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8:54:44

고약

1. 개요2. 역사3. 목록4. 기타

1. 개요



한의학을 배경으로 한, 환부에 붙이는 약의 통칭. 상온에서 반고체인 연고와 비교적 단단한 고체인 경고가 있는데, 흔히 고약이라 하면 불에 살짝 쬐어 사용하는 경고를 말한다.

주로 염좌, 타박상, 볼거리, 종기 등의 환부에 이용된다. 대체로 환부에 도움이 되는 성분과 정착 성분(전통적으로는 꿀 등)을 섞어 환부에 붙이고, 그 위에 종이나 천을 대는 형태로 이용한다.

근래 볼 수 있는 파스 역시 고약의 현대 의학 버전이라고 볼 수 있으며, 고약류 역시 파스처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 많이 나와 있다.

2. 역사

대략 조선 시대부터 고약을 사용한 기록이 나오며 실록에도 종기로 고생하던 정조가 고약을 애용하였다고 한다. 이 고약은 피재길[1] 집안에 대대로 내려왔고 웅담으로 만들어 웅담고라 불렸다. 처음에는 효험이 있어 정조도 애용했으나, 오래 사용하다 보니 내성이 생겨 큰 차도를 보지 못했고 결국 정조는 계속되는 격무와 스트레스가 겹쳐 종기로 사망했다.[2]

파일:external/pressian.wcms.newscloud.or.kr/60100610075121(0).jpg

구한말부터 1980년대까지 '이명래 고약'이 매우 유명했고 21세기 들어서도 나이가 드신 분들에게 여전히 추억의 상표 중 하나로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이는 가톨릭 신자인 이명래(1890~1952)가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 에밀 드비즈 신부로부터 본초학에 관한 지식을 전수받은 후 민간요법과 결합하여 만들어낸 것으로, 한국형 신약 1호로도 불리며[3] 오늘날까지도 제법은 비밀로 지켜지고 있다. 검은 고약을 적당량 잘라 덜어서 한지 위에 올린 후 불로 고약을 녹인 다음 환부에 붙이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살을 다치지 않게 고름만 효과적으로 빨아내면서도 그 값이 매우 저렴해, 이는 가난한 백성들에게 구원과도 같은 피부병 만병통치약이었다.

이명래 고약은 일제 당대에 조선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에게도 효과가 좋기로 유명했는데 종기에 걸려서 죽기 직전까지 갔다가, 명래 한의원에서 치료를 받고 나은 일본 육군 사사키 대좌는 "이명래 고약집에서 난 3번 놀랐다. 첫째는 가게가 너무 더러웠고, 둘째는 치료비가 무척 쌌다. 셋째는 아주 잘 낫는다는 점이다."라며 악성 종기를 치료한 후기를 경성일보에 기고하기도 했다. # 아이러니하게도 이명래 본인은 일제 치하에서 조선인으로서 자존심이 있었기 때문에 면허를 취득하지 않았다. 때문에 그의 한의원은 무허가로 운영됐다고 하며, 그의 치료를 받은 일본인들이나 조선 총독부 관리들이 면허를 취득하라고 권하기도 했지만 결국 그가 면허를 취득한 건 광복 직후인 1945년이었다고 한다. 면허가 없었음에도 버젓이 운영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명래가 발명한 고약의 성능이 매우 뛰어났고, 이 때문에 일본인들이 고약의 성능에 대해 감탄하면서 좋든 싫든 간에 인맥을 쌓을 수 있던 환경인지라 일제의 단속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1952년 이명래가 뇌출혈로 사망한 이후로도 이명래의 일가는 명래한의원과 명래제약으로 나뉘어 고약을 제조하였다. 이명래의 두 아들이 모두 어려서 사망한 탓에 딸들이 가업을 물려받았는데 명래한의원이 본래의 제법을 고집한 반면 명래제약은 성분을 일부 변경하여 대량 생산을 도모하였으나 2002년 도산하였다.[4] 1980년대까지도 많이 사용되었으나 항생제와 연고가 점점 보급되고 소득 수준이 올라가면서, 흉터가 남기도 하는 이명래 고약은 설 자리를 점점 잃게 된 것이 원인이었다. 고약을 전문으로 하던 다른 중소 제약사에서 명래제약의 판권을 인수해 2007년 개량 제품을 내놓았다.[5] #

원래의 이명래 고약은 한지 위의 고약을 불로 녹여 고약 자체의 점착력으로 피부에 붙이는 식이다. 천우신약이 된 지피제약에서 현대화한 밴드 이명래고약[6]은 불로 녹이는 과정이 없으며 밴드의 접착력으로 붙인다. 한지가 밴드로 바뀐 것은 원형과는 다르지만 현대화된 개량이라고 볼 수도 있다. 식약처의 일반의약품 허가를 받은 제품이므로 약리 성분이 공개되어 있으며, 스테로이드 성분이 없다고 한다.

한편, 명래한의원은 이명래의 둘째 딸과 결혼한 사위 이광진 씨가 운영했다가 이광진이 1996년 사망한 후 사위 임재형이 3대째를 맡아 가업을 잇고 있으나 # # 후계자를 찾지 못한 상태에서 건강이 악화되어 2011년 11월 생산이 멈춘 상태라고 한다. 서울 충정로에 위치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후문 쪽으로 이전했다. #

고약의 모습이다.

3. 목록

4. 기타



[1] 정조가 병에 걸렸을 때 내의원 치료가 효과가 없어 저자에 이름이 있던 피재길을 불러 치료하고 병이 낫자 내의원에 관직을 얻었다. 피재길의 아버지 피홍즙은 생전 자신만의 비법을 담은 고약을 개발해 팔던 약장수로, 피재길이 어릴 적 죽어 맥이 끊길 뻔했다. 다행히 그의 아내이자 피재길의 어머니가 비법을 조금이나마 기억해 알려주었고, 피재길은 그것을 토대로 연구 삼아 웅담고를 개발했다. [2] 피재길은 왕의 병사에 내의원 의원이 책임을 지는 관례에 따라 귀양을 갔다 3년 후에 풀려났다. 그리고 장영실처럼 기록이 끊겼다. 사실 왕실에서도 독살설과는 별개로 정조의 급사에서 의료 사고나 어의들의 자질 부족 등 뭔가 의구심을 느꼈는지 강도 높은 고문을 동반한 국문이 열렸고 피재길과 같이 정조의 어의였던 강명길은 고문 끝에 비명횡사했다. 한편 외부에서 불러온 의원 심인은 노론의 수장이던 심환지의 먼 친척이라는 이유로 정약용, 이덕일 등에게 정조 독살 주범으로 낙인찍혔으니 조용히 목숨만 부지한 피재길은 상당히 운이 좋았다. [3] 사람의 이름을 상표명으로 쓴 것으로도 국내 최초. [4] 명래제약의 창업주이자 이명래의 막내딸인 이용재 여사(1921~2005)는 본래 내과의 출신으로 고대 총장을 지냈던 유진오 박사의 부인이기도 하다. [5] 해당 제약사에서는 고려됴고약을 판매하고 있었는데, 잘라서 한지 위에 놓고 불로 녹여 붙이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공된다. 제품이 겹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명래 고약은 사용법을 간편하게 개량한 것으로 보인다. [6] 덩어리 형태인 이명래 고약도 생산하고 있다. [7] 일본제 고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