秝 나무성글 력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レキ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秝은 '나무성글 력'이라는 한자로, '나무가 성글다'를 뜻한다.2. 자형
갑골문 |
3. 상세
禾(벼 화) 둘을 잇달아 쓴 회의자지만 유래는 아니 단순하다.(전략)
曆은 전공(戰功)을 말한다. 글자는
禾(화)를 나란히 둔 형태, 즉 兩禾를 구성요소로 한다. 이 글자에 대해서는 조금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 (중략) 글자의 오래된 용법에서
和는 군문(軍門)을 뜻하는 말이었다. 『
주례』의 「
대사마(大司馬)」에, "
旌(정, 깃발)을 가지고 좌우 和(화)의 문으로 삼는다"라고 했고,
후한 때
정현(鄭玄)의 주에 "군문을 화(和)라고 한다. 지금은 이것을 누문(樓門)이라고 한도 두 旌(정)을 세워서 그로써 이것을 만든다"라고 했다. 하지만 옛날에는 旌(정)이 아니라 禾(화)를 세웠던 것이다. 禾(화)는 禾
黍(화서)의 禾(화)가 아니라 상단이 조금 구부러진 나무, 혹은 그 선단에 횡목을 더한 형태의 것이다. 두 和(화)를 군문이라 하는 것은 그런 나무를 군문에 세운다는 뜻이다.
『한자 -기원과 그 배경-』,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지음, 심경호(沈慶昊) 옮김, AK 커뮤니케이션즈, 2017, 211~212 pp.
고대에는
부대의
정문 앞 좌우에
기둥을 하나씩 세웠으니 이걸 본뜬 글씨다. 이 풍습의 잔재는 꽤 오래갔는데
당나라 이래 고관이나
국가유공자나
작위를 가진 이의 집 정문 앞 좌우에 기둥을 하나씩 세우도록 해서 왼쪽 기둥을
閥(벌), 오른쪽 기둥을
閱(열)이라 불렀다.여기서 까마귀대가리(烏頭)는 기둥 위에
기와를 얹어 꾸민 것이다.
작위가 대체로 전쟁에서 공을 세운 이가 받는 것임을 감안하면 작위를 가진 이의 집 문 앞에 두 기둥은 군대의 정문 앞에 세운 기둥을 계승한 풍습일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에 秝은 禾 둘이 아니라 군대 문 앞에 세운 두 기둥을 본뜬 글씨다.『한자 -기원과 그 배경-』,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지음, 심경호(沈慶昊) 옮김, AK 커뮤니케이션즈, 2017, 211~212 pp.
유니코드에는 U+79D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HD(竹木竹木)로 입력한다.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 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이체자
- 𥤀[⿰禾歷](U+25900)
6. 유의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鞂(볏짚새꽤기 갈)
- 𪌗[⿰麥禾](누룩 국)[1]
- 𩡄[⿰香禾](향기 단)
- 酥(연유 소/수)
- 柇(관머리 화)
- 𤖱[⿰片禾](널조각 화)
- 姀(단정할 화)
- 𣲲[⿰氵禾](물이름 화)
- 鉌(방울 화)
- 咊/ 訸/ 龢(화할 화)
- 𤱛[⿰田禾](렬)
- 𪜰[⿰亻禾]
- 𱀇[⿰⻖禾]
- 𣍩[⿰月禾]
- 𤤤[⿰⺩禾]
- 𥿘[⿰糸禾]
- 𧖲[⿰血禾]
- 𫌚[⿰覀禾]
- 𩈒[⿰面禾]
- 𬰻[⿰音禾]
- 𲋕[⿰𩙿禾]
- 𪗮[⿰齒禾]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𥣲[⿲禾畕禾](멜 담)[2]
- 𧛿[⿳亠秝𧘇](꽁꽁묶을 력)
- 𥕆[⿰石秝](돌소리 력)[3]
- 𩄞[⿱雨秝](비그치지않을 력)[4]
- 𢊆[⿸广秝](지날 력)[5]
- 厤(책력 력)[6]
- 䔉(초목성긴모양 력)
- 𥢺[⿱秝㐭](거둘 색)[7]
- 𥣤[⿱秝泉](록)
- 𤳂[⿱田秝](마)
- 𥣸[⿰秝⿱大豆](목)
- 𥢲[⿱秝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