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0:34:56

SBS 가요대전

가요대전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지상파 3사의 연말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 MBC 연기대상 SBS 연기대상
연예대상 KBS 연예대상 MBC 방송연예대상 SBS 연예대상
연말 가요제 KBS 가요대축제
KBS 국악대상
MBC 가요대제전 SBS 가요대전
}}}}}}}}} ||

SBS 가요대전
역사 | 논란 및 사건 사고
2012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상반기 2024년 하반기 2024년 트롯 2025년 2026년
단독 문서가 개설된 역사만 기록합니다.
함께 보기 틀:가요대축제 | 틀:가요대제전
SBS 가요대전
파일:2024 SBS 가요대전 Summer 포스터2.png
<colbgcolor=#00558f><colcolor=#fff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최 스튜디오프리즘
첫 개최 연도 1996년([age(1996-01-01)]주년)
1. 개요2. 연혁3. 역사4. 논란 및 사건 사고5. 역대 대상
5.1. 역대 SBS 스타상 가수부문 대상5.2. 역대 SBS 가요대전 대상5.3. 앨범상 / 음원상
6. 역대 진행자7. 시청률

[clearfix]

1. 개요

1996년부터 시행되어 2017년부터 매년 크리스마스에 방송하고 있는 SBS 연말 가요제.

2013년까지는 매년 12월 29일이 고정 방송일로 정해져 있었으나, 2014년부터 SBS 어워즈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통합되면서 방영일자가 유동적으로 변경되고 있다. 1996년에는 12월 29일이 일요일이여서 당시 SBS의 가요 프로그램이던 'SBS TV가요20'이 대체방송으로 편성되었다. 이처럼 SBS 가요대전은 연말 마지막 주 SBS 인기가요의 편성을 자연스레 대체하고 있다.[1] 그리고 2017년부터 성탄절에 개최하는 걸로 고정되면서 저녁시간에 진행됨에 따라 성탄절 당일 SBS 8 뉴스가 밤 9시에 시작하고 있다.

2. 연혁

원래는 시상식 형태였다. 1991년 개국때부터 1993년까지는 ' 서울가요대상'[2]으로 진행되었고, 1994~1995년은 'SBS 스타상 가수 부문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1992년~1995년 가요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던 아티스트인 서태지와 아이들이 "축제 형식 연말 가요 프로그램은 출연을 고려해 보겠지만 '시상식'은 참여를 거부하겠다"며 보이콧을 선언했기 때문이다.[3] 이 때문에 SBS뿐만아니라 MBC, KBS도 모두 1993~1997년경은 "한국가요제전"이나 "가요대축제"등으로 이름을 잠시 바꾸고 NHK 홍백가합전식 팀 대결을 도입하기도 했었다.

이후 1990년대말 공정성 논란과 음반 시장 불황 등이 겹쳐 2007년부터는 KBS 가요대축제처럼 시상식이 아닌 그냥 가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가 2014년에 잠정적으로 시상제도를 다시 시행했다.[4]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축제 가운데 유일하게 첫 개최 당시부터 제목의 변경없이 이와 같은 타이틀을 사용하고 있으며 연말 가요축제로 포맷을 변경한 직후인 2007년엔 장충체육관,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일산신도시에 있는 KINTEX에서 진행되었으며, 2012년엔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SBS 등촌동 공개홀에서 이원 생중계되었다. 2013년에는 다시 KINTEX에서 진행되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코엑스와 상암동 SBS 상암동 프리즘타워에서 이원 생중계로 진행되었다.[5] 2016년에는 COEX에서만 진행되었다. 그리고 2017년부터는 'SAF'라는 명칭을 떼고 SBS 가요대전으로 복귀했으며 크리스마스 이브 혹은 성탄절에 열리는 것으로 고정했다. 2019년까지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렸다. 2020년에는 대구육상진흥센터에서 열렸다. 2021년에는 인천광역시 남동체육관에서 열렸다.

방송 3사 중 준비성이 가장 철저하지만, 정작 내용은 매년 수준 이하의 진행으로 혹평받는다. 음향 및 카메라 문제, 홍보에 비해 정작 볼거리가 없는 등이 대부분이다. SBS 인기가요가 2009년 이후 타사에 비해 수준높은 카메라워크로 호평받는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 연말 시상식은 SBS의 미디어 자회사뿐만 아니라 본사 부장급 이상 카메라감독들도 모두 투입되고 PD인력들도 죄다 투입되는데, 평소 전담으로 무대를 꾸미던 팀이 갑자기 외부 인원이 늘어나니 호흡도 잘 안 맞고 제작 현장이 전쟁터다.[6] 특히 SBS는 신해철 사망 당해년도의 추모 무대 기획 같은 건 주목받았지만, 웬디 추락 사건 등 크고 작은 잡음들이 항상 따라붙어서 2010년대 내내 혹평받았다.

타사 연말 가요제에 비해 힙합 장르를 챙기는 점이 특징. 2010년에는 타이거 JK 정인의 합동 무대가 있었고, 2011년에는 윤미래의 무대가 있었다. 이후 2012년은 에픽하이 다이나믹 듀오, 사이먼 도미닉[7]의 합동 무대가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이름값만큼 화려한 퍼포먼스는 매년 좋은 평가를 얻는다.

파일:external/pbs.twimg.com/Crfbd2EUAAAZaFq.jpg
2008년에 개최된 가요대전은 지상파 최고의 연말 가요제 라인업을 자랑한다. 아이돌( 쥬얼리, 동방신기, SUPER JUNIOR-Happy, BIGBANG, 원더걸스, 카라, FTISLAND, SHINee, 2AM, 2PM 등), 트로트( 송대관, 태진아, 박현빈, 장윤정 등), 힙합( 에픽하이, 다이나믹 듀오 등), 발라드( SG워너비, 다비치 등) 등 다양한 장르와 김종국, 손담비 등 솔로 가수도 대거 출연했고 심지어 서태지, , 이효리, 보아라는 거물급 가수까지 무대를 선보여 2008년 연말을 화려하게 장식했다.[8]

하지만 이 이후부터는 지상파 3사 연말 가요제 중 가장 아이돌 위주로만 편향된 라인업 구성에, 음향 및 카메라도 매년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며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3. 역사


4.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BS 가요대전/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대상

5.1. 역대 SBS 스타상 가수부문 대상

<rowcolor=#ffffff> 횟수 연도 수상자 및 수상 그룹
1회 1992년 -
2회 1993년
3회 1994년 김건모 핑계
4회 1995년 룰라 날개 잃은 천사
5회 1996년 클론 꿍따리 샤바라

5.2. 역대 SBS 가요대전 대상

<rowcolor=#ffffff> 횟수 연도 수상자 및 수상 그룹
1회 1996년 - [9][10]
2회 1997년 H.O.T. 행복
3회 1998년 H.O.T.
4회 1999년 핑클 영원한 사랑
5회 2000년 조성모 아시나요
6회 2001년 god
7회 2002년 보아 No.1
8회 2003년 이효리 10 minutes
9회 2004년 신화 Brand New
10회 2005년 김종국 제자리 걸음
11회 2006년 동방신기 "O"-正.反.合.
2007~2013년 시상 중단

5.3. 앨범상 / 음원상

8년 만에 부활한 가요대전 시상식은 음원상과 음반상 부문으로 상을 나눴으며 대상 부문은 따로 없다.[11]
<rowcolor=#ffffff> 횟수 연도 앨범상 / 음원상
18회 2014년 EXO 중독(Overdose)》 / 소유X 정기고
2015년 ~ 시상 중단

6. 역대 진행자

<rowcolor=#ffffff> 연도 개최 시기 남성 여성 장소
1996년 12월 유정현 김희선 등촌동 SBS 공개홀
1997년 서세원
김승현
최지우 올림픽체조경기장
1998년 김승현 김희선 88체육관
1999년 최지우 올림픽체조경기장
2000년 서세원 채림
2001년 김정은 올림픽펜싱경기장
2002년 이문세 정지영
2003년 김정은
2004년 성유리 COEX C홀
2005년 이보영 88체육관
2006년 박진희 KINTEX 제1전시장
2007년 이휘재 이효리 장충체육관
2008년 이천희
대성
박예진[12] KINTEX 제1전시장
2009년 김희철
정용화
박신혜
2010년 김희철
정용화
조권
황정음
2011년 이승기 송지효
윤아
KINTEX 제2전시장 9B홀
2012년 정겨운 아이유
수지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2013년 성시경
김희철
산다라박 KINTEX 제1전시장
2014년 정용화
닉쿤
송민호

바로
송지효 COEX D홀
2015년 신동엽 아이유
2016년 유희열
백현
유리
2017년 유희열 아이유 고척 스카이돔
2018년 전현무 조보아
2019년 설현
2020년
김희철
이나은 대구육상진흥센터
2021년
유나 인천 남동체육관
2022년 차은우
안유진[13][14] 고척 스카이돔
2023년 연준
인스파이어 아레나
2024년[15] 7월 연준
도영
12월

7. 시청률

<rowcolor=#ffffff> 연도 구분 방영일 전국 수도권
<colbgcolor=#00558f><colcolor=#ffffff> 2006년 1부 12. 29. 10.8% 12.3%
2부 14.5% 15.7%
2007년 1부 11.2% 11.8%
2부 10.5% 11.3%
2008년 1부 16.6% 17.5%
2부 16.2% 17.5%
2009년 1부 17.4% 18.5%
2부 15.9% 17.2%
2010년 1부 14.1% 15.5%
2부 12.8% 15.1%
2011년 1부 13.2% 14.9%
2부 12.7% 14.6%
2012년 1부 10.0% 11.2%
2부 8.8% 10.4%
2013년 1부 7.8% 8.4%
2부 7.6% 8.1%
2014년 1부 12. 21. 6.6% 8.5%
2부 6.6% 10.0%
2015년 1부 12. 27. 7.3% 7.5%
2부 6.9% 7.5%
2016년 1부 12. 26. 6.9% 6.5%
2부 7.0% 7.2%
2017년 1부 12. 25. 6.3% 6.3%
2부 8.6% 9.2%
2018년 1부 5.0% 6.4%
2부 7.0% 7.4%
2019년 1부 3.9% 5.9%
2부 5.9% 6.7%
3부 6.7% 7.8%
2020년 1부 3.8% 5.0-%
2부 3.6% 5.0-%
3부 4.5% 5.0%
2021년 1부 2.5%
2부 1.7%
2022년 1부 12. 24. 2.2%
2부 2.5%
3부 2.3%
2023년 1부 12. 25. 2.2%
2부 2.4%
3부 2.4%
2024년 - 7. 26.[16] 1.0%

[1] KBS 가요대축제가 2012년부터 금요일 편성으로 옮긴 후 뮤직뱅크 대체 편성 역할을 하고 있는 행보와 같은 셈. [2] 스포츠서울이 주관하는 시상식. 또한 당시는 SBS가 (주)서울방송이란 이름이었고, 서울·경인 일부지역 지상파 로컬 방송이었으며 2007년까지 SBS가 이 시상식을 중계했다. [3] 사실 이는 1980년대초 조용필이 원조다. [4] 2015년에는 수상이 아예 없었다고 보긴 힘들지만, 올해의 리더상과 홍보대사상 같은 비공식적인 부문의 시상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시상식이라 단정짓기는 힘들다. [5] 특히 2014년 가요대전은 SBS의 통합 시상식 겸 방송 체험 전시회인 SAF(SBS Awards Festival)와 연계돼서 진행되는 첫 가요대전이었다. [6] 이는 KBS도 비슷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7] 내로라 하는 아이돌들을 제치고 2부 오프닝도 맡았다. [8] 당시 1부 19.0%, 2부 18.0%라는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동시간대 방송된 2008 MBC 방송연예대상과 1% 차이였다. MBC‘방송연예대상’, SBS‘가요대전’시청률눌러 [9] 당시에는 그룹과 솔로 가수를 각각 5팀씩 선정하여 10대 가수 가요대전이라는 타이틀로 시상식을 진행했다. [10] 이 해에는 SBS 가요대전이 처음 신설되었지만 대상은 시상하지 않았고, 가요대전 대상은 SBS 스타상 가수부문 대상으로 대체되었다. [11] 시상식 부활한 SBS '가요대전', 대상은 없다 [12] 이때 3명의 MC 모두 SBS 패밀리가 떴다의 간판 출연자들이었다. [13] 역대 가요대전 여성 진행자 최초 2년 연속 진행 [14] 2024년에도 안유진이 진행을 맡으며 여성 MC 최초 3년 연속으로 진행을 맡게 되었다. [15] 역대 가요대전 최초로 7월과 12월로 나뉘어 개최될 예정이다. [16] TV 방영은 생중계가 아닌 녹화분으로 방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