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9:34:28

김응호

김응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svg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후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서울 도봉 갑 서울 마포 갑 서울 마포 을 서울 은평 을
윤오 김혜미 장혜영 김종민
부산 중·영도 인천 부평 을 대구 수성 갑 광주 서 을
김영진 김응호 김성년 강은미
광주 광산 을 경기 고양 갑 충북 청주 상당 충남 천안 병
김용재 심상정 송상호 한정애
전북 전주 병 전남 목포 경북 경산 경남 창원 성산
한병옥 박명기 엄정애 여영국
제주 제주 을
강순아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광역시장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당선
2 자유한국당 유정복
3 바른미래당 문병호
5 정의당 김응호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 2 3 4 5 67 8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시장 부산시장 인천시장 광주시장
김종민 박주미 김응호 나경채
대전시장 경기지사 전북지사 전남지사
김윤기 이홍우 권태홍 노형태
경북지사
박창호
}}}}}}}}}

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부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623E91 56.2px, transparent 33.5px), linear-gradient(315deg, #00A366 67.6px, transparent 45px), linear-gradient(315deg, #E8306D 77.6px, transparent 5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제2대
이정미
김명미
문정은
제3대
이정미
김형탁
배준호
이병렬
제4대
강은미
한창민
정혜연
제5대
박예휘
김종민
임한솔[2]
제6대
김윤기[3]
김응호
배복주
박인숙
송치용[4]
박창진
제7대
이현정
이기중
조귀제
제8대
문정은
엄정애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123>
[1] 1기(초대)는 진보정의당 시절 [2] 비례대표 공천 방침에 불복하여 2020년 1월 17일 탈당. [3] 김종철 전 대표 사태에 책임을 지고 2021년 1월 29일 사퇴. [4] 진중권 복당에 반대하여 2022년 1월 29일 사퇴.
||
}}}}}}}}} ||

<colbgcolor=#FFED00><colcolor=#000000> 정의당 부평구 지역위원장
김응호
金應鎬
파일:김응호.png
출생 1972년 12월 12일 ([age(1972-12-12)]세)
충청남도 서산시
학력 성연초등학교 (졸업)
성연중학교 (졸업)
서령고등학교 (졸업)
인천대학교 (기계공학)
소속 정당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현직 정의당 부평구 지역위원장
경력 정의당 부대표
평등하고 공정한 나라 노회찬재단 운영위원
재인천충남도민회 지도위원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및 활동3. 기타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

2. 생애 및 활동

1972년 12월 12일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태어나 성연초, 성연중, 서령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인천대학교 기계공학과에 입학하였다. 본인의 인터뷰에 따르면 학창 시절 우수한 성적을 유지했고 이를 바탕으로 인천대에 입학하였다고 한다. 인천대는 지금은 우수한 입결을 자랑하는 국립대학법인이지만, 김응호가 입학하던 당시에는 선인재단이 운영하던 사립학교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내내[1] 언론 사회면을 장식했던 학교로 [2] 1994년 시립대로 전환되었고 이후 국립대로 전환되며 학교가 가파르게 성장했다. 김응호는 선인재단 시절 인천대에 입학했다. 사실 인천대가 시립대에서 국립대로 전환되는데는 인천광역시 정치권에서 한 가닥하던 김응호의 입김도 크게 작용했다.

1995년 인천대학교 총학생회장을 역임하였다. 당시 인천광역시 일대의 주요 현안이었던 굴업도 핵 폐기장 반대 운동 등 여러 학생 운동에 앞장 서다 3년 4개월의 수형 생활을 했으며 이후 학교에서 제적되었다. 기사

그 이후 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시민운동가로 활동했다. 이 무렵 문학산 패트리어트 미사일기지 배치 반대 운동, 계양산 골프장 저지 운동, 부평 미군기지 반환운동과 부평 미군기지 주변 환경오염 정화를 위한 활동을 했다.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을에 출마했지만 민주당 홍영표 후보에게 밀려 4위로 낙선했다.

2015년 정의당 3기 당직선거에서 전국위원과 부평구 지역위원장으로 당선되었다. # #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의당 인천광역시장 후보로 나섰으나 4위로 낙선하였다.

2019년 정의당 5기 당직선거에서 인천시당 위원장으로 당선되었다. #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인천 부평구 을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20년 정의당 6기 당직선거에서 부대표로 당선되었다.

3. 기타

노회찬 6411 버스 연설이 나왔던 진보정의당 창당대회 때 사회를 맡았다고 한다. 4분 20초

인천연합 계열 NL 정치인이다.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ED00><rowbgcolor=#FFED00><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9 2009년 재보궐선거 인천 부평 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68 (5.60%) 낙선 (4위)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광역시장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37,472 (2.82%)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 부평 을 7,994 (6.04%) 낙선 (3위)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241 (1.62%) 낙선 (4위)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2009년 재보궐 김응호 벽보.jpg 파일:7회 지선 김응호 벽보.jpg
2009년 재보궐 (인천 부평구 을) 7회 지선 (인천광역시장)
파일:21대 총선 김응호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김응호 벽보.jpg
21대 총선 (인천 부평구 을) 22대 총선 (인천 부평구 을) }}}}}}}}}

[1] 1980년대에는 전두환 정권의 언론 탄압으로 보도가 없다가, 1986년 학내 민주화 운동으로 휴교령을 거쳐, 1992년 MBC PD수첩에 보도되면서 선인학원의 비리가 보도되어 만천하에 드러나 파장이 일었다. 물론 당시 유명 대학들도 비리는 많았으나 언론에선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2] 1980년대 당시의 대학 입시제도는 전기대, 후기대로 양분화되어 있어 대다수 대학들이 전기에 몰려 있었으며 전기에서 1회의 기회로 낙방하면 우수한 성적의 소유자들도 후기대학으로 진학하는데 당시의 후기대학으론 인천대, 명지대, 경기대 정도 이며 이과로선 광운대등 이였으며,경쟁률이 꽤 높았으나 커트라인과 평균성적의 차이가 컸다,주로 눌러 앉은 재수 삼수생들이 많았다. 이후 1980년 말엽부터 이후 각 대학들이 전, 후기 분할모집이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