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9 23:10:25

T-72/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72
Т-72 «Урал»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평가


1. 개요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2.1.2. 러시아2.1.3. 벨라루스2.1.4. 우크라이나2.1.5. 몰도바
2.2. 북유럽
2.2.1. 스웨덴2.2.2. 핀란드
2.3. 중부유럽
2.3.1. 폴란드2.3.2. 체코
2.4. 남유럽
2.4.1. 세르비아
3. 아시아
3.1. 동북아시아
3.1.1. 대한민국3.1.2. 북한3.1.3. 중국
3.2. 동남아시아
3.2.1. 미얀마3.2.2. 말레이시아3.2.3. 베트남3.2.4. 라오스
3.3. 중앙아시아
3.3.1. 우즈베키스탄3.3.2. 몽골3.3.3. 카자흐스탄3.3.4. 타지키스탄
3.4. 서아시아
3.4.1. 이라크
3.4.1.1. 카타이브 헤즈볼라
3.4.2.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3.4.3. 시리아3.4.4. 예멘
4. 아프리카
4.1. 북아프리카
4.1.1. 나이지리아
4.2. 동아프리카
4.2.1. 에티오피아
5. 아메리카
5.1. 남아메리카
5.1.1. 베네수엘라

1. 개요

T-72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T-72는 비교적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바르샤바 조약군에도 많이 공급되었으며 폴란드, 체코, 인도 등지에서 라이센스 생산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국이나 북한처럼 60년대 이후 소련과 사이가 틀어진 공산권 국가에는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T-55 T-62의 뒤를 이어 중동 아랍 국가의 주력 전차로 자리매김하여 시리아, 리비아, 이라크 등지에도 수출되었다.

중국은 앞서 설명한 대로 중국-소련 국경분쟁 이래로 신형 소련 전차를 일절 공급받지 못했으므로, 80년대까지는 오히려 서방 세계에 접근하여 기술을 이전받아 59식 전차를 기반으로 한 기존 전차들의 개량형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나 천안문 사태로 인해 서방 세계의 기술 이전이 완전히 단절되고, 이후 소련이 해체되자 우크라이나(소련 붕괴 이후에 T-64와 T-80UD를 개발한 모로초프 설계국을 보유하게 되었다)로부터 T-72A를 소수 도입, 역설계하여 신형 전차 개발을 시도했고, 이후에는 기술 이전(주로 6ТД계열 대향피스톤 엔진)을 통해서 98/99식 전차를 제작하게 된다. 98/99식 전차의 보기륜을 보면 그것이 T-72의 방계 후손(혹은 사생아)임을 추측할 수 있다.

북한 역시 중국과 소련 사이에서 어설프게 줄타기를 한 대가로 소련으로부터 최신 무기를 거의 공급받지 못했으므로 현재까지 북한의 주력전차는 중동에서 입수해 카피 생산한 T-62와 그 파생형( 천마호 시리즈)이었다. 물론 K-1 전차에 의해 발생한 전차 기술의 격차는 천마호 정도로는 전혀 극복이 불가능했으므로, 북한은 125mm 포 전차(물론 만만한 T-72)를 획득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여왔고 결국 뜬 소문에 그쳤던 북한의 T-72 보유 관련하여 적어도 T-72를 연구용으로 소수 보유한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모 일본인 블로거의 김정일의 예전 인민무력부 혁명사적관을 시찰하는 기록영화에서 발견된 T-72 우랄형 관련 분석글, 번역 요약글

대한민국 역시 이에 대응하여 T-72를 상대할 수 있도록 120mm 포 탑재 K1A1 전차를 배치하기 시작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북한이 T-72를 운용하고 있지 않다는 의견이 대세였는데 왜냐면 공식 퍼레이드에도 T-72 계열형은 물론이고 125mm 포 전차 자체가 관측된 바가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소련 붕괴기나 아직 대북제재가 빡세지 않던 틈을 타서 연구용으로 최소 1-2대 정도에서 최대 5대 내외 정도 입수하였으나, 위성사진을 미친듯이 돌려도 T-72로 추정되는 물건은 없기에 두자리-세자릿수 대의 도입은 없다고 보는게 좋을 성 싶다. T-62 마개조형을 민족 최고 전차라고 자랑하는 북한의 실태를 보면 T-72를 입수했을 때 자랑을 안 했을 리가 없다. 2010년 10월 공개된 폭풍호가 T-72급 전차일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나중에 드러난 바에 따르면 폭풍호는 T-62의 최종개량형이었다. 그나마 그 후에 등장한 선군호가 125mm 주포를 탑재하는 등 T-72급은 된다고 평가받고 있다.

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

파일:Park_Patriot_2015_T-72A(1979).jpg
애국 공원 소장 T-72A
원 제조국 및 사용국.

2.1.2. 러시아

파일:2021_Moscow_Victory_Day_Parade_022.jpg
러시아 육군 소속 T-72B3

2.1.3. 벨라루스

2.1.4. 우크라이나

파일:Ukrainian T-72B3 Obr. 2016 in Donetsk.webp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T-72B3 2016년형
우크라이나군의 주력전차 중 하나로 사용 중이다.

2.1.5. 몰도바

독립 직후 잠깐 운용했으며, 1992년 경에 전부 퇴역하여 장갑차만 운용 중 이다.

2.2. 북유럽

2.2.1. 스웨덴

파일:Arsenalen_Tank_Museum_T-72M1.jpg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T-72M1 "비트만"
동독으로부터 T-72 8대를 구매해 그 중 7대는 표적용으로 사용하고, 1대는 테스트용도로 사용했다.

2.2.2. 핀란드

파일:Finland T-72 M1_15.jpg
핀란드 육군 소속 T-72M1
핀란드화 외교의 일종으로 1984년 동독에서 T-72M1을 수입해 2006년까지 운용하였다

2.3. 중부유럽

2.3.1. 폴란드

파일:Polish_T-72.webp
폴란드 육군 소속 T-72
냉전 시기 다수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배치하였으며 냉전 이후에는 PT-91 트바르디로 개수하여 운용 중에 있다.

2022년 이후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폴란드는 동구권제 MBT인 T-72계열 대다수와 PT-91 일부를 우크라이나에 공여하고 그 빈자리를 레오파르트 2, M1 에이브람스, K-2 등 서방제 MBT로 채우려 하고 있다.

2.3.2. 체코

파일:czech_army_2.jpg
체코 육군 소속 T-72M4CZ
체코에서 자체 개량한 T-72M4CZ 30대를 운용 중이다.

2.4. 남유럽

2.4.1. 세르비아

M-84와 같이 사용한다.

3. 아시아

3.1. 동북아시아

3.1.1. 대한민국

파일:external/mmzone.co.kr/mmzimg12547440113520.jpg
상무대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 소장 T-72M1
북한의 T-72 도입설으로 인해 연구용으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3대를 도입하여 상무대에서 운용하였다.

3.1.2. 북한

파일:Kim Jung Il in front of T-72 Ural.jpg
인민무력부 혁명사적관을 시찰하는 김정일과 T-72 우랄
우랄형 1~3대를 연구용으로 보유중이며 선군호 M-2020등의 신형 장비에서 T-72의 특성이 어느정도 나타나는걸 보아 기존장비에 접목시키는 형태로 사용된듯 하다.

3.1.3. 중국

파일:Chinese_T-72M1_obtained_from_Romania.jpg
노린코의 T-72M1 업그레이드형
파일:Chinese_T-72_Ural-1.jpg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T-72 우랄-1
연구용으로 루마니아로부터 T-72 우랄-1, T-72M1을 교환해 사용했다.

3.2. 동남아시아

3.2.1. 미얀마

파일:Myanmar_Army_T-72S.jpg
미얀마 육군 소속 T-72S

3.2.2. 말레이시아

폴란드 파생형인 PT-91 트바르디를 사용한다.

3.2.3. 베트남

T-72M1을 소수 사용중.

3.2.4. 라오스

T-72M1을 사용하며, 일부 차량은 러시아와의 물물교환으로 T-34-85[1]와 교환하여 추가도입을 하였다.

3.3. 중앙아시아

3.3.1. 우즈베키스탄

파일:Uzbek_T-72.jpg
우즈베키스탄 육군 소속 T-72

3.3.2. 몽골

3.3.3. 카자흐스탄

3.3.4. 타지키스탄

3.4. 서아시아

3.4.1. 이라크

3.4.1.1. 카타이브 헤즈볼라
파일:Kataib Hezbollah T-72S.png
카타이브 헤즈볼라 소속 T-72S

3.4.2.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파일:external/pbs.twimg.com/BsMrk5yIYAEmAIJ.jpg
IS 소속 T-72AV
T-72AV 및 그외의 다른 버전들을 시리아 정부군과 이라크군으로부터 노획해 사용하다 대부분 전쟁에서 소모되었다.

3.4.3. 시리아

파일:Syrian T-72M1 during Civil War, 2013.jpg
시리아 육군 소속 T-72M1
시리아군의 주력 전차로서 사용하고 있다.

3.4.4. 예멘

파일:Sana'a. Parade of the Presidential Protection Brigades..jpg
퍼레이드 참가 예멘 정부군 대통령 경호 여단 소속 T-72

4. 아프리카

4.1. 북아프리카

4.1.1. 나이지리아

파일:Nigerian_T-72M1.jpg
나이지리아 육군 소속 T-72M1

4.2. 동아프리카

4.2.1. 에티오피아

우크라이나로부터 T-72UA1형 200여대를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5. 아메리카

5.1. 남아메리카

5.1.1. 베네수엘라

파일:Bolivarian_Army_of_Venezuela_T-72V.jpg
베네수엘라 육군 소속 T-72V


[1] 왜 21세기에 T-34인가 하면, 러시아가 열병식때 2차대전 재현을 위한 차량으로 써먹으려고 자국 내에 남아있는 노후 T-72M1과 물물교환을 제안했다고 한다. 교환할 당시 러시아 국내에 멀쩡한 T-34가 없었다는 듯.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4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4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