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6:44:56

과학기술사회학

STS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Space Transportation System에 대한 내용은 우주왕복선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 Mega Crit Games에서 제작한 카드게임에 대한 내용은 Slay the Spire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STS의 세부 갈래들3. STS 과정이 개설되어있는 대학들4. 함께 보기

1. 개요

科學技術社會學

과학 기술, 사회가 서로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연구하는 학문. STS로 줄여서 부른다.

아직까지 STS의 용어가 정립되지 않고 있는데, 크게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과학기술학)과,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과학-기술-사회)라는 용어가 혼재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학기술학”은 모든 메타과학학문을 포괄하는 용어로 이해되고 있으며, “과학-기술-사회”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 과학기술 내부의 사회적 관계(과학기술자, 정부, 대학, 제도 등)를 주로 다루는 학문으로 이해되고 있다.

한때 21세기의 지성이 나아가야 할 길로까지 주목받았으나, 현재 상황은 과학철학과 크게 다르지 않다. 과학철학 문서의 내용 중 일부분은 STS의 상황을 서술하고 있는 것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STS와 과학철학과의 관계는 조금 독특한데, 두 학문 모두 과학에 대한 메타학문(이른바 과학학(Science Studies))이라는 학문적 근친성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주제에서 차이를 보여 왔으며, 방법론적 측면도 크게 다르고 과학에 대한 접근법과 주류적 입장 역시 다른 편이다. 거칠게 말해서 이는 두 사상의 뿌리가 다르기 때문인데, 과학철학은 과학의 이해에 대한 기반을 둔 분석철학 전통에서 유래했다면, 과학사회학은 과학의 영향에 대한 성찰에 기반을 두고 이를 비판하고자 한 대륙철학의 영향이 더 크다. 홍성욱 등의 학자는 과학기술학과 과학철학의 관계보다 오히려 과학철학 과학의 관계가 더 가깝게 보인다고 했다.

많은 학생들이 학업에 치여 놓치고 지나가는 사실이지만,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에서 중요한 축 중 하나로 잡힌 것이 STS이다. 평가원에서 교육과정 해설서를 구해서 읽어 보길. 대표적인 학자로는 브뤼노 라투르가 있으며, 과학에 대한 관점에 따라 기술결정론, 사회구성주의, 구성주의 등의 관점이 있다.

2. STS의 세부 갈래들

3. STS 과정이 개설되어있는 대학들

4. 함께 보기



[1] 성공적인 과학 교육을 위해서는 과학과 기술과 사회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 생물학의 성과 중 하나인 진화론 물리학의 성과 중 하나인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의 보급은 인류의 가치관을 통째로 들었다 놓았다. 그리고 생명과학 교육에 있어서 툭하면 튀어나오는 윤리 문제가 이 경우의 대표적인 예시이도 하다. [2] 이전에 누가 과학기술사회학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고 서술해놨으나 사실이 아니다. 학과 이름을 봐도 학부가 아닌 학과이기 때문에 과학기술사회학을 주요 전공으로 선택하여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