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0:48:00

ONTHECAT 온더캣

온더캣
ONTHECAT
파일:온더캣222.jpg
<colcolor=#373a3c><colbgcolor=#808080> 본명 안동혁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출생 2003년 ([age(2003-12-31)]~[age(2003-01-01)]세)[1]
직업 및 신분 대학생
유튜브 개설일 2020년 9월 10일
구독자 24.5만명[기준]
총 조회수 63,381,195회[기준]
관련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애니메이션 목록
3.1. in The Skeld
3.1.1. 등장 캐릭터
3.2. in Mira HQ
3.2.1. 등장 캐릭터
3.3. in Polus
3.3.1. 등장 캐릭터
3.4. 기타3.5. 이스터에그
4. 여담

[clearfix]

1. 개요

그냥 아무 애니메이션이나 만드는 채널입니다.
현재[4] 고3이라 영상 올리는 시간이 늦어지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5]
채널 설명.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유튜버. 채널 가입 후 만든 첫 번째 애니메이션인 Among Us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대표작이다.

2. 특징

학생이 만든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한다. 2D와 3D의 적절한 배치로 전체적인 기반은 2D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공간감이 느껴지며, 효과음이나 배경음 역시 상황과 잘 맞아떨어진다. 스토리 역시 복선 회수와 진행, 반전이 자연스럽다. 다른 Among Us 팬 애니메이션은 직접 그린 티가 나는 반면 이쪽은 무려 개발진 혀를 내두를 정도. 이러한 퀄리티와 Among Us라는 소재가 어우러지면서 유명세를 얻었다.

2020년 9월 10일 채널을 개설하고 첫 영상을 올린 지 11일만인 9월 21일에 구독자 1만명, 약 1달 만인 10월 17일에 구독자 5만 명을 달성했다. 그리고 10월 28일에 구독자 10만명, 2021년 1월 18일에는 구독자 20만명을 돌파했다. 실시간 구독자[6]

3. 애니메이션 목록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in The Skeld


온더캣의 최초의 애니메이션이자 현재의 온더캣을 만든 애니메이션. 에피소드는 총 6개이며 The Skeld 맵을 기반으로 했다.

이후 10월 17일에 본작의 합본이 올라왔는데, 영상 마지막에 있던 생존 크루원/임포스터 목록이 사라진 대신 누군가가 죽거나 퇴출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영어 자막이 추가되었으며 원래 장면에 없던 브금이 합본에 추가되거나 마지막에 아무 말이나 적어놓은 듯한 스태프롤[7]이 추가되는 등 센스 있는 오리지널 요소들이 많다.

합본의 썸네일은 정황상 1편의 일행이 우주선을 타기 전에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

3.1.1. 등장 캐릭터

사망하거나 추방된 순서대로 색과 행적을 서술한다.
크루원[크루]은 이름이 파란색, 확정 시민[확시]파란색 밑줄, 임포스터는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살해 당했다면 , 추방되었다면 X, 생존했다면 O, 생사 불명은 ?로 표시. 사망하거나 추방된 화는 각주가 아닌 맨 마지막에 표시한다.

3.2. in Mira HQ


Mira HQ 맵에서의 어몽어스 애니메이션. 에피소드는 총 6개이며 시즌 1과 동일한 세계관이다. 이전과는 다르게 캐릭터들은 스킨과 모자, 펫도 다 장착하고 있다.

그런데 본작의 신규 캐릭터 중에서 임포스터라고 확실히 밝혀진 인물은 없었다.[20]

여담으로 본작은 실제 게임의 룰을 벗어난 부분이 상당히 많다. 그러므로 실제 게임과 연관되지 않는, 온더캣만의 오리지널 스토리라고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이후 올라온 합본에서는 이전과 별 다를 것 없이 아무 말에 가까운 스탭롤과 시즌 3을 암시하는 쿠키영상이 추가되었다.

3.2.1. 등장 캐릭터

사망하거나 추방된 순서대로 색과 행적을 서술한다.
크루원[크루]은 이름이 파란색, 확정 시민[확시]파란색 밑줄, 임포스터는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추방이 아닌 이유로 사망했다면 , 추방되었다면 X, 생존했다면 O로 표시한다. 불명은 ?로 표시. 사망하거나 추방된 화는 각주가 아닌 맨 마지막에 표시한다.
지난 시즌의 캐릭터는 생사 여부 옆에 # 표시를 붙인다.

색상을 보면 갈색과 검은색이 추가된 대신 보라색과 민트가 빠졌다.[23]

3.3. in Polus

시즌 2의 쿠키영상에서 수송선의 연료가 모두 떨어져 Polus에 불시착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스토리상 시즌 2와 연결되기에 중복되는 등장인물이 많은 편.

하지만 앞의 두 시즌과 달리 1화 이후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

3.3.1. 등장 캐릭터

죽은 순서대로 색과 행적을 서술한다.
크루원[크루]은 이름이 파란색, 확정 시민[확시]파란색 밑줄, 임포스터는 빨간색, 정체가 스포일러이거나 밝혀지지 않았다면 검은색이다. 정체가 드러났다면 볼드 처리. 다만 유력한 임포스터 후보는 정체가 드러났는지에 관계없이 주황색으로 표시 후 볼드 처리한다.
최종화 기준 추방이 아닌 이유로 사망했다면 , 추방되었다면 X, 생존했다면 O로 표시한다. 불명은 ?로 표시. 사망하거나 추방된 화는 각주가 아닌 맨 마지막에 표시한다.
지난 시즌의 캐릭터는 생사 여부 옆에 # 표시를 붙인다.

3.4. 기타

커뮤니티를 보면 애니메이션도 만들거라고 한다. 이유는 당연 2020 롤드컵 때문에 롤뽕이 차올라서(...). 현재는 안 나왔다.
아직 확실하지는 않지만 어몽어스 애니메이션 시즌 3이 끝나면 The Airship을 배경으로 한 시즌 4를 제작할 가능성이 높다.[42]

3.5. 이스터에그

4. 여담



[1] 어몽어스 miraHQ 4편의 설명란에 2021년에 고3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기준] 2023년 5월 29일 기준 [기준] [4] 2021년 기준. [5] 실제로 영상을 올리는 텀이 온더캣이 고2였던 2020년보다 크게 늘어났다. 온더캣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최중요 시험인 수능 때문에 이렇게 늦어진 것. [6] 온더캣과 비슷한 시기에 유명해진 Wall Su, 빨간내복야코, 소맥거핀 등에 비해서 구독자 증가수가 압도적으로 빠르다. [7] 별게 다 적혀있는데, 전부 다 본인인 스태프 목록에 화룡점정으로 만들면서 먹은 것들까지(...) 기재되어 있다. [크루] 확시 미션이 아닌 미션을 수행하거나, 임포스터에게 살해당한 크루원을 의미한다. [확시] 확시 미션을 수행한 크루원을 의미한다. [10] 1화 썸네일에서 민트가 노랑을 죽인 것이 보여진다. [11] 합본에선 개소리와 함께 등장한다. [12] 이 때 화면 속 주황 홀로그램이 파일을 옮기다 갑자기 캠프파이어를 하는 것이 웃음 포인트. [13] 민트를 유심히 보며 손으로 쿡쿡 찍어보기 때문에 언뜻 보면 임포스터인 것을 의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저 자신의 확시 미션을 확인해줄 증인이 필요해서 한 행동이었다. [14] 후속작에서 재등장하게 되지만, 본작에서 추방당한 것은 맞으므로 X로 표시한다. [15] 비록 CCTV를 보지 않고 나와 허무하게 죽었으나 확시 둘과 노랑을 죽인 덕에 빨강이 의심받지 않게 되었다. [16] 이 때 문 건너편에서 하양의 죽음을 확신한 초록이 하양의 영정사진을 놓고 노래를 부르는 것이 개그 포인트이다. [17] 초록은 빨강의 정치에 속은 것도 있지만, 회상에서 보이듯이 파랑의 의심스러운 행동과 직접적인 해명이 아닌 쓸데없는 감성팔이를 보고 추방한 것이다. 그러나 초록이 고작 몇 초만 생각하고 추방시킨 것은 거의 트롤링이며, 파랑이 초보라는 가능성을 두면 초록의 트롤링으로 인해 희생당한 것이라서 자업자득이라기엔 뭔가 애매하다. [18] 이때 자신의 승리가 되자 벤트 주변에 금이 갈 정도로 많은 벤트쇼를 하며 초록을 농락했다. [19] 민트는 킬을 많이 했어도 실수한 초보 임포스터의 느낌이 강한 반면 빨강은 정치를 잘하는 실력자 임포스터로 볼 수 있다. [20] 다만 이 서술은 Mira HQ 편 생존자들이 그대로 Polus 편에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수정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대로라면 임포 의심자는 전부 신캐에만 몰리기 때문에 긴장감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 그러므로 임포스터가 한 명만 있을 가능성도 있다. [크루] [확시] [23] 대신 시즌 1의 캐릭터들이 그 자리에 들어갔다. [24] 그런데 초록이 감성추리 또는 트롤링한 것이 아니라 잡입한 민트를 파랑으로 착각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25] 3화의 1:28 부분을 보면 빨강의 양쪽 다리 사이에 이 빨강의 시체가 있다. [26] 이 구멍으로 빨강과 민트가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27] 그 부딫히는 소리는 검정의 펫이 수송선의 문을 여는 소리로 추측된다. [28] 3화에서 갈색이 죽을 때 갈색의 머리에 겨누어진 총은 분명 민트의 총인 데다가 4화의 시작 장면을 자세히 보면 분명 죽었던 갈색이 멀쩡히 살아 있고, 4화 마지막 카운팅 장면에서 죽은 갈색의 위치에서 계속 깜빡거리고 있었다. 4화를 보면 창고에 없었던 갈색 페인트와 모자가 생겨난 것도 이에 한몫했다. 그리고 5화 오프닝에선 대놓고 갈색에게 민트색이 추가되어 있었다. [29] 정확히는 후술할 핑크의 활약 때문에 막혔다. [30] 4화 1:34 경에 나온다. 재미있게도 빨강은 초록의 모자를 쓰고 있다. [31] 5초경에서 멈추면 떨어지는 보라가 희미하게 보인다. 검정과 검정의 펫이 놀란것도 이 때문이다. [32] 자기보다 덩치가 훨씬 큰 빨강이 이에 맞아 고글이 깨지고 일시적으로 행동 불능 상태가 된 것으로 보아 완력이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33] 이 과정에서 빨강은 다시 촉수를 날리고, 그게 철벽에 맞아 큰 소리가 발생해서 연두가 빨강의 행각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34] 쿠키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이 칼은 머리에서 자라난다(...) [35] 이 때 분명 이 루트대로 갔으면 갈색의 시체가 있는 곳을 지나게 된다. 그런데 회의에서 이에 관한 이야기가 없었는데, 갈색으로 변장한 민트가 시체를 가리고 있었다면 설명이 된다. [36] 버튼을 어찌나 세게 눌렀는지 버튼을 막는 유리가 깨져버렸다. [크루] [확시] [39] 다만 민트가 임포스터라서가 아니라 괴상한 모습을 보고 놀란 것일 수도 있다. [40] 이전의 민트와 마찬가지로 로마 숫자가 적혀 있는데, 이전의 민트와 달라서 동일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41] 이때문에 시즌 3의 새로운 주황으로 착각할수 있지만 졸라맨 펫을 그대로 데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시즌 2의 주황이 맞는 듯하다. [42] 개발사가 쓴 댓글에 온더캣이 쓴 답글을 보면 온더캣도 Airship까지 애니를 만들 생각이 있는 듯하다. [43] 온더캣이 상아리와 친분이 있어 보인다. [44] 시즌 1 합본 11분 8초 [45] 예전엔 Game Animation 이었지만 지금은 MilyieeiyliM 라고 변경한 상태. [46] 두 그림을 서로 겹쳐 보면 거의 일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다른 애니메이션 유튜버의 영상에서는 스토리를 베낀 정황도 보인다. [47] 본인이 직접 댓글을 고정했을 정도이다. [48] 하지만 온더캣이 한동안 근황이 없어 디스코드 관리자가 모두 떠났다. [49] 즉 온더캣 총 조회수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