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2:02:01

가토의 난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7003A><colcolor=#FFFFFF> 역사 각복전쟁 · 니카이도 옹립구상 · 나카소네 재정 · 가토의 난
총재 선거 1956.04 · 1956.12 · 1957 · 1959 · 1960 · 1962 · 1964.07 · 1964.12 · 1966 · 1968 · 1970 · 1972 · 1974 · 1976 · 1978 · 1980 · 1982 · 1984 · 1987 · 1989.06 · 1989.8 · 1991 · 1993 · 1995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3 · 2006 · 2007 · 2008 · 2009 · 2012 · 2015 · 2018 · 2020 · 2021 · 2024
선거 지지 기반
총리 겸 총재 이시바 시게루
집권내각 이시바 내각
사건사고 및 논란 록히드 사건 · 황민당 사건 · 리크루트 사건 · 사가와 규빈 사건 · 통일교 게이트 · 정치자금 파문
주요 인물 하토야마 이치로 · 요시다 시게루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미야자와 기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아소 다로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오노 반보쿠 · 가와시마 쇼지로 · 고노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미즈타 미키오 · 아베 신타로 · 가네마루 신 · 와타나베 미치오 · 고노 요헤이 · 호소카와 모리히로 · 하타 쓰토무 · 오자와 이치로 · 이시하라 신타로 · 가토 고이치 · 노나카 히로무 · 다니가키 사다카즈
기타 국제민주연합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55년 체제 · 삼각대복중 · 다케시타파 칠봉행 · 뉴리더 · 3A · 고이시카와
관련 틀 역대 총재 · 역대 부총재 · 역대 간사장 · 역대 정조회장 · 역대 국대위원장 · 역대 선대위원장 · 집행부 · 파벌 분류 · 49대 중의원 의원 · 26대 참의원 의원
}}}}}}}}} ||
파일:YKK (1).png
야마사키
타쿠

(Yamasaki Taku)
가토
고이치

(Kato Koichi)
고이즈미
준이치로

(Koizumi Junichirō)
[1]
파일:YKK (2).jpg
2000년의 YKK 삼인방.
왼쪽부터 가토 고이치, 야마사키 타쿠, 고이즈미 준이치로.

1. 개요2. 전개
2.1. 원인2.2. 과정
2.2.1. 불신임 결의안 투표 결과
2.3. 결과

[clearfix]

1. 개요

가토의 난(加藤の乱)은 2000년에 제2차 모리 내각을 무너뜨리기 위해 민주당의 모리 내각 불신임안에 찬성·결석하며 가토 고이치 야마사키 타쿠를 중심으로 벌어진 자유민주당의 내란으로, 이 사건 이후 보수본류가 중심이었던 자민당의 정치 판도가 보수방류로 완전히 뒤집어지면서 2024년 세이와 정책연구회가 해산할 때까지 보수방류가 20년 넘게 자민당의 중심으로 군림하게 된 결정적인 사건이다.

2. 전개

2.1. 원인

가토 고이치 야마사키 타쿠는 각각 소속된 파벌을 계승해 차기 총재 후보로서 실적을 뽑아내고 있었으며 1999년 총재선에 출마하기도 전 오부치 게이조에게 패배했지만 자신이 무투표로 당선되길 원했던 오부치는 총재선 출마를 자리매김하고 있었던 가토와 야마사키가 총재선에 출마한다 선언하자 격노했다. 평소 온후한 인품을 지니고 있던 오부치 였으나 "그 녀석은 나를 쫒아내려 했다"라고 말하며 가토와 야마사키를 저지했다.

당시 가토는 개혁적인 이미지가 강하고 차기 총리 순위에도 항상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으며 자신의 파벌인 굉지회의 회장이나 "YKK의 장남"으로 총재 후보에도 유력시한 인물로 인식되고 있었지만 비주류가 지속적으로 방해를 하고 있던 가운데 오부치가 급사하며 보수방류 모리 요시로가 총리로 선출되었다.

오부치의 급사 전의 정계에서는 가토가 포스트 오부치의 제일로서 떠오르고 있었는데 보수본류의 대표격 정치인이자 하시모토 류타로·오부치 정권 탄생에도 기여했고 간사장 시절 신진당을 분열시키는데에 한 몫하는 등 실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가토는 총리 취임을 거부했는데 YKK로서의 반 다케시타파의 원류, 미야자와 내각의 다케시타파( 가네마루 신)의 영향 하에 정권이 이중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이에 반발심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지율이 낮은 모리 내각으로 제19회 참원선을 실시하면 자민당이 참패할 것이 예상되고 참의원 의석수의 과반수 분열로 여소야대 상황이 예상되고 있었다.

여기서 야마사키는 가토의 오랫동안 맹우로서 가토 정권이 설립되면 자신에게 정권이 선양되는 것이 목표였고 언제든지 가토를 지지하게 되었다.

2.2. 과정

2.2.1. 불신임 결의안 투표 결과

2.3. 결과

이 사건 이후 자민당의 정치판도는 물론 일본의 정치판도도 완전히 뒤바뀌기 시작했다. 원래 보수본류 요시다 시게루- 사토 에이사쿠- 다나카 가쿠에이 3대에 이어 자민당의 중심으로 활동했지만 이 사건 이후 YKK의 일원인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총리직에 오르고 장기집권에 성공하면서 아소 다로 기시다 후미오를 제외한 모든 총리가 보수방류 출신 총리로 집권하면서 자민당의 실세로 자리매김했다.[2] 현재 보수방류가 주장하는 평화헌법 개정, 자위대 군대 전환, 보통국가 수립 등 우익-극우적인 정책도 이 사건 이후 고이즈미 때부터 거론되는 정책들이다.

보수본류에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는데 우선 본류의 중심이었던 굉지회가 가토파와 호리우치파로 갈라지며 분열되었고 야마사키의 근미래정치연구회도 야마사키의 정치적 스캔들과 소속 의원들의 지속적인 이탈 등으로 현재는 자민당 내의 최소파벌로 추락했다. 그러나 고노 요헤이 대용회 만큼은 분열되거나 망하지 않았는데 애초에 고노가 대용회를 결성한 이유가 가토와 굉지회 회장 자리를 두고 서로 대립하다가 가토가 회장이 되자 굉지회를 뛰쳐나와 대용회를 결성한 것이기 때문에 가토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고 이에 따라 불신임안 투표 때 파벌 전체가 반대표를 던지며 살아남았으며 대용회의 2인자였던 아소 다로도 방류파에 붙어다니며 그들과 협조했기 때문이다. 헤이세이 연구회도 애초에 본 갈등의 가장 기초적인 원인인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이 파벌 출신이었기 때문에 가토의 난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의원들 대부분이 반대표를 던지면서 살아남았다.

[1] 고이즈미는 가토의 난의 주동자도, 동참자도 아니었으나, YKK의 일원으로서 이 사건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되었다. 결국, 가토의 난은 훗날 고이즈미가 총리가 되는 데 가장 큰 계기가 되었다. [2] 그 아소 다로마저도 고이즈미 내각 때 주요 직책들을 역임하며 세를 불려갔고 아베 후쿠다 옆에 붙어다니면서 이들의 정권 수립에 앞장섰기 때문에 그나마 총리직이라도 얻어낸 것이다. 즉, 사실상 기시다 후미오를 제외한 제대로된 보수본류 총리는 없다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