의 이전을 검토하기도 했다. 나고야 터줏대감인 주니치 드래곤즈 때문에 무산되긴 했지만. [4] 맨위 사진에도 보면 구장 바로옆에 연두색의 가스탱크가 보인다. [5] 무려 9개 철도 노선을 낀 현기증 나는 입지를 자랑했던 오사카 구장은 정작 오사카 돔이 개장한 이후인 1998년에 들어서야 철거되기 시작했다. 뭐 오사카 야구장은 애초에 호크스의 후쿠오카 이전과 동시에 철거와 재개발이 결정된 상태였고 버블 크리를 맞아서 그렇지 대주주가 난카이 전기철도인데다가 긴테쓰는 이 근처에 노선이 없긴 했지만.그런데 오사카돔 근처에도 긴테쓰 노선이 없었다는 게 함정 그러니까 망했지 과거형인 이유는 현재 난바역을 기점으로 하는 긴테쓰의 나라선과 한신의 한신난바선이 직결운행중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이 2003년 착공, 2009년 개통(...) [6] 900만 인구를 자랑하는 오사카부나 1800만 인구의 게이한신 도시권에서 오사카시의 인구 비중은 고작 1/3 수준이다. 오사카가 아닌 효고현에 위치한 고시엔 구장의 흥행이나 사쿠라가와역~ 신후카에역/ 이마자토역 사이를 병주하는 한신난바선 센니치마에선의 흥행성적을 보면 왜 주변도시 연결망이 흥행에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알 수 있다. [7] 이렇게 중요한 노선이 2009년에 와서야 개통된 것은 오사카시의 시영 먼로주의(시내 교통망을 오사카시에서 독점하려는 태도), 난바로의 인구 유출을 바라지 않았던 쿠죠 일대 상인들의 님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우리만 이러는 건 아니라 다행....인가? [8]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돔구장 이용팀들은 연간 평균관중 2만명 이상을 기록한다. 그런데 오릭스는 유일하게 평관 2만명을 못 찍는다. [9] 제3섹터 회사란 간단히 말해 우리의 코레일처럼 영리를 추구하는 공기업을 의미하는데 오사카 시티 돔의 경우 오사카시가 대주주로 참여했다. 덤으로 여기에 출자했던 한신 전기철도는 돔구장의 흥행을 위해 한신난바선을 건설했는데 정작 이 제3섹터 회사가 파산했으니(...) 뭐 그래도 한신 타이거스가 몇 경기를 쓸 수 있게 되었으니 이 쪽은 그나마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