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6:14:06

TNR/학계연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NR
1. 학계
1.1. 미국수의협회1.2. 미국 공중방역수의사회1.3. 미국 주와 자치령 의회 역학자 협회1.4. 미국포유동물학회1.5. 야생전염병학회1.6. 미국조류학회
1.6.1. 쿠퍼조류학회1.6.2. 미국조류학자모임
2. 관련 논문
2.1. 개체수 관련 논문2.2. 외부 학계 논문2.3. 예방의학
2.3.1. 고양이로 인한 교상 사고2.3.2. 조류 독감2.3.3. 궤양코리네박테륨
2.4. 생태학
2.4.1. 고양이는 한 해에 얼마나 많은 생물종을 죽이는가?
2.4.1.1. 조류
3. 다시 시작된 전쟁

1. 학계

1.1. 미국수의협회

길고양이 문제에 대한 미국수의협회(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AVMA)의 공식 방침은 1996년에 처음으로 공식 성명을 발표한 이래 여러 번 변화해 왔다.[1]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2) 길고양이의 조류에 유별나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경향성
3) 길고양이는 먹이와 상관 없이 유희적으로 동물을 사냥하는 점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수 억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2016년 1월 AVMA는 2년 이상의 다각도의 검토를 거쳐, 길고양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비법은 없다는 점을 강조한 개정 방침을 발표하였다. 기존 방침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큰 변화를 겪은 편으로, 지지도 반대도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 삭제되었다. 'TNR의 개체수 조절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삭제되고, 길고양이를 죽이지 않는 전략("non-lethal strategies")을 강조하는 점에서 TNR에 상대적으로 친화적이 되었다.

그러나 AVMA가 TNR 지지로 입장을 바꾼 것은 아니며 여전히 중립이라는 점에는 주의해야 한다. AVMA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죽이지 않을 방법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권장하나, 문제 해결 수단의 방법으로 길고양이를 붙잡아 안락사 시키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 않고 있으며, 죽이지 않는 조절 수단을 TNR로 전용(專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예: 입양, 책임감 교육, 등록제, 중성화수술)

길고양이에 대한 AVMA의 현재 방침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16년 현재 공식 방침에서 TNR에 연관이 큰 부분을 추려 보자면 다음과 같다.

1.2. 미국 공중방역수의사회

1996년, 미국 공중방역수의사회(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Public Health Veterinarians: NASPHV)는 생태계와 공중보건에 끼치는 악영향 때문에 반대하였다.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2) 길고양이의 조류에 유별나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경향성
3) 길고양이는 먹이와 상관 없이 유희적으로 동물을 사냥하는 점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현재 NASPHV 홈페이지 는 매우 단촐한 운영으로 게시판도 제공되지 않으며, 단체 창설 이래 외부 발표 성명들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보관소는 당연히 없다. 미국조류보전협회의 홈페이지와 익명 TNR 반대 홈페이지인 TNR REALITY CHECK.COM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링크를 걸어놓는다.

1.3. 미국 주와 자치령 의회 역학자 협회

1996년, 미국 공중방역수의사회(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Public Health Veterinarians: NASPHV)의 TNR에 반대 성명 1년 뒤, 미국 공중방역수의사회와 함께 반대 공동성명을 하였다. 성명 내용은 공중방역수의사회가 96년에 했던 것과 동일하다.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2) 길고양이의 조류에 유별나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경향성
3) 길고양이는 먹이와 상관 없이 유희적으로 동물을 사냥하는 점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1.4. 미국포유동물학회

2010년 6월, 미국포유동물학회(ASM: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는 생태계와 공중보건에 끼치는 악영향 때문에 반대하였다.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2) 길고양이의 조류에 유별나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경향성
3) 길고양이는 먹이와 상관 없이 유희적으로 동물을 사냥하는 점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1.5. 야생전염병학회

2004년 7월, 야생전염병학회(WDA: Wildlife Disease Association)는 생태계와 공중보건에 끼치는 악영향, 경제적 이유 때문에 반대하였다. 본문에 따르면 성명문의 내용은 야생동물학회(TWS: The Wildlife Society)와 야생동물수의사회(AAWV: American Association of Wildlife Veterinarians) 등 기타 단체들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졌다.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2) 길고양이의 조류에 유별나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경향성
3) 길고양이는 먹이와 상관 없이 유희적으로 동물을 사냥하는 점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1.6. 미국조류학회

미국조류학회(AOS: American Ornithological Society)는 현재 미국 최다의 조류학자들이 소속된 학회이며, 그 이전까지 최대 규모의 미국조류학회였던 미국조류학자모임(AOU: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이 쿠퍼조류학회(COS: Cooper Ornithological Society)를 합병[4]하여 세워졌다. 미국조류학자모임은 여전히 미국조류학회와 별도로 독자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나, 쿠퍼조류학회(COS)는 흡수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6.1. 쿠퍼조류학회

1997년 5월, 쿠퍼조류학회(COS: Cooper Ornithological Society)는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 때문에 반대하였다.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수백만 포유류 + 조류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1.6.2. 미국조류학자모임

1997 미국조류학자모임은 생태계와 공중보건에 끼치는 악영향 때문에 반대 하였다.
화두 인정 부인 언급 안함 상세
1.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점
1) 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
2) 길고양이의 조류에 유별나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경향성 길고양이 먹이의 2-30%가 조류
3) 길고양이는 먹이와 상관 없이 유희적으로 동물을 사냥하는 점
4) 길고양이가 죽이는 야생동물 개체수의 규모 수십 억 조류와 기타 소동물
2.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였는가
가. 길고양이가 공중보건에 위협이 되는 점
1) 길고양이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위협이 된다
2) 길고양이는 흑사병의 위협이 된다
3. 길고양이가 전염병을 자연 환경에 퍼뜨리는 영향을 언급했는가

2. 관련 논문

이 부분의 내용은 학술 논문, 정부 기관 등에서 TNR에 관련된 내용을 다룰 때 자주 인용되는 논문들을 모은 것이다. TNR의 경우는 짧은 역사만큼이나 논문의 수도 적어 참, 거짓을 판별하기 용이하다. 얼핏 생각해 보면 TNR의 효과를 입증하려는 논문들은 생물종의 개체수의 예측과 통제가 목적인 학문, 생존율과 생식력을 도입한 개체수 모형을 만들고, 이를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이나 그 반대의 동물의 개체수의 증가, 감소 시킬 필요가 있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개체군 생물학(population dynamics)과 보전생물학(conservation biology)에서 다루고 있을 것 같지만 기실 정반대이다. 오히려 캣맘 단체에 소속된 수의사들이 투고한 논문들이 대부분이며 이해관계가 얽힌 미 수의학회지에 게재되고 있으며[5]. 개체군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방법들을 이용하고 있다. 반면 생물학계에서 다른 동물들은 몰라도 길고양이의 개체수를 생식력 감소로 유지시키는 문제에는 관심이 없고,진지하게 TNR의 효과를 평가하려 한 논문들은 기껏해야 6 정도이다.

2.1. 개체수 관련 논문

이곳에 논문을 인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 수칙들을 지키도록 한다.
1. Effect of neutering on two groups of feral cats(필드 조사)
1984년, P. F. Neville, J. Remfry가 영국의 수의학 저널에 게재한 논문이다.
2. The changing life of feral cats (felis catus) at home and abroad(관찰)
1989년, 진공효과로 국내에 잘 알려진 Roger Tabor가 린네동물학회 저널에 게재한 논문이다.
3. Neutering of feral cats as an alternative to eradication programs(필드 조사)
1993년, Zaunbrecher와 Schmidt가 미국수의협회 저널에 게재한 논문으로, 한센병 센터인 GWLHDC의 3년간 TNR에 대한 결과를 소개 하였다.
4. Implementation of a Feral Cat Management Program on a University Campus
Hughes와 Slater이 응용동물복지수의협회지에 게재한 1998년 8월 2000년 7월까지 TAMU 대학에서 TNR을 한 기록에 대한 논문이다.
* 2년 동안 총 158마리가 관찰되었다. 첫 해에 123마리, 둘째 해에 새로 35마리가 관찰되었다.
* 이 중 154마리의 길고양이 중 36%를 TNR과 반대되는 방법(안락사/재사육)으로 제거하였다.
* 4 마리가 빠진 이유는 3마리가 사람을 물어 광견병 검사로 안락사 되었기 때문이다. 1마리는 재사육 되었다.
* 제거를 통한 방법을 제외하면 2년 동안 6마리만이 줄었다.
* 첫 해에 잡힌 새끼 길고양이가 20마리였으며, 둘째 해에 잡힌 새끼 길고양이가 6마리로 줄었으나 비율이 감소했다는 결론을 내릴 통계적 유의 수준에 들지 않았다고 하였다.
* 그러나, 둘째 해에 잡힌 3 마리는 처음 보는 곳에 있었고, 어미가 돌아오지 않았다는 근거로 이곳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결정내렸다. 따라서 6마리에서 3마리를 빼 3마리로 치면, 유의 수준에 들어간다. 따라서 TNR로 유의미하게 새끼 길고양이의 수를 감소[13]시켰다고 결론을 내렸다.
* 길고양이가 총 몇 마리인지는 여전히 모르는 상태이며, 개체수가 줄어들었는지 언급하지 않고 있다. "최대한 길고양이를 많이 중성화 하기 위해 총 개체 수를 세지 않았으며, 이 연구가 개체수 감소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므로 부정확하다"고 본인 스스로도 밝혔다[14],
* TNR 지지자들은 길고양이가 여분의 환경적 빈 틈(생태적 지위)를 채우게 하는 것이 다른 길고양이의 침입을 막아준다고 믿는다(believe)고 적었으며, 그 TNR 지지자들의 주장에 대한 인용 문서로 본인(Slater,1996)의 과거 논문과 동물보호를 위한 대학 연대(UFAW, 1995)을 인용으로 달았다. 또한 길고양이를 대폭 줄여 소수의 길고양이를 남게 하는 것은 먹이와 거주지가 남아있는 한 다시 번성함을 앞에서 말한 두 문서를 통해 다시 인용하였다.
* 총 4건의 교상사고가 있었고, 3마리가 정확한 광견병 검사를 위해 해부되었고, 1마리는 대학 방침의 변화로 목숨을 건졌다. 저자는 총 4 마리가 사람을 물었으며 대부분(3마리)이 TNR 초기에 일어난 것이고, 네 사건이 모두 사람 과실(human error)이라고 하였다. 첫번째 사례는 대학 관계자가 새끼 길고양이를 치우려다가 물린 것이다. 두번째 사례는, 수의대생이 길고양이를 수술하려 했는데, 호스가 빠져 마취가 풀려있던 길고양이가 물은 것이다. 세번째 사례는 길고양이가 포획틀 내부에서 몸으로 세게 부딪혀 문이 열려 풀려나 달아나려는 것을 누가 붙잡으려다 물린 것이다. 네번째는 수의대생이 새끼 길고양이와 놀아주다가 물렸는데, 목줄 안 하고 돌아다닌 개 때문에 놀랐을 것으로 짐작하였다. 앞의 세 사례는 새끼 길고양이를ㅌ 포함하여 모두 안락사 되었지만, 네 번째는 계류 후 광견병 예후가 관찰되지 않자 풀려났고, 대신 방사하지 않고 재사육 하였다. 해당 대학 병원 위원회는 사람을 물은 길고양이는 무조건 광견병 검사를 해 왔지만 연구가 끝날 즈음에는 사람을 물어도 계류하는 것으로 바뀌어 목숨을 건진 것이다.
* 6.5%가 고양이 에이즈(FIV)에만 감염, 5.8%가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0.6%가 모두 감염 되어 있었다.

5. Characteristics of free-roaming cats and their caretakers(사회 연구, 필드 조사)
2002년, Centonze와 Levy가 미국수의협회 저널에 게재한 논문이다.
6. Trap/neuter/release methods ineffective in controlling domestic cat "colonies" on public lands(필드 조사)
2003년, Castillo와 Clarke가 플로리다에서 이전부터 TNR이 시행되고 있는 두 공원에서 개체수의 변화를 약 1년 동안 각각 40일, 35일 간격으로 관찰한 논문이다.
7.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long-term trap-neuter-return and adoption program on a free-roaming cat population(필드 조사)
2003년 J K.Levy, D W. Gale, L A. Gale이 미국수의협회 저널에 게재한 논문으로 1991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캠퍼스에 TNR을 시행한 기록이다.
처분 방법 마릿수 퍼센트 소재 기간(년)
평균 중앙값 범위
남아 있는 23 15% 6.7 6.8 1.3 ~11.5
재사육된 73 47% 1.6 0.4 0 ~ 10.5
숲으로 이주 9 6% 0.6 0.1 0 ~ 2.2
불명 23 15% 3.3 2.9 0.4 ~ 7.5
죽은 10 6% 4.6 4.7 0.3 ~ 8.3
안락사된 17 11% 3.0 2.9 0 ~ 8.5
총합 155

8. Trap-neuter-release programs: the reality and the impacts(포럼 발표)
연구 논문 아님. 피어 리뷰 안 됨.
동물보호포럼에서 나온 다섯 의견 중 하나로 2004년 미국수의협회에 실린 Winter가 쓴 미국 여러 주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쓴 경험적, 예시적인 발표이다.
9. Analyzing approaches to feral cat management—one size does not fit all(포럼 발표)
연구 논문 아님. 피어 리뷰 안 됨.
동물보호포럼에서 나온 다섯 의견 중 하나로 2004년 미국수의협회에 실린 Stoskopf와 Nutter의 발표이다.
10. Use of matrix population models to estimate the efficacy of euthanasia versus trap-neuter-return for management of free-roaming cats(모형 분석)
2004년 Andersen 등은 미국 수의협회 저널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전의 길고양이를 관찰하며 길고양이가 다 자라기 이전과 이후의 생존율과 번식력을 조사한 연구들을 Leslie 행렬에 집어넣어 내적증가율(λ)을 계산하는 가장 단순한 개체군 모형을 통해 평가 하였다. 1) 고밀도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길고양이의 낮아진 번식력에 대한 적당한 기록이 없다.
2) 적은 개체 수에 그런 효과를 적용하는 것은 오버다.

11. Analysis of the impact of trap-neuter-return programs on populations of feral cats(필드 조사, 모형 분석)
2005년 P Foley, J E. Foley, J K. Levy, T Paik은 1992년~2003년 사이 캘리포니아 San Diego 카운티와, 그리고 1998년~2004년 사이 플로리다 Alachua 카운티에서 행해진 대규모 TNR 사례를 고전적인 로지스틱 개체군 성장 모형으로 가정하여 분석한 논문을 미국수의협회 저널에 게재하였다. 이 연구는 TNR이 급식소가 아닌 지역 단위로 시행되었을 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현재까지 미국 내 행해진 TNR의 분석으로서 최대 규모이다.
12. Evaluation of a Trap-Neuter-Return Management Program for Feral Cat Colonies: Population Dynamics, Home Ranges, and Potentially Zoonotic Diseases.(필드 조사, 시뮬레이션)
2005년, 9 Nutter의 박사 학위 논문으로 9의 Stoskopf가 논문 지도 교수이다. Stoskopf와 J. Levine 외 2인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의 박사 학위 논문 심사위원회에서 이 논문으로 Nutter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1998 2000 원 개체수 대비
C1 12 17 147%
C2 11 14 127%
C3 10 3 30%
Total 33 34
제거 방법 마리
50%, 55%, 60%를 1년에 제거 3.72, 3.69, 3.37
50%, 65%를 2년에 제거 6.9, 4.37
전체 무리의 95%, 100%를 중성화 7.53, 8.29


13. Management of feral domestic cat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Rome (Italy)(필드 조사)

2007년 Natoli 등이 로마의 VPS에서 기록한 TNR의 성과를 예방수의학 저널에 발표 하였다. 대규모로 장기간 TNR을 조사한 사례가 5를 제외하면 거의 없으며, 자신들의 연구를 어필하였다.
연도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식별됨 1418 1696 1174 1896 2064 1704
중성화 시킴 953 1257 1108 900 738 492
<표1-a>
연도 1997 1998 1999 2000
식별됨 1364 785 407 765
중성화 시킴 550 531 693 758
<표1-b>
처음 식별된 길고양이 수 1655
수의사들이 중성화 시킨 수 1005
개인이 중성화 시킨 수 419
현재 중성화 안 된 수 441
현재 식별된 길고양이 수 1293
<표2>
처음 나중 변동
총 길고양이 수 1655 1293 -22%
중성화 되어 있는 길고양이 수 1424 852[31] -40%
생식 능력이 있는 길고양이 수 231 441 +91%

14. Critical Assessment of Claims Regarding Management of Feral Cats by Trap–Neuter–Return
2009년, Longcore 등은 보전생물학 저널에 TNR 지지자들의 주요 주장들과 지금까지의 TNR 연구들을 정리하고, 비판하는 총설을 실었다.
(1)섬과 같은 환경에서만 생태계를 파괴하며 도시에서는 상관 없다.
(2)생태계의 일부분이며 따라서 박해가 아닌 보호를 해야 하는 동물이다.
(3)토착종의 감소의 이유라고 보기 어렵다.
(4)매개체가 되는 일은 드물며, 병원소가 아니다.
(5) (i)TNR은 개체수 감소 효과가 있으며, (ii)길고양이는 다른 길고양이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1)도시의 단편화 된 서식지는 생물이 살기 힘든 구획으로 둘러싸여 있는 점에서 섬과 똑같다. 거주지의 뜰과 같은 작은 장소도 토착종의 생존과 생물 다양성의 보호에 중요한 장소이다.
(2)길고양이는 외래침입종이며 기존의 생태적 지위(niche)를 갖고 있지 않다. 인위적인 먹이 제공은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계속 비자연적인 요소로 남게 한다. 길고양이는 배부른 정도와 관계 없이 토착종을 이유 없이 죽여 공존할 수 없다.
(3)은 국내와 국외의 생태 조사들과, 영국과 미국의 생물학자들이 추산한 길고양이에 의해 목숨을 잃는 포유류와 조류의 추계 등을 들었다.
(4)는 국내(플로리다 등)와 국외(동유럽)의 역학 조사에서 나타난 길고양이의 유병률, 길고양이에서 사람으로의 질병 전파 사례 등을 들었다.
(5) (i)길고양이의 유입과 유출이 만연한 상황에서 유입이 없다 가정하여도 TNR의 수학적 분석 결과는 71 ~ 94% 사이의 중성화율을 요구하고 있다(10,11) 10년 간 로마의 TNR 결과에 대해서 연구자들은 유입 때문에 '"시간, 돈, 노력의 낭비"'였다고 평가하고 있다(13) 피어 리뷰가 있는 저널에 실린 보고 중에 TNR로 개체수가 감소한 사례들은 집중적인 재사육을 통한 개체수 제거였다. 이런 경우 10의 감소 요건인 50%의 안락사 조건을 달성하여 개체수가 감소하게 된다. 길고양이가 다른 길고양이가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는 주장은 이전 연구들 뿐 아니라 TNR 지지자들의 연구에서도 부정되고 있다. 7에서 길고양이들은 근처의 숲과 군락지 사이를 오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ii)TNR 지지자들은 길고양이가 줄어들면 진공효과로 인해 다른 길고양이가 빈 자리를 차지하러 와 쓸모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나, TNR로 개체수가 줄어들면 그런 일이 왜 없는지 설명하지 않고 있다.

연구자들은 결론에서 TNR 지지자들 뿐 아니라 과학자들 또한 TNR 지지자들의 주장이 검증 되지 않은채 무비판적으로 사회에 유포되고 있음에도 대응하지 않아 TNR을 확산시킨 책임이 있다고 하였다. 이들은 비록 미국 연방정부 일부 부서들에서 TNR을 금지하는 제도가 시행 중에 있고, 특히 해군성의 조치는 인상적이지만, 미국은 수많은 자치체들이 결합한 연속체이며, 이들은 역량이 부족해 잘못된 결정을 내리기 쉽다며 이를 보강하기 위해 과학자들이 단체를 결성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동물보호가 아닌 환경 분야의 시각에서 TNR을 분석한 총론이 여태 없어 대응에 미숙했던 점 또한 지적하였다. Lepczyk 등은 이에 대한 답사에서, 큰 일을 해냈다고 칭찬하며, 보전생물학자들이 무관심했던 것은 길고양이가 생태계에 유해하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어 나서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다고 변명하였다

15. Utilization of matrix population models to assess a 3-year single treatment nonsurgical contraception program versus surgical sterilization in feral cat populations(모형 분석)
2009년, Budke와 Slater는 응용동물복지수의협회지에서 아무 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기, TNR, 3년간 효과가 유지되는 수술을 통하지 않은 불임제의 효과를 10년 후의 결과를 통해 비교하였다.
* 행렬 모형을 사용하고 있고, 10과 상당히 유사하나 번식력과 생식력에 대한 데이터의 선택은 조금 다르다.
* 총 9개의 시나리오 가운데, 고 번식력 - 저 생존율과 저 번식력 - 고 생존율은 제외한 7가지 경우만을 분석했으며 제외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있다. 9는 가능한 총 8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고려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각 경우에만 변수의 탄력성을 조사하고, 9처럼 극단적인 데이터(outlier)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 모든 경우를 종합하여 변수의 평균적인 탄력성을 조사하지 않았다.
* 매년 세 전략이 전체 개체수의 10%, 20%, 30%를 대상으로 적용된다고 가정하였다. 초기 개체수는 100마리로 가정하였다. 세 전략 모두 비율과는 상관 없이 모두 증가하였다. 단지 폭발적 증가, 급격한 증가, 완만한 증가의 차이였다.
* 포획 후 안락사와의 비교를 하지 않았다.
* TNR로 개체수 제자리(0%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3년이 평균 수명이라는 가정 아래 우선 청년기(210-300일부터 1년 이하)와 성년(1년 이상)을 매년 51%를 포획해야 한다. 이렇게 안정화를 시키고 나서 추가적으로 매년 14% 이상을 중성화 하거나, 청년기와 성년을 포함해 전체 71%가 중성화가 되어 있고, 성년의 81% 이상이 중성화가 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청년기의 중성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성년의 91%를 매년 중성화 해야 한다.
* 불임제를 이용해 개체수 제자리(0%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60%를 포획해야 한다. 이 수치는 불임제가 투여된 길고양이가 3년이 지나고 재포획 되는 것을 포함한 것으로 재포획 되지 않으면 60%로 불가능하다.
* 연구자가 말하고 있듯이 TNR 수술 인건비와 불임제의 가격은 고려하지 않았다

16. 2010년 Loyd와 DeVore는 생태학과 사회 저널에 게제된 논문에서, 10의 모델을 통한 개체수 예측과, 캣맘과 환경보호론자들의 정책에 대한 주관적 가치(Stakeholder values), 비용 등 개체수 외적인 내용들을 포함시켜 어떤 것이 적절한 정책인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17. 2011년 Campbell 등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학술대회집에서 전세계의 도서 지역 길고양이 정화 활동 분석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고양이 개체수 조절 방법을 평가하였다.
18. 2011년 Gunther 등은 이스라엘의 텔 아비브의 TNR 군락지 4곳, 총 260마리의 길고양이 무리를 1년간 관찰한 논문이 미국 수의사지에 게재되었다.
19. Estimation of effectiveness of three methods of feral cat population control by use of a simulation model
2013년 McCarthy 등은 미국수의학회 저널에 게제된 논문에서, 본인들이 만든 시뮬레이션을 돌려본 결과 기존의 TNR, 불임 시술을 시행한 TVHR, 살처분[35]의 세 방식 중 TVHR이 길고양이 수를 줄이는 데 가장 효율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Re: Whay ACCD do not recommend TVHR?
답변: 어째서 ACCD는 TVHR에 반대합니까?
Recognize that ACCD is highly funded by TNR advocates, and produced their own model that tries to support TNR. They specifically did not include dominance in their study (which is a known behavior in feral cats) societal structure (which definitely exists) and the fact that cats sterilized by routine methods with loss of hormones live longer (also well documented). Their conclusion was that “at certain intervention levels TNR can work”. We do not disagree with this. What is clear from multiple studies, and simple experience is that TNR does NOT decrease population numbers when performed at an intervention level that is reasonable and able to be obtained.
ACCD는 상당 부분의 자금을 TNR 지지자로부터 받고 있으며, TNR에 유리한 그들만의 생물학적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그 모델들에는 특별히 영역 활동(길고양이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이나 위계 질서나(분명히 존재하는) 중성화 된 길고양이가 더 오래 산다는 것(역시 잘 알려진 사실)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들의 연구 결론은 "어느 수준의 개입에 도달하면 TNR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입니다. 우리는 이것에 반대하지 않습니다. 여러 연구들과, 그리고 간단한 실험으로부터 분명하게 밝혀진 것은 TNR은 이성적이고 실현가능한 정도의 개입 수준으로는 개체수를 감소시키지 합니다. #메일 원문 사진1
The quote below is from page 504 of the manuscript:
For males, daily access to female social units was determined by level of dominance, with on ly 1 male accessing a social unit per day. In the model, male dominance level was a function of age, being 0 until the age of 319 days, then increasing linearly to 1.0 (great- est dominance) at the age of 1,080 days, and remaining at 1.0 thereafter. Sexually active males were limited to a specified maximum number of copulations per day (8). The bottom line is that there is absolutely no way that TVHR can perform WORSE than TNR with respect to population control. It can on ly perform the same or better. The “nuisance” factor that ACCD describes assumes that a cat is a “nuisance” if he/she has hormones, but not a nuisance if he/she does not. This is flawed, as if your goal is to protect local wildlife, ALL cats are a “nuisance”. It is also flawed because since vasectomy/hysterectomy decreases the total number of cats more rapidly, there are ultimately actually less hormonally intact cats.
이하 내용은 본문의 504 페이지에 나와 있는 것입니다:
수컷 길고양이에 있어서, 암컷 길고양이 군락지들에 대한 접근 권한은 권력의 정도에 의해서 결정되며, 한 마리의 수컷 길고양이만이 하루에 한 번 군집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모델에서, 남성 길고양이의 권력은 나이(319일까지는 0, 1080일까지 비례해 1까지 증가, 이후로는 1을 유지)의 함수입니다. 성 기능이 온전한 남성 길고양이는 최대 8마리 이상을 임신시킬 수 없습니다. (논문의)마지막 문단은 TVHR이 TNR보다 개체수 감소의 측면에서 더 나쁠 리가 없다는 것입니다. ACCD 학회에서 말하는 "골칫거리"(nuisance)는 길고양이가 성호르몬을 가지고 있느냐인데, 성호르몬을 가지고 있으면 "골칫거리"이고, 그렇지 않으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잘못된 것으로 만약 당신이 지역 내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모든 길고양이는 "골칫거리"입니다. 또한 정관 수술/자궁 적출 수술이 길고양이의 수를 더 빠르게 감소시킬 것이므로, 성기능이 온전한 고양이 수가 더 적게 될 것이므로 또한 잘못입니다. #메일 원문 사진2

20. 2014년 Levy 등은 수의학 저널에 게제된 논문에서, 보호소에 잡혀오는 고양이 수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길고양이의 절반 이상을 중성화하는 강력한 TNR 프로그램을 2년간 시행한 지역에서는 TNR을 시행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인구당 잡혀오는 고양이의 수는 3.5배, 인구당 안락사당하는 고양이의 수는 17.5배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이들은 TNR을 시행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보호소에 수용된 고양이의 수가 2년간 단지 12%밖에 감소하지 않았던 것에 반해 TNR 시행 지역에서는 66%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1. A Case of Letting the Cat out of The Bag—Why Trap-Neuter-Return Is Not an Ethical Solution for Stray Cat (Felis catus) Management
2020년 Crawford 등은 생물학 저널에 정량적 판단이 가능한 TNR 실험들을 대상으로 문헌 분석을 하였다.

2.2. 외부 학계 논문

이곳의 논문들은 단순히 TNR로 인한 개체수 감소 효과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뿐만 아니라 길고양이에 의해 파생되어지는 문제들에 대해서 다룬 논문들 또한 소개한다.

TNR의 효과에 대한 동향도 나와 있으면 외부 학계 연구자에게는 무엇을 근거로,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도 정리한다. 그 자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 연구자들, 외부 학계에서는 어떻게 걸러듣고 전해들어 인식하는지도 가늠할 수 있다.

2.3. 예방의학

미국수의사회에서 사이트에서 대중을 대상으로 선정해 공개한 논문 코너는 길고양이만 있는 게 아니며, 인수공통감염병 주의사항에 대해서도 있다. 이러한 코너들 또한 알아보기 쉽게 글씨를 강조해 놓았다.

2.3.1. 고양이로 인한 교상 사고

1. Animal Bites
2009년, Patronek 등은 미국수의사지에 동물에 의한 교상 사고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 논문은 인간의 동물에 의한 교상 사고를 다루나 개와 고양이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박쥐, 페럿과 같은 동물들도 나오지만 비중이 낮다. 고양이에 의한 교상사고만을 꺼내보면 내용은 다음과 같다.

2.3.2. 조류 독감

1. Avian Influenza A (H7N2) in Cats in Animal Shelters in NY; One Human Infection
2012년 12월 22일, 미국 질본은 뉴욕시 동물보호소에서 길고양이에서 사람으로의 조류 인플루엔자 A H7N2 바이러스 전파를 확인하였다.

2.3.3. 궤양코리네박테륨

1. 2017년 8월 10일 미국국립의학도서관(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에서 일본에서 길고양이에 먹이를 주던 캣맘이 감염되어 디프테리아로 인한 위막 형성으로 사망한 사례가 실렸다.

2.4. 생태학

2.4.1. 고양이는 한 해에 얼마나 많은 생물종을 죽이는가?

2.4.1.1. 조류
1. The impact of free-ranging domestic cats on wildlife of the United States
2013년 Loss 등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미국 전역의 조류 사망에 길고양이가 차지한 비율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2. 미 정부 자료
조류 사망 원인 분석은 위 네이처 퍼블리싱 연구가 시초인 미지의 영역도 아니며 오래된 연구 주제였고 그 때에도 순위권에서 빠진 적이 없었다.
2002년 팩트시트(Fact Sheet)에 의하면 사망 원인의 3위를 기록했으며 위스콘신 주의 연구[55]에 바탕했다.
미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USFWS)의 최신( 2016) 공지에서는 영원한 숙적 고층건물 충돌 사고를 제끼고 당당히 조류 사망 원인 1등을 차지하였다.

3. 다시 시작된 전쟁

2016년, TNR에 찬성[56]하는 미국 최대의 동물보호단체 HSUS 길고양이 전담 부서의 부장 Katie Lisnik은 지금까지의 개체수를 줄인다는 근거들은 불충분 하였음을 시인하고 TNR이 개체수를 줄인다는 더 강력한 후원 연구를 출판한 것을 예고하였다.
TNR과 관련된 성공담들은 충분히 많습니다. 『메리맥 강가의 길고양이 구조 모임』 단체에서는 1992년 300마리의 길고양이가 2009년에는 한 마리도 남김 없이 없어진 것을 보았습니다. 단체 『이웃길냥이』의 TNR은 맨해턴 2001년 70마리가 넘는 길고양이들이 오늘날에는 5마리만 남았습니다. 비록 증거는 없지만 무수히 많은 TNR이 성공한 사례들이 있고 급식소의 고양이가 없어진 것을 본 그 장소의 많은 목격자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례들은 TNR이 보급되고 확산되는 것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신이 묻는 사람들에 따라 그들은 이런 것을 TNR이 효과가 있다는 근거로 받아들이지 않습니다.[57]

당신은 TNR이 효과가 있다고 입증할 수 있습니까?[58]

뭘로요?[59]

무엇이 여러분의 성공의 정의입니까?[60]

내가 TNR의 반대자라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리고 나는 TNR이 효과가 있다는 아무런 근거도 없으며 따라서 TNR은 개체수를 줄이는데 아무런 일도 하지 못한다고 믿습니다[61]

일부 반대자들은 공청회나 언론, 대중적인 장소에 나와 피어리뷰를 거친, 출간된 과학 연구들을 들고 TNR은 효과가 없고, 길고양이는 조류를 죽이고 생태계를 파괴한다고 말합니다. 만약 이러한 논쟁이 여러분 지역 사회에서 벌어지면 당신은 TNR이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TNR을 금지하기 위한 법령이나 입법자들에게 데이터와 과학으로 설득하는 사람들에게 TNR이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당신은 평가 기준과 유도 심문을 허용하는 장소에서 그들에게 TNR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까?[62]
나는 지금 현재 출판된 연구들과 TNR의 효과에 대한 데이터들이 이상적이지 못함을 인정합니다. 나는 분명하게 직접적으로 TNR 때문에 길고양이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근거를 원합니다. 우리는 성공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일에 매진 중이며 여러분들도 성공하길 바랍니다.[63]
TNR이 길고양이 수를 줄여들었다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자료를 모아봅시다. 우리는 TNR이 효과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압니다. 우리는 단지 그것을 잘 증명하기만 하면 됩니다.[64]

[1] 따라서 AVMA의 입장을 인용하는 글을 읽을 때에는 언제 입장인지를 확실히 파악하고 읽을 필요가 있다. [2] 당시 미국수의협회 내에서도 의견이 갈렸는데, 동물복지위원회(AWC) 안에 대해 환경문제위원회(CEI)가 반발하였고 특히 TNR에 대해서는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지만(참고: #), 동물복지위원회안이 큰 수정 없이 통과하였다고 한다. [3] 미국수의사회가 명확한 입장을 내리지 못하는 이유는 근본적 구조 때문이다. 미국고양이수의사회, 미국동물병원수의사회와 같은 단체는 TNR을 지지하며, 미국야생동물수의사회, 미국조류수의사회와 같은 단체는 반대하기 때문이다. [4] 2016년 12월 11일 [5] 캣맘 단체 활동 이력, 동물보호단체 소속일시 그 단체의 TNR 지지 여부 또는 논문에서 길고양이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보면 된다. 대표적으로 ACA에서 일하는 플로리다 대학의 Levy, TAMU 대학의 Slater, 연예인에서 생물학자로 직업을 옮긴 영국인 Roger Tabor, 영국인 수의사 Jenny Remfry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름은 이곳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6] Cats at both sites were fed daily by the same feeder at 08.30 to 09.00. She reported having fed cats at these sites for over 16 years and welcomed the neutering scheme [7] 저자 왈 [8] Since this colony has return ed to five adults, no other cats have been observed at the feeding area and it is presumably at its minimum level of population for stability. [9] After the removal of the litter of kittens from group A, the colony comprised four adults and one young male, and this was probably be low the threshold number for stability of the colony [10] Availability of food is probably the major factor affecting stability of cat colonies and it is therefore interesting that , although not all of the food provided by the feeder is consumed by the cats each day, no new cats have been observed in group A since th e arrival of cat L. Such immigration is therefore being prevented by other means. [11] Since the study finished , however, the feeder reports that cats K and L are seen every day and rush forward to meet her at feeding time [12] The two colonies of neutered cats will ultimately become extinct unless immigration occurs at a rate at least equivalent to the rate of emigration and mortality. Provided immigrants are trapped and neutered the colonies will always tend towards decreasing in numbers rather than experiencing population explosions as a result of females being left unneutered and producing kittens. [13] p 해킹 [14] 25쪽 [15] 이 단체는 논문의 저자인 Levy JK가 창설한 단체이다 [16] 저자들은 다음 문단에 길고양이는 제거하기 쉬운 동물이 아니며 길고양이를 근절시키는데 성공한 환경 복원 사업들을 오래 걸렸다거나 대부분 밀도가 작은 섬들이었다는 식으로 폄훼 하였다 [17] 88쪽 [18] C3를 말하는 것이다 [19] 90쪽 [20] 조작이 얼마나 크게 결과를 왜곡시키는지 다른 리뷰어들이 수학적인 분석으로 계산, 증명 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이런 조작이 사기이다. [21] 2년마다 65 ~ 70%가 맞다. 195페이지 표3 [22] 80 ~ 85%가 맞다. 195페이지 표3 [23] 저자 중에 이곳 소속이 있다 [24] 사망과 행방 불명 [25] 중성화 된 고양이는 유입되지 않고, 중성화 안 된 길고양이는 한 마리도 죽지 않았다고 가정한 것이다. [26] http://www.alleycat.org/page.aspx?pid=1612 잘못 소개하고 있다 [27] Free-ranging Cats : Behavior, Ecology, Mangement, First Edition. Stephen Spotte [28] p. 183, section 3, paragraph 2 [29] 이것은 단어를 정확하게 소개하지 않은 연구자의 잘못에 가깝다 [30]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264864379_fig1_Figure-3-The-problem-of-Hypothesizing-After-the-Results-are-Known-HARKingFrom [31] 1293 - 441 [32] <표7> [33] <표7> [34] 미국질병관리본부 1996 [35] 이 논문은 학술적 용어인 안락사가 아닌 살처분이라는 표현을 썼다 [36] 독자 투고라고 생각하면 된다 [37] In Australia, TNR has previously been reject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Australian Veterinary Association as an in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y for stray cats. [38] Despite this, and public support for the control of cat numbers and legislative initiatives, calls persist for widespread trials of TNR. [39] The success of TNR programs is therefore contingent on demonstrating colony extinction or decreases in stray cat numbers over time. [40] Only 11 published TNR studies (representing USA, Canada, UK, Israel, Italy and Australia) present data from an initial census (i.e., immediately before or at the time the TNR program commenced) and then a follow-up census [41] ... and did not report extinction of colonies [42] The claimed ‘success’ of some studies in reducing cat numbers has been interpreted as ample evidence that TNR programs are effective. [43] However, the number of cats that were adopted in these studies contributed markedly to the overall decrease and thus apparent ‘success’ of TNR. [44] Most did not manage to neuter all cats, and most euthanized a proportion of cats. [45] However, removing cats for adoption creates the very ‘vacuum effect’ that TNR colonies are supposed to prevent, with regular removals placing colonies in a permanent state of flux. [46] There is therefore a fundamental conflict in the scientific principles of TNR in theory vs. reality. [47] Furthermore, all of the 11 TNR studies reported new cats joining colonies [48] These studies therefore demonstrate that colonies are rarely closed-populations and that the definition of a ‘stable colony’ is loosely interpreted by TNR managers [49]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the changes in population size with efforts as only a few of these studies reported some of the financial and labor costs of their TNR program [50] We also concur with Winter in calling for accurate record keeping across TNR studies. [51] Controlled experimental designs are potentially the most powerful tool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NR, but they are scarce. [52] 동료 평가 [53] Cat Wars, The Devastating Consequences of a Cuddly Killer(2016: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54] ibid, 79쪽 [55] 출처를 밝히지 않고 있지만 유명세로나 순위로나 John Coleman과 Stanley Temple의 연구가 분명하다 [56] 과거에는 TNR에 반대했었으나 찬성으로 선회함 [57] Amazing success stories about trap/neuter/return programs abound. The Merrimack River Feline Rescue Society was founded on one: Having started with more than 300 cats in 1992, the last cat from that colony passed away in 2009. Through the diligent work of Neighborhood Cats, Riverside Park in Manhattan went from having more than 70 cats in 2001 to fewer than 5 today. There are countless anecdotal examples of how well TNR works, many with visual proof in the absence of cats at the sites. These examples help build momentum and fuel more TNR. But depending on who you ask, they don’t prove that TNR works [58] Can you prove that your program works? [59] How? [60] What is your definition of success? [61] Pretend I’m an opponent to TNR, and I believe there is no evidence that TNR works and that it has done nothing to reduce cat numbers. [62] Some opponents come to hearings, media interviews and public meetings armed with peer-reviewed, published, scientific studies that say TNR doesn’t work and cats kill birds and damage ecosystems. If these arguments are made in your community, will you be able to demonstrate your program’s success? Could you do it in a hearing about a bill introduced to prohibit TNR, speaking to legislators who expect data and science? Can you do it in a way that will stand up to probing questions and allow for replication? [63] I acknowledge that current published science and data on TNR effectiveness is not ideal. I want that definitive study that show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argeted TNR interventions and fewer unowned cats in that area. I know we will get there. We’re working on it, and hope you will, too [64] Let’s gather the data that will allow us to confidently substantiate that TNR reduces the number of cats outdoors. Let’s show that targeted, strategic TNR works in the interests of animals, ecosystems and communitie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