釉 유약 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釆,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ユウ
|
||||||
일본어 훈독
|
うわぐすり, つや, ひかり
|
||||||
-
|
|||||||
표준 중국어
|
yò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釉는 '유약 유'라는 한자로, ' 유약', '광택', '잿물'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유약 | ||
음 | 유 | |||
중국어 | 표준어 | yòu | ||
광동어 | jau6, jau2 | |||
민남어 | iū, iu | |||
일본어 | 음독 | ユウ | ||
훈독 | うわぐすり, つや, ひかり | |||
베트남어 | dứu |
유니코드에는 U+91C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LW(竹木中田)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釆(나눌 변)과 소리를 나타내는 由(말미암을 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국 사전에서는 1990년대~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빛날 유로 많이 기재되어있었다.
3. 용례
3.1. 단어
- 유(釉)
- 유약(釉 藥)
- 찬유( 贊釉)
- 방목유( 倣 木釉)
- 녹유( 綠釉)
- 연유( 軟釉)
- 연유( 鉛釉)
- 색유( 色釉)
- 즙유( 汁釉)
- 청유( 靑釉)
- 민배유( 玟 坏釉)
- 법랑유( 琺 瑯釉)
- 철사유( 鐵 沙釉)
- 제청유( 霽 靑釉)
- 산호유( 珊 瑚釉)
- 오금유( 烏 金釉)
- 청자유( 靑 瓷釉)
- 경회유( 輕 灰釉)
- 대관유( 大 冠釉)
- 단채유( 單 彩釉)
- 적홍유( 積 紅釉)
- 호반유( 虎 斑釉)
- 유리청(釉 裏 靑)
- 백옥유( 白 玉釉)
- 연화유( 軟 火釉)
- 선피유( 鱔 皮釉)
- 마노유( 瑪 瑙釉)
- 다금유( 茶 金釉)
- 석회유( 石 灰釉)
- 보광유( 寶 光釉)
- 비취유( 翡 翠釉)
- 선홍보석유( 鮮 紅 寶 石釉)
-
벽유전(
璧釉
塼)
3.2. 인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䄂(주술부릴 류)
- 岫/ 䜬(산굴 수)
- 袖(소매 수)
- 秞(곡식무성할 유)
- 𥑤[⿰石由](광택 유)
- 蚰(그리마 유)
- 油(기름 유)
- 㹨(꼬리가긴검은원숭이 유)
- 牰(눈검은소 유)
- 柚(유자 유)
- 鮋(피라미 유, 물고기이름 수/주)
- 㣙(갈 적/독, 끝없을 주)
- 駎(다투어달릴 주)
- 紬(명주 주)
- 怞(밝을 주/추, 근심할 유)
- 粙(벼알들 주)
- 䛆(빌 주)[1]
- 伷(자손/투구 주)
- 鈾(집 주, 우라늄 유)
- 䩜(투구 주)[2]
- 抽(뽑을 추)
- 舳(고물 축)
- 軸(굴대 축)
- 妯(동서 축, 슬퍼할 추)
- 𤤧[⿰⺩由](유)
- 𡊡[⿰土由]
- 𢂎[⿰巾由]
- 𠱋[⿰口由]
- 𫔼[⿰⻖由]
- 𫆚[⿰⺼由]
- 𤉓[⿰灰由]
- 𪳫[⿰桑由]
- 𬔈[⿰穴由]
- 𤳷[⿰罷由]
- 𧲹[⿰豸由]
- 𬰹[⿰音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