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gray> 생활공간 | 거실 · 침실( 안방 · 건넌방 · 작은방 · 게스트룸) · 사랑방 · 서재 · 응접실 · 다실 · 부엌 · 욕실 · 화장실 · 파우더룸 · 다용도실 · 골방 · 다락방 · 문간방 · 옥탑방 | |
업무공간 | 사무실 · 회의실 | ||
공공시설 | 다목적실 · 세탁실 · 탈의실 | ||
학교 | 교실 · 연구실(과학실/실험실) · 컴퓨터실 · 교무실 · 보건실 | ||
병원 | 병실 · 수술실 · 응급실 · 중환자실 · 분만실 | ||
기타 | 경비실 · 계단실 · 기계실( 보일러실 · 서버실 · 알람밸브실 · 전기실 · 전산실 · 통신실) · 방재실 · 온실 · 지하실 · 차고 · 창고 | }}}}}}}}} |
한국식으로 현지화된 거실의 전형적인 예시 |
서양식 거실 |
1. 개요
거실(居室)은 집 안에서 가장 큰 방이자 주된 일상생활을 하는 공간이다. 옛날에는 응접실이라 부르는 집도 있었다. 영어로는 미국 영어 기준으로 'living room'이라 부르며, 영국 및 영연방권에서는 'lounge'나 'sitting room'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호주 영어로는 'lounge room' 이라고 부른다.일본에서는 한국의 거실과 한자가 유사한 '이마'(居間)라고도 부르지만, 일반적으로 재플리시인 '리빙'(リビング)이나 차를 대접하는 공간이란 뜻의 '오차노마'(お茶の間)란 표현이 더 많이 쓰인다. 후자의 경우 1950년대 이전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꽤 오래된 표현임에도 아직까지도 사어가 되지 않고 생명력을 유지하는 단어이다.[1]
2. 상세
대한민국에선 아파트와 단독주택을 막론하고 현관에 들어서면 바로 거실이고, 이곳을 통해서 각 방에 들어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현관과 거실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거실과 주방이 한 생활권으로 묶인 집들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 때문인지 한국에서의 '거실'이란 개념은, 공간적으로 보았을 때 좁은 의미에서 '집의 중심을 차지하는 공간' 정도로 인식되기도 하는 한편, 넓은 의미로는 '방, 화장실, 주방, 베란다, 현관을 제외한 모든 공간'으로 보기도 한다.한국에서 이러한 개방적 평면설계가 보편화된 것은 전통 한옥의 'ㅁ'자 혹은 'ㄱ'자 홑집 평면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마당을 지붕으로 막았다고 보면 된다.[2] 실제로도 주방 내에서 소화하기 힘든 대규모의 요리 공정을 처리하는 장소( 김장이나 명절 음식 준비 등), 베란다에서 말리기 힘든 큰 규모의 빨래를 말리는 장소 등 과거에 마당에서 했을 법한 집안 일을 거실에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한국인들은 주방 쪽 창문과 거실 쪽 창문에서 바람이 동시에 불어오는 일명 맞통풍[3]을 중시한다. 여름에 시원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아파트 건축이 대부분 벽식 구조인 것도 이러한 개방적인 평면 선호와 무관하지 않다.[4] 기둥식 구조는 말 그대로 기둥으로 인해 죽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크고 개방적인 거실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대한민국 기준으로 자녀 교육을 중시하거나 보수적인 분위기의 가정집에서는 거실에 TV를 두는 경우가 드물다. 이러한 현상은 1980년대 이전부터 있어왔다. 반대로 자녀들이 뭘 하는 지 보기 쉽다는 점에서 컴퓨터를 거실에 두는 가정도 많다. 또한 젊은 층 1~2인가구 역시 TV를 두는 경우가 드물다.
서양[5]과 일본은 방을 일직선으로 배치하고 복도를 두는 집들이 많아 거실도 다른 방들처럼 완전히 분리돼 있고 아예 문이 달린 경우도 많다.[6][7] 게다가 한국과 크게 다른 기후 패턴으로 인해 거실이 북향에 있는 경우도 많다.[8] 물론 서구적 방식의 사용법도 한국의 거실 사용에 혼재되어 있다. 온 가족이 모여 TV를 보거나 손님을 거실에서 접대하는 등의 거실 사용 모습은 서구의 생활 양식과 맞닿아 있다.
[1]
실제로도
아따맘마같은 애니메이션에서는 거실에서 TV를 볼 때 꼭 녹차와 과자를 같이 먹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2]
김영기, 이재범 《부동산의 보이지 않는 진실》
[3]
'맞바람'이라고도 한다.
[4]
물론 1차적으로는 단가 문제도 있다.
[5]
엄밀히 말하면 영국과 유럽권의 주택 구조이며, 미국에서는 거실중심형 평면도 흔하다.
[6]
대한민국에서 이 방식은 한강맨션, 구 잠실주공아파트 등 초창기의 아파트나 저택에 가까운 대형 단독주택 등에서 볼 수 있었으나 한국인의 정서와 동떨어졌다는 악평을 받고 대다수가 도태됐다. 2000년대 이후 지어진 타워형 아파트의 경우 구조적 이유로 중복도형 평면에 가깝긴 하나, 이 역시 서양이나 일본의 주택구조와 동일하지는 않다.
[7]
현대에도 이러한 평면은 인기가 없고 집값도 비교적 싸다. 20평대 복도식 아파트에서 미닫이문이 설치된 거실이 엄청 흔한 형태이다. 이 경우 리모델링시 미닫이문을 포함한 날개벽 전체가 철거 1순위가 된다. 철거하지 않으면 엄청나게 답답해 보인다. 하지만 무조건 철거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아파트들에서는 철거가 가능하지만 몇몇 아파트들은 철거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는데 이런 아파트들은 시세가 폭락하는 경우가 많다.
[8]
서양은 태양의 고도가 높은
백야기간에 일조시간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