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러시아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미그 | <colbgcolor=#fefefe,#191919> MiG-9 파고 | MiG-15 파곳 |
수호이 |
|
||
야코블레프 |
Yak-15 페더 |
Yak-17 페더 | |
||
라보츠킨 |
La-15 팬테일 | |
||
알렉세예프 | I-21 | I-212 | ||
1950년대
|
미그 | MiG-17 프레스코 | MiG-19 파머 | MiG-21 피쉬베드 | |
수호이 | Su-7 피터-A | Su-9 피쉬포트 | ||
야코블레프 | Yak-25 플래시라이트-A | Yak-27 플래시라이트-C | ||
일류신 |
|
||
라보츠킨 |
|
||
1960년대
|
|||
미그 |
|
||
수호이 | Su-11 피쉬포트-C | Su-15 플래건 | Su-17 피터-C | ||
야코블레프 | Yak-28 파이어바 | ||
투폴레프 | Tu-128 피들러 | ||
1970년대
|
미그 | MiG-23 플로거 | MiG-25 폭스배트 | MiG-27 플로거-D/J | |
수호이 | Su-24 펜서 | ||
야코블레프 |
Yak-38 포저 | |
||
1980년대
|
|||
미그 | MiG-31 폭스하운드| MiG-29 펄크럼 | ||
수호이 | Su-20 피터-C/D | Su-22 피터-K | Su-25 프로그풋 | Su-27 플랭커 | ||
일류신 |
|
||
1990년대
|
미그 |
|
|
수호이 | Su-30 플랭커-C | Su-33 플랭커-D | Su-34 풀백 | ||
야코블레프 |
|
||
2000년대
|
미그 | MiG-29M 펄크럼-E / "슈퍼 펄크럼" | |
수호이 | Su-30M 플랭커-G | Su-35 플랭커-E | Su-37 "터미네이터" / 플랭커-F | Su-47 "베르쿠트" / 펄킨 | ||
야코블레프 | Yak-130 미튼 | ||
2010년대
|
미그 | MiG-29K 펄크럼-D | MiG-35 펄크럼-F | |
수호이 | Su-34M | Su-35S | Su-57 펠론 / PAK-FA | ||
2020년대
|
미그 |
MiG-41 PAK-DP | |
|
수호이 | Su-75 "체크메이트" | ||
※ |
|||
※둘러보기 :
항공병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개요
MiG-29K: 1인승, MiG-29KUB: 2인승 훈련기
MiG-29M의 함재기 사양이다. 러시아 해군과 인도 해군이 도입하였다.K는 단좌형, KUB는 복좌형(훈련용)이다. NATO코드는 Fulcrum-D.
단좌형과 복좌형의 에어프레임이 동일하므로 K형과 KUB형의 외형상 차이는 없다. 위 사진도 자세히 보면 후방석에 사람도 좌석도 없다.
2. 제원
МиГ-29K (MiG-29K) # | |||
승무원 | 1명 | ||
길이 | 17.3m (57.76ft) | ||
날개 폭 | 평시 | 11.99m (39.34ft) | |
주익 접힘 시 | 5.9m (19.35ft) | ||
높이 | 평시 | 4.40m (14.44ft) | |
주익 접힘 시 | 5.4m (17.71ft) | ||
날개 면적 | 43m² (462ft²) | ||
탑재 중량 | 18,550kg (40,900 lb) | ||
최대 이륙 중량 | 24,500kg (54,000 lb) | ||
엔진 | 2× 클리모프 RD-33MK 재연소 터보팬, 9,000 kgf (88.3 kN, 19,800 lbf) 각각 | ||
최대 속도 | 마하 2 이상 (2,200 km/h, 1,370 mph) / 저고도: 1,400 km/h, 870 mph | ||
최대 항속 거리 | 2,000km (1,240 마일) / 3,000km (1,860 마일), 드롭 탱크 3개 장착시 | ||
상승 한도 | 17,500 m (57,400 ft) | ||
상승률 | initial 330 m/s, average 109 m/s 0-6000 m (65,000 ft/min) | ||
날개 하중 | 442kg/m² (90.5 lb/ft²) | ||
추력대 중량비 | 0.97 | ||
무장 | 30mm GSh-30-1 기관포 1문 (100발) | ||
R-77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 |||
날개 밑 8개 하드 포인트, 동체 밑 1개 하드 포인트, 최대 5,500kg 무장 |
3. 특징
MiG-29K는 MiG-29M을 러시아 해군용 함재기로 개조한 전투기이다. 항공모함 착륙시의 충격을 견디기 위해, 동체와 랜딩 기어가 강화되었다. 그 외에도 함재기로서의 운용을 위해 내부연료량이 3,340 kg에서 4,560 kg으로 증가되었다. 프로토타입에서는 단좌형의 조종석은 MiG-33처럼 생겼었지만, 양산형에서는 단좌형도 기본적으로는 복좌형으로 만들어진 다음 후방 좌석에 전자장비를 설치하는 식으로 양산되고 있다.전투행동반경은 850 km 이다. 날개 밑에 외부연료탱크 3개를 장착하면 전투행동반경이 1,300 km로 늘어난다.
4. 상세
1982년 트빌리시(현 쿠즈네초프) 건조계획이 확정되면서 MiG-29를 개조한 MiG-29KVP를 테스트하다가, MiG-29M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새로 개조된 생산기호 9.31, MiG-29K라는 명칭의 기체는 1988년에 처음 비행했고, 311, 312번기 2대가 만들어졌다. 최초 러시아 해군은 항공모함에서 단좌형 기체를 기본으로 Su-33과 함께 운용할 것을 구상하였으나 소련 붕괴와 경제난으로 MiG-29K는 취소되었다. 복좌형이 생산된 Su-27KUB와 달리, MiG-29KUB는 이 시점에서는 생산되지 않았다.MAKS 2005까지 개근했다.
죽은줄 알았던 MiG-29의 함재기형을 되살린 것은 인도의 요구였다. 키예프급 4번함 바쿠를 스키점프 항모로 개장하여 팔기로 합의하면서 인도 공군은 복좌 멀티롤형 MiG-29함재기를 요구하였고, 기존의 단좌형 MiG-29K는 이 요구사항을 맞출 수 없었다.
이에 따라 MiG-29M2복좌형을 함재기형으로 개수한 MiG-29KUB가 2007년 첫 비행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소수(24대)만이 조달될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 단좌형기체를 별도의 프레임을 만들어 생산하는 것은 비용효율적이지 않았고, 따라서 단좌형 역시 복좌 기체에서 후방석을 삭제한 것으로 정해졌다. 단좌형은 생산기호 9.41, 복좌형은 9.47이다.
인도공군용 시제기. 단좌형이지만, 위 312번기와 외형이 많이 다르다. NATO는 9.31, 9.41기체를 모두 Fulcrum-D로 분류한다.
이 기체가 인도해군용으로 2010년 45대 수출이 확정되었다. 전자장비 사양은 MiG-29M2와 동일하며, 같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한 공군용 사양이 전술한 MiG-29UPG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러시아에서도 수명이 다한 Su-33을 대체하기 위한 기종으로 선정되었다.
MiG-29K는 MiG-29 초기형과 달리, 공중급유를 받을 수 있고, PAZ-MK 재급유 포드를 장착해 공중급유를 해주는 것도 할 수 있다. #
러시아 해군과 인도 공군의 급유장면
5. 도입 국가
- 러시아 해군 - 2010년 1월 24대를 주문했다.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에 배치하여 운용중이다. 2012년에는 러시아 해군이 MiG-29K 함재 전투기 20대와 MiG-29KUB 전환훈련기 4대를 추가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현재 24대를 운용중이다.
- 인도 해군 - 2010년 3월, 45대의 MiG-29K를 주문했다. 현재 비크라마디티야함의 함재기로 운용중이며, 추후 비크란트급에서 운용하기 위해 러시아 측과 추가 구매 협상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잦은 잔고장과 성능부족으로 인해 싫증이 난 인도해군은 결국 라팔M 도입으로 선회했다.
6. 매체에서의 등장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공산국가 전체 해군의 주력 함재기로 나온다. 무려 대함미사일 4발을 탑재하고 나오지만, Su-27K와는 달리 사거리가 짧아서 서방진영의 전투함들의 대공미사일에 격추되기 쉬운 편이다.